• 제목/요약/키워드: Xenogenic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1초

돼지-염소 모델에서 신선 동결된 이종 경동맥 이식편의 시간 경과에 따른 조직병리학적 변화 (Time-related Histopathologic Changes of Fresh Frozen Vascular Xenograft in Pig-to-goat Model)

  • 장지민;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180-192
    • /
    • 2007
  • 배경: 최근 이종 심장 이식에서 이종항원 및 항체로 인한 초급성 또는 급성 거부반응이 중 또는 대구경의 혈관이나 판막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고들이 있다. 이는 이런 부위에서 이종 항원의 발현이 다른 부위보다 낮고 내피세포에 미치는 전단력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보고를 바탕으로 돼지-염소 모델에서 중 또는 대구경의 혈관에 해당하는 경동맥을 이용한 이종 동맥 이식을 시행하고 정해진 기간 경과 후 이식편을 적출하여 이종 이식 혈관의 생체 내 중, 장기 개통성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 양상을 관찰하여 이종 혈관 이식의 생체 내 장기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0쌍의 돼지-염소 조합을 실험군으로 하여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및 12개월의 정해진 기간으로 나누어 각 기간마다 2마리의 돼지에서 양측 경동맥을 채취하여 얻은 4개의 경동맥편을 다른 처리를 하지 않고 $-70^{\circ}C$에서 보존한 후 2마리의 염소의 양측 경동맥에 각각 이식하였다. 보존 기간은 2일에서 7일로 대부분 7일 이내에 동물 실험을 시행하였다. 이식 후 주기적인 도플러 초음파 검사로 개통성을 평가하였고, 정해진 기간이 경과한 후에 염소에서 이식된 혈관 도관을 적출하여 관찰한 후 hematoxylin-eosin과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였다. 또한 T 임파구 표식자와 von Willebrand factor에 대한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실험군 중 1주와 1년으로 정해진 2마리의 염소가 실험 과정과는 무관한 이유로 사망하였고, 나머지 8마리가 실험 종료시점까지 생존하였다. 생존한 8마리의 염소 가운데 3개월로 지정된 염소에서 일측 경동맥의 폐색이 발견되었으나 나머지 염소에서는 혈관의 개통성이 잘 유지되었으며, 동맥류를 형성한 이식편은 없었다. 정해진 기간 별로 적출하여 관찰하였을 때 혈관 문합부위는 잘 보존되어 있었고, 석회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이식편의 혈관 내피세포는 이식 1주 후에는 소실되어 있었고, 1개월째에는 수용체인 염소의 내피세포로 재세포화 되는 양상을 보였다. 중막 및 외막에도 염증반응과 함께 수여자의 섬유아세포 및 근섬유아세포가 침윤되는 양상을 보였다. 재내피세포화 과정은 양측 문합 부위에서 시작하여 이식된 혈관의 중간 부위로 진행되는 양상이었으며, vWF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이식 후 1개월에 이식편의 전체에 걸쳐 재내피세포화가 이루어졌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신생 내막의 비후와 외막의 염증반응이 이식 후 3개월까지 심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감소된 양상을 보였다. 이식 편에서 T 임파구 표식자인 CD3 양성인 세포들의 비율은 매우 낮았다. 결론: 신선 동결된 이종 동맥은 조직학적으로 이종 면역 반응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생체 내에서 장기 개통성을 유지하였다.

면역학적 처리 없는 이종 심장 판막 도관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Histologic Changes of the Immunologically Untreated Xenogenic Valved Conduit)

  • 성기익;서정욱;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호
    • /
    • pp.1-7
    • /
    • 2007
  • 배경: 심장판막 및 그 주변의 큰 혈관들의 내피세포는 다른 부위와 달리 훨씬 완화된 면역 반응을 보이는 것에 착안하여, 고정액이나 면역학적 처치를 거치지 않은 이종 판막의 대동맥 판막의 임상적 유용성을 돼지-염소 간 이종 폐동맥 판막도관 이식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돼지 폐동맥 판막도관은 특별한 면역학적 처치를 거치지 않은 채 준비하여 인공심폐기 가동 하에 염소의 우심실 유출로에 이식하였다. 염소들은 군당 2마리씩 배정하여 이식 후 하루, 1주, 3개월, 6개월, 12개월 동안 각각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을 희생하기 전 심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판막의 움직임을 관찰하였고, 이종 장기를 적출한 후 판막도관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총 12마리 중 10마리에서 정해진 기간 동안 생존하였다. 이식된 폐동맥의 전벽의 동맥류가 12개월과 3개월 관찰한 각각 한 마리의 염소에서 발견되었다. 심초음파 검사에서는 다양한 정도의 폐동맥 판막 폐쇄부전의 소견을 보였으나 판막의 협착이나 혈전형성, 증식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학적 관찰에서 이식 세포의 핵은 핵농축 및 핵융해를 통해 없어졌지만, 이식된 이종 판막도관의 세 구역(폐동맥, 폐동맥 판막, 누두부)은 구조가 보존되면서 점차적으로 시간에 따라 숙주 세포로 대체되었다. 결론: 면역학적 처리를 거치지 않은 이종 폐동맥 판막도관이 돼지-염소 간 이종 이식실험에서 다소의 문제점이 발견되기는 하였지만 성공적으로 숙주 세포로 대체되어 기존의 조직판막의 대안이 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Bone graft material using teeth

  • Kim, You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8권3호
    • /
    • pp.134-138
    • /
    • 2012
  • Autogenous tooth bone graft material contains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for osteoinductive and osteoconductive healing. The clinical availability and safety of this material have been confirmed by various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 In the future, allogenic and xenogenic tooth bone graft materials, ideal scaffold using teeth for stem cells and bone growth factors, and endodontic and tooth restorative material will be developed.

A radiographical study on the changes in height of grafting materials after sinus lift: a comparison between two types of xenogenic materials

  • Hieu, Pham-Duong;Chung, Jin-Hyung;Yim, Sung-Bin;Hong, Ki-Seo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25-32
    • /
    • 2010
  • Purpose: The performance of implant surgery in the posterior maxilla often poses a challenge due to insufficient available bone. Sinus floor elevation was developed to increase the needed vertical height to overcome this problem. However, grafting materials used for the sinus lift technique eventually show resorption. The present study radiographically compared and evaluated the changes in height of the grafting materials after carrying out maxillary sinus elevation with a window opening procedure.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xenogenic bone materials when being used for the sinus lifting procedure. Methods: Twenty-one pati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underwent a sinus lift procedure. All sites were treated with either bovine bone (Bio-$Oss^{(R)}$) with platelet-rich plasma (PRP) or bovine bone (OCS-$B^{(R)}$)/PRP. A total of 69 implants were placed equally 6-8 months after the sinus lift. All sites were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evaluated right after the implant surgery, 7-12 months, 13-24 months, and 25-48 months after their prosthetic loading. Results: Changes of implant length/bone length with tim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ing tendency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Bio-$Oss^{(R)}$ group (P>0.05). In contrast, the OCS-$B^{(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with time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reduction in comparison with data right after placement, after 7 to 12 months, 13 to 24 months, and over 25 months; however, reduction rates between each period have shown to be without significanc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change was observed between the Bio-$Oss^{(R)}$ and the OCS-$B^{(R)}$ groups.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evaluation of dimensional hard tissue changes following alveolar ridge preservation techniques of different bone substitu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Pickert, Finn Niclas;Spalthoff, Simon;Gellrich, Nils-Claudius;Tarraga, Juan Antonio Blaya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2권1호
    • /
    • pp.3-2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graft materials used in alveolar ridge preservation on dimensional hard tissue changes of the alveolar ridge, assessed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s. Methods: A systematic electronic search of MEDLINE and th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and a manual search were conducted from November 2019 until January 2020.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ncluded if they assessed at least 1 variable related to vertical or horizontal hard tissue changes measured using CBCT scans. After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cluded studies, subgroups were formed according to the graft material used, and a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for 5 outcome variables: changes in vertical alveolar bone height at 2 points (midbuccal and midpalatal/midlingual) and changes in horizontal (buccolingual) alveolar bone width at 3 different levels from the initial crest height (1, 3, and 5 mm). Results: The search resulted in 1,582 studies, and after an independent 3-stage screening, 16 studies were selected for qualitative analysis and 9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metaanalysis showed a significantly (P<0.05) lower reduction of alveolar ridge dimensions for the xenogenic subgroup than in the allogenic subgroup, both vertically at the midbuccal aspect (weighted mean difference [WMD]=-0.20; standard error [SE]=0.26 vs. WMD=-0.90; SE=0.22) as well as horizontally at 1 mm (WMD=-1.32; SE=0.07 vs. WMD=-2.99; SE=0.96) and 3 mm (WMD=-0.78; SE=0.11 vs. WMD=-1.63; SE=0.40) from the initial crest height. No statistical analysis could be performed for the autogenic subgroup because it was not reported in sufficient numbers. Conclusions: Less vertical and horizontal bone reduction was observed when xenogenic graft materials were used than when allogenic graft materials were used; however, the loss of alveolar ridge dimensions could not be completely prevented by any graft material.

우심실 유출로에 이식한 무세포화 이종 폐동맥 판막도관의 생체 적합성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양상에 대한 연구 (Biocompatibility and Histopathologic Change of the Acellular Xenogenic Pulmonary Valved Conduit Grafted in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 허재학;김용진;박현정;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482-491
    • /
    • 2004
  • 배경: 이종 혹은 동종의 판막을 항원성이 높은 세포 성분을 무세포화 과정을 통해 제거한 후, 실험실에서 자가세포를 파종하거나 수용체 내에서 재세포화시킴으로써 합성 화합물 지지체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NaCl-SDS 용액을 이용하여 만든 이종 무세포화 폐동맥 판막도관을 우심실 유출로에 이식하여 수용체 세포로 재세포화되어 가는 과정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돼지의 폐동맥 판막도관을 채취하여 NaCl-SDS 용액으로 처리하여 무세포화 이종 폐동맥 판막도관을 준비한 다음 이를 심폐바이패스하에 염소의 우심설 유출로에 이식하였다. 이식 후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이 경과한 후에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폐동맥 판막의 기능을 평가하고, 폐동맥 판막 도관을 적출한 후 Hematoxylin-Eosin, Masson's trichrome 및 면역화학요법 염색을 시행하여 조직학적 변화양상을 관찰하였다. 결과: 무세포화 이종 폐동맥 판막도관을 이식한 6마리 가운데 5마리가 판막도관 이식 후 실험 종료시점까지 생존하였다. 이식 판막의 기능평가를 위한 심초음파에서 경도의 폐동맥 판막 폐쇄부전이나 협착 이외에는 판막의 기능이 잘 유지되고 있었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무세포화 판막도관내로 수용체 세포에 의한 재세포화가 시간경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재세포화된 세포들은 섬유아세포, 근섬유아세포 및 혈관내피세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문합부 주위에서 심한 염증반응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결론: 무세포화 이종 폐동맥 판막도관은 이식 12개월 후에는 수용체의 섬유아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로 재세포화되었고 세포간질도 잘 보존되어 있었으며, 폐동맥 판막의 기능도 잘 유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무세포화 이종 판막도관은 장기적인 내구성을 갖춘 이상적인 판막 대치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또한 기관 및 식도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에서 열손상에 의한 병변은 관찰되지않았다. 결론: 고주파에너지에 의한 절제술 시 심방의 전층에 병변을 만들기 위해서는 심장과 도자간의 접촉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새로 개발한 기구는 고주파에너지를 이용한 도자절제술 시 심장과 도자 간의 확고한 접촉을 유도하여 심방 전층에 병변을 만드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이러한 기구의 사용은 향후 고주파에너지를 이용한 미로술식의 성적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법 등, 급성신부전증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되어야 하리라 본다. 발전할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막형산화기의 산소교환에 유리한 반면, 회로압과 혈구세포 손상 측면에서 불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단일 박동형 구동펌프와 막형 산화기 사이에 압력완충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회로압 상승과 혈구세포손상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막하 이식법으로 생각되며, 조기에 유용한 암표지자 검사는 SCC-Ag 정량법이라고 판단된다.군인 폴리우레탄 인조 혈관 및 봉합편에 비해 일부 우수한 양상을 보였지만 본 실험의 범위내에서는 통계적 정량적 차이를 제시할 수는 없었다. 향후 보다 광범위한 동물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된다.하고도 완전교정술 도달 확률이 높은 치료전략이라는 사실을 입증하였으며 주대동맥폐동맥혈관부행지의 크기나 숫자가 단일화하기 쉬운 형태학적 특징을 지닌 경우에는 조기에 일단계완전교정술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반면 본 환아군 중 단일화술을 먼저 시도한 군에서는 비록 단계적인 단일화를 시도한 군에서 단일화술과 관계된 수술사망율이 약간 낮기는 하였으나 완전교정술까지 완료될 가능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 경우 보다 정련된 적응 환자의 선택을 통한 단일화 우선전략의 시도와 장기 추적결과의 관찰이 요구된다.

Changes of the Structural and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Bovine Pericardium after the Removal of ${\alpha}$-Gal Epitopes by Decellularization and ${\alpha}$-Galactosidase Treatment

  • Nam, Jinhae;Choi, Sun-Young;Sung, Si-Chan;Lim, Hong-Gook;Park, Seong-Sik;Kim, Soo-Hwan;Kim, Yong Ji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6호
    • /
    • pp.380-389
    • /
    • 2012
  • Background: Bovine pericardium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aterials in bioprosthetic heart valves. Immunologic responses have been implicated as potential causes of limited durability of xenogenic valv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decellularization and ${\alpha}$-galactosidase (${\alpha}$-gal) to remove major xenoreactive antigens from xenogenic tissues. Materials and Methods: Recombinant Bacteroides thetaiotaomicron (B. thetaiotaomicron) ${\alpha}$-gal or decellularization, or both were used to remove ${\alpha}$-gal from bovine pericardium. It was confirmed by ${\alpha}$-gal-bovine serum albumin-base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high-performanc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flow cytometry, 3,3'-diaminobenzidine-staining, and lectin-based ELISA.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ovine pericardium after decellularization or ${\alpha}$-gal treatment were investigated by tests of tensile-strength, permeability, and compliance. Collagen fiber rearrangement was also evaluated by a 20,000${\time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Results: Recombinant B. thetaiotaomicron ${\alpha}$-gal could effectively remove ${\alpha}$-gal from bovine pericardium B. thetaiotaomicron (0.1 U/mL, pH 7.2) while recombinant human ${\alpha}$-gal removed it recombinant human ${\alpha}$-gal (10 U/mL, pH 5.0).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resh and recombinant ${\alpha}$-gal-treated bovine pericardium. Furthermore, the TEM findings demonstrated that recombinant ${\alpha}$-gal made no difference in the arrangement of collagen fiber bundles with decellularization. Conclusion: Recombinant B. thetaiotaomicron ${\alpha}$-gal effectively removed ${\alpha}$-gal from bovine pericardium with a small amount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compared to human recombinant ${\alpha}$-gal, which may alleviate the harmful xenoreactive immunologic responses of ${\alpha}$-gal. Recombinant ${\alpha}$-gal treatment had no adverse effect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ovine pericardium.

가족치아를 이용한 골이식술: 증례보고 (Familial Tooth Bone Graft: Case Reports)

  • 이지영;김영균;엄인웅;최준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1권8호
    • /
    • pp.459-467
    • /
    • 2013
  • The use of autogenous tooth bone graft material has been commercialized since 2008. Autogenous tooth bone grafts always require that the tooth of the patient be extracted, and thus, the use of graft material are limited in many cases. For solution of limitation in quantity and concurrent use of autogenous tooth bone graft material, the grafting of familial teeth has been suggested. It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the teeth of family members are used as bone graft materials, the genetic composition is identical, and potential genetic and infectious risks can be minimized. Because the teeth of family members are used, a good tissue affinity is obtained, and thus, superior bone generation rates compared to those observed for allogenic or xenogenic bones can be anticipated. We used familial tooth bone-graft materials for alveolar ridge augmentation, socket preservation, and maxillary sinus graft in some cases. In most cases, the impacted third molars of their children were prepared as bone graft material and were used for surgery. In one case, the impacted third molar from the patient's brother was used as bone graft material. We obtained satisfactory result and these cases are reported herein.

자가연골세포와 PLA-coated PGA 복합체를 이용한 연골조직 재생 (Engineering Autogenous Cartilage Using PLA Coated PGA Chondrocyte Complex)

  • 김우섭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1-4
    • /
    • 2005
  • Previous sucessful results of neocartilage formation using tissue engineering technique in immunocompromised nude mouse xenograft model were reported. For clinical application, autogenous cell is preferrable to allogenic or xenogenic cell for circumvention of immune rejection. This study evaluates the feasibility of producing a engineered cartilage using autogenous chondrocytes. Chondrocytes were isolated from the auricular catilage of New Zealand White rabbit and seeded onto PGA polymer coated with polylactic acid in round pattern(diameter 0.7 cm, thickness 0.1 cm) at a concentration $7{\times}10^7$ chondrocytes per $cm^3$. Each Autogenous Cell-polymer constructs were implanted subcutaneously into the left side of dorsum of twelve Rabbits. Polymer templates not containg cells were implanted into the right side as a control. Fifteen rabbits were sacrificed at the following intervals: 5 rabbits at nine weeks, 7 rabbits at twelve weeksNew autogenous cartilage formation which retained the approximate dimensions of origianl round polymer template in 11 of 12 cell seeded implants. Histological examination using hematoxyline and eosin stain revealed vast majority of implants developed into mature cartilage. This study opens up the possibility of autologus cell transplant to construct autogenous cartil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