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anthineOxidase(XO)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2초

지황음자와 가미지황음자 유출액이 XO/HX로 손상된 배양 해마신경세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Jihwangyeumja and GamiJihwangyeumja water extract on The Cultured Primary Hippocampal Cell Damaged by XO/HX)

  • 이용근;김상호;민상준;양희숙;장현호;김태헌;강형원;유영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989-100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oxic effects caused by xanthine oxidase/hypoxanthine(XO/HX) and the effects of herbal extracts such as JHYJ and GJHYJ on the treatment of the toxic effects. For this purpose, experiments with the cultured hippocampal cells from new born mice were done.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were as follows. 1. XO/HX, a oxygen radical-generating system, decreased the survival rates of the cultured cells on XTT assay and INT assay, the amount of DNA syntheses, and the amount of neurofilaments, and increased the lipid peroxidation. 2. JHYJ and GJHYJ have the efficacy of increasing the survival rates of the cultured cells. 3. JHYJ and GJHYJ have the efficacy of increasing the amount of neurofilaments and of decreasing the lipid peroxidation. 4. JHYJ and GJHYJ have the efficacy of increasing the amount of DNA synthese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Jihwangyeumja and Gamijihwangyeumja have marked efficacy as a treatment for the damages caused by the XO/HX-mediated oxidative stress. And Jihwangyeumja and Gamijihwangyeumja are thought to have certain pharmacological effects. Further dinical study of this pharmacological effects of Jihwangyeumja and Gamijihwangyeumja should be complemented.

발효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마우스의 간 손상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Smilax china Leaf Extract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Mice)

  • 김미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6-175
    • /
    • 2014
  • 발효 청미래덩굴잎의 해독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상식이군(NC), 기본식이를 급여한 후 $CCl_4$ 처리군(CB), 비발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 분획물을 기본 식이에 0.5% 혼합한 식이로 4주간 사육하였다. $CCl_4$를 처리한 군(NS),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 분획물을 기본 식이에 0.5% 혼합한 식이로 4주간 사육한 후, $CCl_4$를 처리한 군(FS)의 4개군(5마리/군)으로 구분하여 체중,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ALT 및 AST 활성, GSH 및 LPO 함량, 혈청 지질 함량, XO 및 AO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CCl_4$를 처리한 군(CB, NS, FS)의 체중증가량은 NC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NS군과 FS군에서는 그 감소율이 낮았으며, FS군에서 더욱 낮았다. 이와 반대로 간의 중량은 $CCl_4$ 처리군들에서 높았으나, FS군에 NS군에 비하여 낮았다. ALT 및 AST 활성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32.34~3.80배가 높았으며,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6.34~37.35% 및 34.97~45.66%가 낮았다. 혈청 중성 지질의 함량은 NC군에 비하여 CB군이 81.71%가 높았으며, NS군과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5.61% 및 28.22%가 낮았다. Total cholesterol 함량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54.07%가 높았으나,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0.59% 및 17.99%가 낮았으며, LDL-cholesterol의 함량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반면에, HDL-cholesterol의 함량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55.08%가 낮았으나,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26.96% 및 72.12%가 높았다. GSH의 함량(${\mu}mole/g$ of tissue)은 CB군(4.42)이 NC군(5.09)에 비하여 13.16%가 낮았으나, NS군과 FS군은 각각 4.84 및 4.93으로 NC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NS군과 FS군 간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LPO의 함량(MDA nmole/g of tissue)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36.71%가 높았으나, 특히 FS군에서는 NC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XO(xanthine oxidase) 활성(% against control)은 NC군이 98.45, CB군 128.97, NS군 119.70, FS군 90.65로 NS군은 CB군과, FS군은 NS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O(aldehyde oxidase)의 활성(% against control)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22.48%가 높았으나, NS군 및 FS군은 NC군에 비하여 각각 14.88% 및 7.56%가 높았으며, CB군에 비하여는 각각 8.94% 및 16.15%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물은 비발효 경우에 비하여 $CCl_4$를 처리한 mouse에서 간 조직의 손상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높으며, 이는 FS군에서 XO 및 AO의 저해활성이 높은 것으로 미루어, 청미래덩굴잎에 존재하는 flavonoid 배당체가 발효에 의하여 분해되어 aglycone화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가자(Terminalia chebula) 추출물이 흰쥐의 간장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inalia chebula Extract on Liver in Rat)

  • 박종옥;이인섭;최종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1-147
    • /
    • 2004
  • 가자 추출물을 흰쥐에 일정량 투여한 후 간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목적으로 여러 가지 효소량의 변동을 검토하였다. 간 손상의 지표로 사용되는 AST, ALT활성을 측정한 결과 AST, ALT모두에서 정상군보다 300 mg/kg의 용량으로 2주 시료 투여한 군의 함량이 2배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자 추출물이 지질과산화물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300 mg/kg의 용량으로 2주 시료 투여한 군함량이 정상군에 비해 135.43%, 173.9% 정도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물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XO, AO, AD 및 AH활성에 대한 효과를 관찰한 결과 마이크로솜 분획에 존재하는 AD, AH의 활성은 저해 효과가 없었고, 세포질 효소인 XO, AO의 활성은 300 mg/kg의 용량으로 2주 시료 투여한 군 함량이 정상군에 비해 약 2배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가자 추출물에 의한 간 조직중 glutathione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찰한 결과 2주 동안 3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한 군의 glutathione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약 7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자 추출물 투여 후 glutathione의 함량 감소를 경감시키는 기전을 알아볼 목적으로 glutathione 합성에 관여하는 $\gamma$-GCS의 활성과 산화형 glutathione을 환원형 glutathione으로 환원시키는 GR의 활성을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GR이 56.6%, $\gamma$-GCS가 6.7%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glutathione의 함량 변동은 산화형 glutathione을 환원형 glutathione으로 환원시키는 GR의 활성에 영향을 주어 나타나는 결과로 생각된다. 가자 추출물이 지질과산화의 해독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목적으로 catalase, GP 및 SOD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catalase, GP의 활성은 각각 77.5%, 64.3%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SOD의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약 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솔순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Pine Bud (Pinus densiflora))

  • 조은경;정보림;최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573-157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솔순의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열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여러 생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솔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SOD 유사활성, XO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솔순의 항산화력은 2 mg/mL에서 71.4%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은 2 mg/mL 농도에서 85.4%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2 mg/mL에서 70.9%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순 열수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H 1.2와 3.0에서 53~59%, pH 6.0에서 40%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항고 혈압 측정실험에서는 시판되는 항고혈압제 captopril과 비교분석 하였는데, 0.1 mg/mL에서 93.0%였고 같은 농도의 솔순 열수 추출물은 14.6%의 낮은 저해율을 나타냈다. 하지만, 1 mg/mL에서 44.7%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솔순 열수 추출물의 비교적 양호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혈당강하능의 지표로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능을 분석한 결과 솔순 열수 추출물 3 mg/mL의 농도에서 43.3%의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주름 예방 효과의 지표로 elast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10 mg/mL의 농도에서 59.6%의 저해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솔순 열수 추출물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는 것으로 천연의 건강 및 미용 소재로써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고구마잎과 고구마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효과 (In vitro Antioxidant,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Sweet Potato Leaves and Stalks)

  • 곽충실;이근종;장진희;박준희;조지현;박지호;김경미;이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69-377
    • /
    • 2013
  • 고구마뿌리에 비하여 많은 양이 폐기되는 고구마 줄기와 잎의 이용을 활성화시키고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잎이 달려 있는 보라색 고구마줄기를 재래시장에서 구입하여 고구마잎(SL), 고구마줄기(ST), 껍질 제거한 고구마줄기(PST)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in vitro 시스템에서의 항산화효과,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효과를 검색하고자 하였다. 고구마잎은 데치고, 고구마줄기는 생으로 동결건조한 후 에탄올 추출물을 얻어 실험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SL(11.03 mg tannic acid/g)> ST(0.87 mg tannic acid/g)> PST(0.37 mg tannic acid/g)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L(9.01 mg rutin/g)> ST(0.50 mg rutin/g)> PST(0.25 mg rutin/g)이었다(p<0.001). DPPH 라디칼을 50% 제거시키는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IC_{50}$)는 SL($43.6{\mu}g/mL$)< ST($308.4{\mu}g/mL$)$1,631.3{\mu}g/mL$)로 고구마잎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양성대조시약으로 사용한 BHA의 $IC_{50}$값은 $8.30{\mu}g/mL$이었으며, 처리 농도 $1,000{\mu}g/mL$에서의 환원력은 SL($59.72{\mu}g$ ascorbic acid eq./mL)> ST($12.56{\mu}g$ ascorbic acid eq./mL)> PST($2.18{\mu}g$ ascorbic acid eq./mL)로 고구마잎이 가장 좋았다(p<0.001). 한편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xanthine oxidase(XO) 활성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처리 농도 $250{\mu}g/mL$에서 SL(13.06%)> ST(5.05%)> PST(0.0%)로 고구마잎이 줄기에 비하여 우수하였으며(p<0.01), 처리 농도 $50{\mu}g/mL$에서의 5-lipoxygenase(LOX) 활성저해율은 SL(91.16%)> ST(33.38%)> PST(14.93%)로(p<0.001) 고구마잎의 효과는 양성대조시약인 EGCG의 저해율(94.42%)과 비슷한 정도로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 $250{\mu}g/mL$ 농도로 처리 시 cyclooxygenase(COX)-2 활성저해율은 SL(55.34%)> ST(2.18%)> PST(0.0%)로 XO 활성저해율과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p<0.001). 측정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플라보노이드 함량($r^2$=0.9988, p<0.001), 환원력($r^2$=0.9982, p<0.001), XO 활성저해율($r^2$=0.8322, p<0.05), COX-2 활성저해율($r^2$=0.9950, p<0.001), 5-LOX 활성저해율과 양의 상관관계($r^2$=0.9823, p<0.001)를 나타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환원력($r^2$=0.9946, p<0.001), XO 활성저해율($r^2$=0.8392, p<0.05), 5-LOX 활성저해율($r^2$=0.9749, p<0.01), COX-2 활성저해율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2$=0.9937, p<0.001)를 보였다. 또한, 환원력은 XO 활성 저해율($r^2$=0.8384, p<0.05), 5-LOX 활성저해율($r^2$=0.9883, p<0.001) 및 COX-2 활성저해율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2$=0.9954, p<0.001)를 나타내었으며, XO 활성저해율은 5-LOX 활성저해율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2$=0.8786, p<0.05) COX-2 활성저해율과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5-LOX 활성저해율은 COX-2 활성저해율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2$=0.9815, p<0.01)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고구마잎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매우 높았고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보였으며, 알레르기 및 염증반응과 관련이 있는 효소인 XO, 5-LOX 및 COX-2의 활성도 모두 억제하는 효과도 우수하였지만 특히 5-LOX 활성 억제효과는 EGCG와 비슷한 정도로 매우 우수하였다. 따라서 건강을 위하여 고구마잎의 섭취를 증대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고구마 줄기를 섭취할 경우에는 가능한 껍질을 모두 섭취하는 것이 좋겠다.

흰쥐의 에탄올성 간장해에 미치는 식이 단백질과 섬유소의 영향 (Effect of Dietary Protein and Fiber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 조수열;박은미;이미경;장주연;김명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75-681
    • /
    • 1997
  • 체내에서 영양소의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에탄올과 섬유소 및 단백질의 급여수준에 따른 이 들 상호작용을 구명하기 위해 에탄올을 투여한 횐쥐에게 단백질 급여 수준을 7%와 20%로 달리 하고 섬유소를 5%와 10% 첨가한 실험식이를 5주간 급여하므로써 이들 영양소가 에탄을 대사효소와 항산화 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Aldehyde dehydrogenase(ADH)와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MEOS) 활성은 에탄을 투여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MEOS 활성은 단백질 정상 급여와 정상섬유소 급여시 그 증가가 현저하였다. 에탄을 투여로 감소된 aldehyde de-hydrogenase(AIDH) 활성은 정상섬유소군의 경우 단백질 적정 급여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Cytoch-rome P-450(P-450) 활성은 에탄을 투여로 증가되었으며 에탄을 투여군에서 단백질 정상급여와 과량의 섬유소 급여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Xanthine oxidase (XO) 활성은 에탄을 투여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저 단백군에 비하여 단백질 적정 급여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섬유소 급여수준에 따른 XO 활성은 에탄올 투여군 중 단백질 정상군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에탄을 투여는 간조직 중의 글루타티온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단백질 결핍에 따른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간조직 중의 지질과 산화 함량은 단백질 결핍시 에탄올 투여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에탄올을 해독키 위하여 간의 ADH와 MEOS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이로 인해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는 AIDH 보다 XO를 통해 해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탄올 대사효소 활성에 요구되는 단백질 공급과 10% 즉, 과량의 섬유소 급여 보다 5% 섬유소 급여시 에탄올성 간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반응성 산소족이 사람 정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ctive Oxygen Species on Motility in Human Spermatozoa)

  • 강희규;김동훈;한성원;김묘경;권혁찬;이호준;김문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7권4호
    • /
    • pp.393-403
    • /
    • 2000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S on kinematic parameters in human spermatozoa. To verify the changes in above parameters, human spermatozoa were incubated with xanthine-xanthine oxidase (X-XO), $H_2O_2$, sodium nitroprusside (SNP) or lymphocyte. Otherwise, spemlatozoa were incubated under low $O_2 (5%) condition. Methods: CASA was employed to analyze sperm motion parameters. Results: Under $H_2O_2 treatment, all kinematic parameters of spermatozoa were dramatically increased during 30 min, but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Under the low concentration of $H_2O_2 (125 ${\mu}M$ and 250 ${\mu}M$), the movement velocity (VAP, VCL, VSL) decreased, but forward movement increased. Under the 1mM $H_2O_2, sperm showed reduced kinematic parameters except during first 30 min of incubation. In the cases of X-XO and SNP treatment, the movement velocity increased but the forward movement reduced. After incubation for 3 hr treatment, the kinematic parameters gradually decreased in high concentration of X-XO. However these parameters maintained or increased in low concentration of X-XO. There was no obvious changes in the above parameters in the high concentration of SNP.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 of lymphocytes, all parameters decreased. Under the 5% $O_2 condition, the parameters of the movement velocity and movement pattern increased, but forward movement decreased. Taken togethers, it suggested that ROS increased the movement velocity but decreased the forward movement and lateral head replacement. $H_2O_2, X-XO, SNP and lymphocyte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capacitated spermatozoa within I h of incub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pacitation between low- and high $O_2 group. Conclusion: The early onset of capacitation in the presence of ROS suggest that ROS might be a positive regulator of sperm capacitation and hyperactiv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low concentration ROS facilitates the movement velocity but high concentration ROS was inhibitory.

  • PDF

A Study on the Mechanism of Oxidative Stress, Screening of Protective Agents and Signal Transduction of Cell Differentiation in Cultured Osteoblast and Osteoclast Damag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 Park Seung-Taeck;Jeon Seung-H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9-326
    • /
    • 2005
  • It is well known that oxidative stres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ay be a causative factor in the pathenogenesis of bone disorder on osteoblast or osteocl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oxidative stress, protective effect of glutamate receptor antagoinst against ROS-induced osteotoxicity, secre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the expression of c-fos gene in the cultured rat osteoblasts and osteoclasts. Cell viability by MTS assay or !NT assay, activity of glutathione peroxidase (GPx), lipid peroxidation (LPO) activity, protein synthesis by sulforhodamine B (SRB) assay,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MTS assay for NMDA (N-methyl-D-aspartate) receptor antagonist or AMPA/kainate receptor antagonist, measurement for $TNF-\alpha$, and c-fos gene expression were performed after these cells were treated with or without various cocentrations of xanthine oxidase (XO), hypoxanthine (HX), D-2-amino-5-phosphonovaleric acid (APV), 7-chlorokynurenic acid (CKA), 6-cyano-7-nitroquinoxaline-2,3-dione (CNQX) and 6,7-dinitroquinoxaline-2,3-dione (DNQX), respectively. In this study, XO/HX showed decreased cell viability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ctivity, but it showed increased LPO activity, $TNF-\alpha$ secretion and c-fos expression. APV and CKA incresed protein sythesis and ALP activity. While, CNQX or DNQX did not show any protective effect in LDH activity or cell viability. From these results, XO/HX showed cytotoxic effect in cultured rat osteoblast or osteoclast, and also NMDA receptor antagonist such as APV or CKA was effective in blocking XO/HX-induced osteotoxicity in these cultures.

  • PDF

Effect of Protein and Fiber Levels on Ethanol-Induced Brain Damage in Rats

  • Cho, Soo-Yeul;Lee, Mi-Kyung;Kim, Myung-J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51-35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tein and dietary fiber levels on the activities of ehanol metabilizing enzymes of the brain in acute and chronic ethanol-treated rats. Male Sprague-Dwley rats were fed on diets containing two levels of protein(7%, 20%)) with two levels of fiber(5%, 105) for 5 weeks.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40% (v/v) ethanol(5g/body weight) 90 min before decapitation in the acute ethanol-treated groups and 25% (v/v) ethanol (5g/kg body weight) once a day for 5 weeks in the chronic ethnol-treated groups. Cytosilic alcohol dehydrogenase (ADH) activi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mitochondrial ADH. The ADH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20% protein and %% fiber levels in the diet in two fractions , but were decreased by chronic ethanol treatment. Mitochondrial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did not change by ethanol treatment but were increased by the 20% protein level. However, cytosilic ALDH activities were decreased by chronic ethanol treatment at the 5% fiber level and did not change with protein levels. Both ALDH activities were higher in the 10% fiber groups than the 5% fiber groups. Cytochrome P-450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hronic ethanol-treated groups but xanthine oxidase (XO) activities did not change. P-450 contents and XO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the low protein and fiber groups.

  • PDF

Effect of Occlusion upon Rat Skin on the Activities of Cutaneous Oxygen Radical Metabolizing Enzymes in Rats

  • Han, Sun-Il;Yoon, Chong-Guk;Cho, Hyun-Gu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1-77
    • /
    • 2001
  • To evaluate the effect of occlusive skin on the activity of cutaneous oxygen free radical metabolizing enzymes in rats, the dorsal skin was covered with closed glass chamber shaped petri dish, 46 mm in diameter and 10 mm in height and sealed by an adhesive. Five day-occluded group showed more increased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XO) than that of control, and the activity of five day-occlud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en day-occluded group.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en day-occluded group than in control or five day-occluded group. All the more, five day-occluded group showed the decreasing tendency of SOD and GPx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cerrous perhydroxide deposits were observed in the intercellular space of the stratum basale in five day-occluded group under the electronic microscope using a cytochemistry method. Futhermore, the degree of cerrous perhydroxide reaction was lower in ten day-occluded group than in five day-occluded group. In conclusion, the increased XO activity and the decreased SOD and GPx activities are likely to responsible far the accumulation of $H_2O_2$ in five day-occluded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