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VIII Centur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역사적 현실과 문화적 기억 : 기록 문학과 구술 문학에 나타난 표트르 대제의 형상 (Historical Reality and Cultural Memory: The Image of Peter I in Russian Literature and Folklore)

  • 서선정
    • 비교문화연구
    • /
    • 제29권
    • /
    • pp.201-232
    • /
    • 2012
  • In the world history in the rein of totalitarianism cultural project of government had been activated, and consequently of it official culture had been organized. But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side of it people('narod'), who didn't have cultural means for active expression of own opinion on the reality, had expressed world-view and judgement informally in everyday language. In the literature of autocracy, subjected to censorship, had been expressed and fixed mythically idealized image of sovereign and his works. But in the folklore the image of ruler had been created by liberal fantasy of people. This article examined russian literature and folklore texts of 18 century, when russian people suffered from rapid and dramatic changes, caused by Peter I. Although russian literature of 18 century had gone over to the new literary regime, it still accepted political mechanism as dominant of age, and consequently in the literary texts of this century Peter I was represented as ideal person and great monarch. But various images in folklore texts show that people's opinion on ruler and his activities couldn't be controlled. In other worlds, diverse images of Peter I in folklore texts reflect clear and plain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eople. This analysis reveals not only difference between mechanism of idealization of government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eople, but also meaning of cultural memory as indicator of historical reality.

계몽주의 시대 프랑스 문법서에서 기술한 운율 현상과 국제음성기호의 출발에 대한 고찰 (Notes on Descriptions of the Prosodic System in French Grammars in the Age of Enlightenment & the Departure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 박문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58-667
    • /
    • 2021
  • 본 연구는 계몽주의 시대에 프랑스 문법서에서 기술한 다양한 운율을 현대 음성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국제음성기호의 효시가 된 도상표기법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 권의 문법서와 한 권의 표기법 서적을 비교·분석하여 운율 구조를 음성학적으로 재구성하는 연구방법을 도입하였다. 당시에는 규칙성이 있는 운율악센트와 의미적·화용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웅변악센트로 악센트를 분류하여 분석을 시도한 점이 대표적이다. 운율악센트는 억양과 관계가 있으며, 웅변악센트는 억양과 세기가 중요한 운율 자질이다. 여러 문법학자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관찰된 현상은 단어의 말음절 장음화이다. 현대프랑스어 악센트의 중요한 특징인 말음절 장음화는 18세기에 자리 잡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다만 억양을 악센트와 동일시하는 관습 때문에 말음절 장음화를 악센트로 보지 않고 단순히 음량의 패턴으로 간주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억양을 통한 악센트에 관한 기술이 이전 세기의 일반이성문법학자보다 덜 정교함을 보여주었다. 운율악센트의 위치를 정확히 명시하지 않은 점, 웅변악센트에 음의 고저와 세기가 어떻게 결합되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재한 점이 대표적이다. 18세기의 문법가들이 운율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을 분석하면 당시의 운율 현상은 전반적으로 오늘날의 프랑스어 운율 현상과 유사하다. 현대 음성학적 관점에서 보면 말음절 장음화가 프랑스어 악센트의 중요한 특성으로 자리 잡은 시기가 바로 18세기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