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XLNet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Korean Syntactic Parsing with XLNet (XLNet을 이용한 한국어 구문분석)

  • Kim, Min-Seok;Shin, Chang-Uk;Oh, Jinyoung;Cha, Jeong-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540-542
    • /
    • 2019
  • 문맥기반 사전학습 단어 임베딩이 다양한 분야 적용되어 훌륭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학습한 XLNet 모델을 구문분석에 적용하였다. XLNet은 문장에서 생성 가능한 모든 후보에 대해 트랜스 포머를 기반으로 하는 사전학습을 진행한다. 따라서 문장 전체 정보를 필요로 하는 구문분석에 특히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형태소 분석을 시행한 107.2GB 크기의 대용량 데이터를 사용해 학습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을 세종 구문 코퍼스에 적용한 결과, UAS 91.93% LAS 89.30%의 성능을 보였다.

  • PDF

Metonymy Resolution based on Neural Approach (딥러닝 방식을 이용한 환유 해소)

  • Whang, Taesun;Lee, Chanhee;Yang, Kisu;Lee, Dongyub;Koo, Youngeun;Jeon, Taehee;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375-379
    • /
    • 2019
  • 언어학에서의 환유법은 표현을 위해 빌려온 대상이 다양한 의미로 해석 가능하기에 매우 어렵고 난해한 분야이다. 환유의 특성 상 주어진 엔티티의 환유 여부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앞뒤 단어와의 연관성 뿐만 아니라 문장 전체의 문맥 정보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최근 이러한 문맥 정보를 고려하여 학습된 다양한 모델들이 등장하면서 환유법에 대한 연구를 하기에 좋은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학적 자질 정보를 최소화한 딥러닝을 이용한 환유 해소 모델을 제안한다. LSTM 기반의 feature-based 모델과 및 BERT, XLNet, RoBERTa와 같은 fine-tuning 모델들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fine-tuning 모델들이 baseline과 비교하여 뛰어난 성능 향상을 가져왔으며, 특히 XLNet 모델은 두 개의 환유 해소 데이터 SemEval 2007와 ReLocaR에 대해 각각 90.1%과 95.8%의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 PDF

Scientific Paper Abstract Corpus and Automatic Abstract Structure Parsing using Pretrained Transformer (과학 논문 초록 말뭉치 구축 및 선학습 트랜스포머 기반 초록 자동구조화 방법)

  • Kim, Seokyung;Cho, Yunhui;Heo, Sehun;Jung, Sangke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280-283
    • /
    • 2020
  • 논문 초록은 논문의 내용을 요약해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의 연구결과물에 대한 빠른 검색과 이해를 도모한다. 초록의 구성은 대부분 전형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초록의 구조를 자동 분석하여 색인해두면 유사구조 초록을 검색하거나 생성하는 등의 연구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다. 허세훈 외 (2019)는 초록 자동구조화를 위한 말뭉치 SPA2019 및 기계학습기반의 자동구조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SPA2019 의 구조화 오류를 바로잡고, SPA2019 에서 추출한 1,346 개의 초록데이터와 2,385 개의 초록데이터를 추가한 SPA2020 말뭉치를 새로이 소개한다. 또한, 다양한 선학습 기반 트랜스포머들을 활용하여 초록 자동구조화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BERT-0.86%, RoBERTa-0.86%, ALBERT-0.84%, XLNet-0.86%, DistilBERT-0.85% 등의 자동구조화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ng Korean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Generalization Performance using Cross and Blind Dataset Assessment (기계독해 데이터셋의 교차 평가 및 블라인드 평가를 통한 한국어 기계독해의 일반화 성능 평가)

  • Lim, Joon-Ho;Kim, Hyun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213-218
    • /
    • 2019
  • 기계독해는 자연어로 표현된 질문과 단락이 주어졌을 때, 해당 단락 내에 표현된 정답을 찾는 태스크이다. 최근 기계독해 태스크도 다른 자연어처리 태스크와 유사하게 BERT, XLNet, RoBERTa와 같이 사전에 학습한 언어모델을 이용하고 질문과 단락이 입력되었을 경우 정답의 경계를 추가 학습(fine-tuning)하는 방법이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KorQuAD v1.0 데이터셋에서 학습 및 평가하였을 경우 94% F1 이상의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최고 수준의 기계독해 기술이 학습셋과 유사한 평가셋이 아닌 일반적인 질문과 단락 쌍에 대해서 가지는 일반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번째로 한국어에 대해서 공개된 KorQuAD v1.0 데이터셋과 NIA v2017 데이터셋, 그리고 엑소브레인 과제에서 구축한 엑소브레인 v2018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데이터셋 간의 교차 평가를 수행하였다. 교차 평가결과, 각 데이터셋의 정답의 길이, 질문과 단락 사이의 오버랩 비율과 같은 데이터셋 통계와 일반화 성능이 서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KorBERT 사전 학습 언어모델과 학습 가능한 기계독해 데이터 셋 21만 건 전체를 이용하여 학습한 기계독해 모델에 대해 블라인드 평가셋 평가를 수행하였다. 블라인드 평가로 일반분야에서 학습한 기계독해 모델의 법률분야 평가셋에서의 일반화 성능을 평가하고, 정답 단락을 읽고 질문을 생성하지 않고 질문을 먼저 생성한 후 정답 단락을 검색한 평가셋에서의 기계독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블라인드 평가 결과, 사전 학습 언어 모델을 사용하지 않은 기계독해 모델 대비 사전 학습 언어 모델을 사용하는 모델이 큰 폭의 일반화 성능을 보였으나, 정답의 길이가 길고 질문과 단락 사이 어휘 오버랩 비율이 낮은 평가셋에서는 아직 80%이하의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 기계 독해 태스크는 특성 상 질문과 정답 사이의 어휘 오버랩 및 정답의 길이에 따라 난이도 및 일반화 성능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고, 일반적인 질문과 단락을 대상으로 하는 기계독해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평가셋에서 일반화 평가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PDF

Topic Modeling Insomnia Social Media Corpus using BERTopic and Building Automatic Deep Learning Classification Model (BERTopic을 활용한 불면증 소셜 데이터 토픽 모델링 및 불면증 경향 문헌 딥러닝 자동분류 모델 구축)

  • Ko, Young Soo;Lee, Soobin;Cha, Minjung;Kim, Seongdeok;Lee, Juhee;Han, Ji Yeong;Song, 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9 no.2
    • /
    • pp.111-129
    • /
    • 2022
  • Insomnia is a chronic disease in modern society, with the number of new patients increasing by more than 20% in the last 5 years. Insomnia is a serious disease that requires diagnosis and treatment because the individual and social problems that occur when there is a lack of sleep are serious and the triggers of insomnia are complex. This study collected 5,699 data from 'insomnia', a community on 'Reddit', a social media that freely expresses opinions.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ICSD-3 standard and the guidelines with the help of experts, the insomnia corpus was constructed by tagging them as insomnia tendency documents and non-insomnia tendency documents. Five deep learning language models (BERT, RoBERTa, ALBERT, ELECTRA, XLNet) were trained using the constructed insomnia corpus as training data. As a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RoBERTa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with an accuracy of 81.33%. In order to in-depth analysis of insomnia social data,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the newly emerged BERTopic method by supplementing the weaknesses of LDA, which is widely used in the pa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8 subject groups ('Negative emotions', 'Advice and help and gratitude', 'Insomnia-related diseases', 'Sleeping pills', 'Exercise and eating habits', 'Physical characteristics', 'Activity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uld be confirmed. Users expressed negative emotions and sought help and advice from the Reddit insomnia community. In addition, they mentioned diseases related to insomnia, shared discourse on the use of sleeping pills, and expressed interest in exercise and eating habits. As insomnia-related characteristics, we found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breathing, pregnancy, and heart, a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zombies, hypnic jerk, and grogg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sunlight, blankets, temperature, and na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