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ing side occlusal contact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T-Scan system을 이용한 하악 측방운동 시 교합접촉 분석 (An occlusal contact analysis of lateral mandibular movement using T-Scan system)

  • 송주헌;주세진;이호선;강동완;이경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8-137
    • /
    • 2015
  • 목적: 교합접촉 분석에 대한 연구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T-Scan을 이용하여 하악 측방운동시 교합접촉 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교합 양상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87명을 대상으로 T-Scan을 이용하여 하악 측방운동시 교합접촉을 분석하였다. 최대교두감합위에서 측방으로 3 mm범위까지 교합접촉을 측정하였으며, 최대교두감합위, 우측방운동, 좌측방운동을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교합접촉은 thin metal foil을 이용하여 재확인하였다. 결과는 균형측 교합접촉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고려한 경우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결과: 하악 측방운동시 균형측 접촉 고려 유무에 따라 결과에서 많은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두가지 분류 모두에서 군기능유도가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다. 작업측에서는 견치에서 가장 많은 접촉빈도가 관찰되었으며, 견치에서 구치부로 멀어질수록 접촉빈도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균형측에서는 제 2대구치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성별에 따른 균형측 접촉 빈도는 여성에서 더 높은 균형측 교합접촉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alpha}$=.05). 결론: 전방유도의 양상 중 군기능유도가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다. 작업측에서는 견치에서 가장 높은 접촉빈도가 관찰되었으며, 균형측에서는 제 2 대구치에서 가장 높은 접촉빈도가 관찰되었다.

이갈이와 편심위 교합간섭의 상관관계 분석 (A correlation between bruxism and eccentric occlusal interferences)

  • 이호선;김미경;진수윤;김희중;이경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4호
    • /
    • pp.253-261
    • /
    • 2018
  • 목적: 이갈이와 편심위 유도양상 및 균형측 교합간섭과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이갈이와 비이갈이군 및 성별에 따른 군기능 교합 및 균형측 교합간섭의 차이를 비교하고 편심위 유도 양상 및 이갈이와 균형측 교합간섭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제3대구치를 제외한 상실치가 없는 26 - 37세 사이의 100명의 유치악 성인(이갈이군 39명, 비이갈이군 6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디지털 교합분석장치 T-Scan system을 이용하여 최대교두감합위, 좌 우측방 편심위 운동을 측정하여 균형측 교합접촉의 유무를 판별하였으며 각 대상의 편심위 교합유도 양상에 대해서도 측정하였다. 디지털 교합분석 장치 검사 후 교합지를 이용하여 접촉되는 치아를 재확인 하였다. 결과: 군기능 교합이 이갈이군에서 61.5%, 비이갈이군에서 4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남자는 군기능 교합이 58.9%, 여자는 37.0%로 나타났다. 균형측 교합접촉은 전체 100명 중 48명에서 나타났고 이갈이군에서는 51.2%, 비이갈이군에서는 46%였다. 통계적으로 이갈이와 균형측 교합접촉간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균형측 교합접촉의 차이도 없었다. 결론: 이갈이와 균형측 교합 접촉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갈이군에서 군기능 교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작업측(非作業側) 치아접촉(齒牙接觸) 및 악관절(顎關節) 기능장애(機能障碍)에 관(關)한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 (A Clinical Study on Non-Working Side Contacts and TMJ Dysfunction in Young Adults)

  • 양재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22
    • /
    • 1984
  • A clinical evaluation was made on teeth in 113 subjects from ages 19 to 23 with Angle's Class I occlusion who were free from prosthesis, orthodontics, and occlusal equilibration. The study was made to determine if there was a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occlusion, non-working contact and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From the foregoing study, the author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lateral excursion,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ilateral canine protected occlusion (31%), bilateral group function (32.7%), and mixed type (34.5%). 2. Only 10 of 113 subjects studied had non-working side tooth contacts (8.2 per cent). 3. Twenty per cent of subjects with non-working side contact showed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4. Non-working side contacts were not observed in subjects with canine guided occlusion. 5. It would be premature to relate the type of occlusion on working side directly to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총의치 발달의 역사와 교합원리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Complete denture and its occlusal principle)

  • 임영준;주용훈;이진한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1호
    • /
    • pp.13-21
    • /
    • 2012
  • In an edentulous situation, the dentist must make several determinations when constructing artificial teeth. These include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of mandible with respect to the maxilla, occlusal form and position, vertical dimension, occlusal relationships during both centric closure and eccentric excursive movements. Artificial teeth are attached to a movable base resting on movable and displaceable living tissue subject to damage. They act as a unit; therefore, they must be arranged to function as a unit. Bilateral balanced occlusion is that stability of the denture is attained when bilateral contacts ex ist throughout all dynamic and static states of the denture during function. Lateral excursion in a balanced scheme implies simultaneous working side and nonworking side contact, while occlusal contacts are maintained on both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as the mandible moves anteriorly into protrusion.

T-scan을 이용한 성인정상교합자의 하악운동시 치아접촉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OCCLUSAL CONTACT PATTERN DURING MANDIBULAR MOVEMENTS OF ADULT WITH NORMAL OCCLUSION)

  • 채영아;박남수;최부병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65-579
    • /
    • 1993
  •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analyse and compare the occlusal contact patterns during eccentric mandibular movements in adult with normal occlusion. 50 subjects(male 27, female 23), who had natural occlusion and no symptom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were selected. Teeth contact patterns during mandibular eccentric movements were recorded and the distribution of tooth contacts in maximum intercuspation analysed by T-scan system. And then, tooth contact numbers recored by T-scan and silicone bite registration at centric occlusion were analysed and compar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Antero-posteriorly, the qualitative center of occlusal contacts in centric occlusion were in the first molar areas, but there was a slight deviation in left-right directions. Thus, distribution of occlusal contacts were not bilaterally symmetric. 2. During the mandibular movements from centric occlusal position to right lateral and left lateral directions, the frequency that maxillary canine joined in lateral guidance was relatively high, but pure canine protected occlusion or pure group function occlusion had small frequency. 3. During mandibular protrusive movement, one or more maxillary central incisors frequently joined in protrusive guidance. 4. During mandibular eccentric movements, working and balancing side premature contact was observered in relatively high frequency. 5. In centric occlusal position, the numbers of occlusal contacts recorded on T-scan were relatively smaller than on silicone bite registration.

  • PDF

T-scan III 시스템을 이용한 하악 측방운동 시 교합접촉 양상의 분석 (Pattern Analysis of Occlusal Contacts During Lateral Excursion Using T-scan III System)

  • 이상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59-68
    • /
    • 2013
  • 이 논문의 목적은 시간에 따른 교합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T-scan system을 이용하여 젊은 성인 남성(33명)정상교합에서의 하악골 측방운동 시 교합접촉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정해진 하악 위치에서의 교합접촉이 아닌, 기능적 범위 내에서 비작업측 교합이개 시점에서의 교합접촉 양상을 분류하고 분류된 군 간에 교합이개 시간, 측방유도 시 견치가 담당하는 교합력의 비율, 측방운동 시 가해지는 교합력 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의 분류와는 다른 측방접촉들이 존재하였고 군기능 유도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교합이개 시간, 측방유도 시 견치가 담당하는 교합력의 비율, 측방운동 시 가해지는 교합력 등에서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T-scan system은 교합접촉 양상을 분류하고 교합력, 교합이개 시간, 견치가 담당하는 교합력 비율 등의 항목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도구이다.

이중관 구조 하악 임플랜트 피개의치의 응력 분포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on Telescopic System for Mandibular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 오정란;우이형;이성복;백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9-371
    • /
    • 2008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하악의 동일한 부위에 4개의 임플랜트를 식립하여 임플랜트 피개의치를 설계하는 경우, 바 구조와 이중관 구조 간의 응력분포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하악골, 하악골에 식립한 4개의 임플랜트, 일차고정의 바 연결 상부구조, 이차고정의 이중관 상부구조를 삼차원 유한요소 모델링하였고, 상부 구조물에 최대 교두 감합위를 재현하는 수직하중과 측방운동시 작업측의 군기능을 재현하는 경사하중을 가하고, 최대 응력과 응력분포를 하악골, 임플랜트 지대주, 임플랜트 상부 구조물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1. 악골에서의 최대 응력값은 경사하중을 제외하고 수직하중과 작업측 경사하중에서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에 비해 다소 적은 응력값을 보였다.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에 비해 비교적 악골 전체에 고르게 응력이 분포되었다. 2. 지대주에서는 모든 하중 조건에서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에 비해 낮은 응력값을 보였다. 응력 분포 양상은 두 구조에서 모두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최후방 지대주의 원심면에 응력이 집중되었다. 3. 상부구조물에서는 모든 하중 조건에서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에 비해 높은 응력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바 구조에서는 바의 각 중심부와 지대주와의 연결부위, 지대주의 치경부에 응력이 집중된 반면, 이중관 구조에서는 상부 구조물 전체에 비교적 고른 응력 분포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보다 악골과 지대주에서는 더 낮은 응력을, 상부 구조물에서는 더 큰 응력을 나타냈다. 상부 구조물에 비교적 크게 전달되는 응력을 견딜 수 있는 상부구조물의 설계와 재료 선택만 이루진다면, 응력분포 면에서 이차고정을 하는 이중관 구조가 일차 고정하는 바 구조에 비해 유리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