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en mold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A Study on the Techniques of Composite Mold Structure for Hovercraft Using New Material System

  • Kim, Yun-Hae;Bae, Chang-Won;Park, Keun-Sil;Bae, Sung-Youl;Moon, Kyung-Man;Lee, Sung-Yul;Jo, Young-Dae;Kang, Byung-Yu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699-703
    • /
    • 2008
  •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have been widely used because of their high specific strength, high specific stiffness and etc. Although these kinds of FRP have various merits in applications, it has been had one of the complicated problems to manufacture their wooden mold. For these reasons, the simple methods to manufacture the mold required in the FRP industries. To improve these kinds of problems, the molding system using composite materials was developed. By this new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high functional FRP composite mold was built. Comparing with wooden mold, the process efficiencies of frame manufacturing process and inner mold manufacturing process were improved approximately 40% and 70%, respectively.

주물공장의 Furan 공정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분진의 동시제거 시스템 개발 및 현장설치 연구 (Development and Field Installation of a System of Simultaneously Removing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Furan Process in Foundry)

  • 박진수;정재학;이태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136-148
    • /
    • 2006
  • 주물공장에서는 주철을 녹여서 다양한 기계부품을 만든다. 다양한 기계부품을 만들기 위해 목형을 주물사에 넣은 후 주입구를 만들어 녹인 주철을 투입한다. 주물공장은 furan 공정을 포함해 많은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이 중 furan 공정은 목형에 주물사를 부어 넣는 공정이다. Furan 공정의 첫 단계는 주물사가 서로 엉겨 붙어 있게 하기 위해 접착성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인 furan류를 주물사에 섞게 되고 녹은 주철이 목형으로 들어가는 것이며 고온에 의해 많은 유해 VOC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 공정조업에서 furan용 모래를 목형이 든 주물형틀에 부어 넣게 되고, 이때도 유독가스와 분진이 발생하게 되며 이 분진은 furan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조업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요소가 되며, 이로 인해 조업기피현상이 심화되어 인력수급에 문제가 되고 나아가 사업 경영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업기피의 원인을 제거하고 쾌적한 조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유해 VOC류와 집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유해 VOC 및 분진 동시제거 시스템을 최적 설계하고 나아가 현장에 적용 설치하였다. 그 결과 설치 후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VOC 0 ppm, 분진 $4{\mu}g/m^3$으로 조업환경이 개선되었으며, 조업자들의 조업 기피 요인을 해소하였다. 또한, 우리는 회사의 고용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목조문화재 보존 및 단청에 이용하는 들기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erilla oil for the conserva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 김순권;홍정기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1호
    • /
    • pp.273-291
    • /
    • 2000
  • The perilla oil is painted to the wooden cultural properties of protection of wood and pigment. But that is happened to discolor and gather mold because of the long drying time. So we were put to the test for the improvement of this matter. The result is follows;1. The perilla oil, do not parched domestic Perilla japonica, add to the Japanese acid clay, l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paper that the pore size is less than $7\mum$ 2. If the perilla oil add to the antiseptic of Thiazole origin, the mold is suppressed.3. In the painting of perilla oil, the existing Dan-chung paints one time (Luster generation in the more than two times) and the non-existing Dan-Chung paints two times.

  • PDF

상평통보 주조와 복원기술연구 (Study on the Casting Technology and Restoration of "Sangpyong Tongbo")

  • 윤용현;조남철;정영상;임인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4호
    • /
    • pp.224-243
    • /
    • 2014
  • "용재총화", "천공개물", "The Korean Review"등의 고문헌을 통하여 청동유물 제작에 사용된 소재, 거푸집, 합금 등의 주조기술을 확인하였다. 상평통보 복원 주조실험은 "The Korean Review"를 기초한 주물사주조법을 적용하여 황동, 청동 소재의 모전판(母錢版, 鑄錢版)을 제작하였다. 거푸집은 본기(本器)틀과 목틀, 주물사로 구성되는데 본기틀은 주물사를 담는 바깥 틀의 재질에 따라 목틀과 쇠틀로 나뉘며, 주물사는 옅은 황색의 전북 이리사를 사용했다. 주물사주조법으로 상평통보 복원에 사용된 모합금 성분비를 살펴보면, 황동은 "The Korean Review" 기록의 성분비인 Cu 60%, Zn 30%, Pb 10%를 근거로 삼았으며, 실제 복원에는 합금 시 아연과 납이 기화되어 성분비율이 감소될 것을 감안하여 Cu 60%, Zn 35%, Pb 15%로 설정하였다. 청동은 청주시 신봉동유적 출토 해동 통보의 성분비인 Cu 80%, Sn 6%, Pb 14%를 근거로 하였으며, 실제 복원에는 Cu 80%, Sn 11%, Pb 19%로 설정하였다. 주물사주조법에 의한 상평통보 복원은 목재로 부전(父錢)을 먼저 제작하고 목틀과 본기쇠틀을 이용한 거푸집 만들기, 합금, 주조하기, 모전 만들기 등의 과정으로 모전판(母錢版, 鑄錢版)을 복원하였다. 복원된 상평통보의 모합금과 1차 주조, 2차 주조물의 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동 모합금은 구리는 약 5%가 증가하고 납은 약 4% 손실되었으며, 황동 모합금은 구리는 약 5%가 증가하고 납은 약 4%, 아연은 12%은 감소하여 아연의 손실률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1차, 2차 모전판의 EDS 분석결과 청동 모전판은 1차에 비해 2차에서 납이, 황동 모전판은 아연이 낮게 나온 것은 1차 모전판의 용융과정에서 납과 아연이 기화된 결과로 보인다. 또한 청동과 황동의 모합금과 1차, 2차 주전판의 미세조직에서는 ${\alpha}$상과 크고 작은 납 편석물이 보이고, 황동 모전판에서만 불순물로 보이는 Al, Si 등이 확인되었다.

개방에 따른 실내 온습도 변화가 목조문화재 보존환경에 미치는 영향 예측 (Predicting Influence of Changes in Indoor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of Wooden Cultural Heritages by Door Opening on Their Conservation Environment)

  • 김민지;신현경;최용석;김광철;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798-803
    • /
    • 2015
  • 1년간 측정된 개방 및 인접 비개방 전각의 실내 온습도 및 목재 기둥 내측의 표면함수율을 문헌조사를 통해 확인된 목재 가해균류 포자 발아와 생육이 가능한 최소 온습도(최소 습도의 지속기간 포함)와 목재 함수율과 비교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전각 개방이 전각 내부 보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였다. 개방 여부에 관계없이 연중 전각 내부의 온습도 및 목재 함수율 조건은 부후균과 변재변색균의 생육에는 부적절하였으나 장마철이 포함된 여름철 전각 내부의 온습도 및 목재 함수율 조건은 표면오염균의 생육에 적절하였다. 표면오염균 생육을 위한 상대습도 및 목재 함수율 조건, 즉 실내 상대습도가 75% 이상으로 상승한 후 지속되는 기간과 목재 기둥 내측의 표면함수율이 15% 이상으로 상승되는 총 일수를 비교할 때, 전각 내부의 표면오염균 관련 보존환경은 개방 전각이 비개방 전각에 비해 다소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오히려 비개방 전각의 경우, 외기 상대습도가 높아지는 여름철에는 전각 내부의 상대습도를 낮추기 위해 문을 개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국 문양을 활용한 직물 구조 디자인 개발 - 떡살무늬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study of New Weaving Structures by Korean Traditional Patterns - Focus on Tteoksal Patterns -)

  • 유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90-197
    • /
    • 2008
  • 기계적 명령어인 정경 (Threading)과, 트레들링(Treadlings)을 토대로 디자인해야 하는 직조 디자인은 표현의 한계성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연구되어진 많은 한국 전통문양 자료들 중에서도 특히 떡살에 의해 한계 지어지는 떡살문양의 표현이 서로의 접목을 용이하게 하여 떡살문양을 선택하여 디자인의 컨셉을 잡았다. 특히, 문자문양과 기하학문양은 문양의 일반적 특징인 아름다움의 추구보다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두려움과 경이로움을 토대로 하여 생겨난 종교적 갈망과 기원을 담고 있어 이러한 이미지들을 토대로 트윌(Twill)기법, 특히 그 안에서도 형태적 표현이 용이한 샐리낼슨(Sally Nielsen)의 로즈펫(Rosepath)의 정경을 중심으로 활용하여 한국적 문양을 직조구조로 디자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세계의 위버(weaver)들에게 우리의 문양을 소개하는 계기가 되고 우리나라 산업에서는 이러한 직물디자인이 산업체에서 활발하게 활용되어 고부가가치의 자산을 획득하고 우리의 우수한 문화를 상품화 하고 문화산업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전통 마감제인 명유의 방미효력 평가 (Evaluation of Anti-Stain Efficacy of Myoung-oil, Traditional Coating Agent)

  • 윤새민;박용건;전우석;이현미;황원중;남기달;박재관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05-51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재현한 전통 명유, 전통 명유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개발한 크린 명유, 그리고 명유의 원료이자 현재 목조문화재를 보수할 때 단청의 마감제로 사용되고 있는 생들기름의 방미효력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생들기름은 방미효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두 종류의 명유는 모두 높은 성능의 방미효력을 보였다. 하지만, 명유를 천연용제인 테르펜유에 희석하여 사용하면 균주에 노출된 지 4주 만에 방미효력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목재에 처리된 약제의 함량이 명유의 방미효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목조건축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명유가 들기름보다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마감제로 더 적합하며, 야외 환경에서의 곰팡이 성장 억제를 저해 할 수 있는 최적의 처리량 및 처리 방법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하여 명유의 적용 가능성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항진균성 펩티드에 의한 표고버섯 푸른곰팡이병의 억제 (Suppression of green mold disease on oak mushroom cultivation by antifungal peptides)

  • 이형진;윤영배;허정훈;김영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49-153
    • /
    • 2017
  • 원목과 톱밥배지에서 푸른곰팡이의 오염과 성장은 표고버섯의 생장을 심하게 저해할 수 있다. 표고버섯 재배에서 푸른곰팡이병의 방제를 위하여 농약과 항생제와 같은 화학 약품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푸른곰팡이병의 방제를 위하여 느타리버섯에서 갈반병을 일으키는 세균성 병원균을 분리하고 이들의 펩티드 독소를 분리하였다. Pseudomonas tolaasii 균주들은 항진균 활성을 갖는 톨라신 및 이와 구조적 유사체인 다양한 펩티드 독소를 분비한다. 이러한 펩티드들은 표고버섯의 생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펩티드 독소들을 Trichoderma harzianum H1 푸른곰팡이에 처리하였을 때, 푸른곰팡이의 성장을 저해하였다. 펩티드를 분비하는 20 종의 P. tolaasii 균주 중에서 강, 중, 약의 항진균 활성을 가진 균주의 수는 각각 8, 5, 7 종으로 나타났다.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동안에, 펩티드 독소를 함유한 세균 배양액에서 세균을 제거한 배양원액을 톱밥배지 표면에 자란 푸른곰팡이 균사에 분무하였다. 배양원액은 푸른곰팡이의 성장은 억제할 수 있는 반면, 표고버섯 생장과 생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펩티드 독소를 함유하는 배양원액은 곰팡이의 흰색 균사체를 노란색의 마른 딱지로 변화시켰고, 이것은 펩티드 독소가 강력한 항진균 활성과 살균 활성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 지역의 불탑형식 -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의 기록과 현존 유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upas in Xinjiang Uyghur Area - Focused on Da Tang Xi-Yu-Ji(大唐西域記) and Stupa Remains -)

  • 천득염;정지윤;신규나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4호
    • /
    • pp.71-86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of stupa, which has originated in India, to the Xinjiang Uyghur region and the features of the stupas in the Xinjiang Uyghur region in detail. This study examines the layout of the buildings in temple compounds and the types, structural elements, an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stupas in the Xinjiang Uyghur region in particular by looking into the content of the Da Tang Xi Yu Ji and remaining stupas, which provide examples of stupas at the time. This study finds tha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ry deserts, stupas in Xinjiang Uyghur region, where assimilation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is seen, were mostly made by pressing clay into a mold and had no interior spaces. Also, construction materials and techniques had been developed and improved in a way that enabled stupas to combat the challenging desert conditions. However, the stupas in this region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wooden tower-like stupas discovered in central China(zhongyuan 中原). The shape of the dome of most stupas in Xinjiang Uyghur region was chos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Gandharan style. Some of the stupas in the region have taken the general forms of the wooden stupas and the others have taken many forms, from cylindrical drums to towers. Also, there have been forests of stupas and stupas similar in form to chaityas and stupas of Vajrayana. Such different forms were transformed and modified through regional history and it was related to the peoples and cultures that produced and used stupas. Stupas evolved into distinct forms in Xinjiang Uyghur region in this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