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re tip angula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심미 브라켓의 종류와 브라켓-호선 각도에 따른 마찰 저항에 대한 연구 (Evaluation of friction of esthetic brackets according to different bracket-wire angulations)

  • 제영지;장민희;임용규;이동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41-350
    • /
    • 2007
  • 본 실험은 마찰력을 줄이고 물리적 성질을 개선하여 최근에 개발된 수 종의 심미 브라켓들과 교정 탄선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측정,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일반 슬롯의 세라믹 브라켓인 Inspire, Signature III와 Cristaline V, 스테인레스 스틸 (SS) 슬롯을 가진 세라믹 브라켓인 Clarity, 골드 슬롯을 가진 Luxi II, polyoxymethylene 계열의 플라스틱 브라켓인 Brillant, SS 슬롯을 가진 컴파짓 브라켓인 Spirit MB, 금속 브라켓인 Integra를 사용하여 018"원형의 교정 탄선에 $0^{\circ}$, $4^{\circ}$, $8^{\circ}$의 tip angulation을 부여하고 elastic module로 결찰한 뒤 인공 타액 상태에서 활주이동 할 때의 운동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슬롯에 silica 처리된 세라믹 브라켓 (CR)이 유의하게 낮은 마찰력을 보였고 (p < 0.05),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이 (IN) 유의하게 큰 마찰력을 보였다 (p < 0.05). 플라스틱 브라켓인 polyoxymethylene 계열의 BR이 낮은 마찰력 양상을 보였고 이는 금속 브라켓과 유사하였다. 모든 브라켓에서 브라켓-탄선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마찰력이 증가하였으나 주사전자현미경상에서 탄선이나 브라켓에 손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마찰력의 양상이 브라켓의 재질로 추측할 수 있는 것과는 다르게 나타난 결과로 보건대 심미 브라켓이 스테인레스 스틸 브라켓에 비해 마찰력 면에서는 오히려 우수하거나 큰 차이가 없으므로 임상적으로는 마찰력은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겠다.

한국인의 Straight Wire Bracket의 형태에 관한 연구 (A MORPHOLOGIC STUDY ON STRAIGHT WIRE BRACKET FOR KOREAN)

  • 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81-493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norm of the crown shape (tip, torque, in/out) and arch form,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abricating straight wire bracket and ideal arch wire for Korean. 100 subjects aged from 17 to 26 (50 females, 50 males) were selected with a normal occlusion. By measuring the size, angulation, inclination, arch width, facial prominance of the teeth and the molar offse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verage, standard deviation, minimum, maximum of each measuring item for each teeth were obtained. 2. Intermolar width (${\underline{6}}$ to ${\underline{6}}$) of upper arch before occlusal surface cutting and intermolar width of upper arch (${\underline{6}}$ to ${\underline{6}}$, ${\underline{7}}$ to ${\underline{7}}$) after occlusal surface cutting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exes in any other measuring items. 3. Arch form and specification of straight wire bracket for Korean who have normal occlusion was obtained.

  • PDF

변연융선평면을 계측기준으로 한 정상교합자의 구치부 치관경사도에 관한 연구 (Crown angulations of posterior teeth of normal occlusion measured from marginal ridge plane)

  • 임성훈;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31-740
    • /
    • 1998
  • 이전의 preadjusted appliance 개발을 위한 치관경사도의 계측에 있어서는 교합평면을 계측기준으로 사용했는데, 교합평면은 Spee 만곡으로 인해 브라켓 부착점들을 연결하는 선(Andrews' plane)에 평행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pee 만곡에 영향받지 않으며, Andrews' plane에 보다 평행한 계측기준으로 각각의 구치의 근, 원심측 변연융선을 잇는 가상선을 설정하고, 이를 변연융선평면으로 명명하였다. 교합평면과 변연융선평면으로부터 각각 정상교합자의 구치부 치관경사도를 계측하여 비교한 결과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한 치관경사도가 특히 상, 하악 제 1소구치(P<0.05) 및 제 2대구치(P<0.01)에서 Spee 만곡의 영향을 받음을 발견하였다. 구치부 치아들의 치관경사도는 Spee 만곡의 양에 따라 변해야만 인접치간 변연융선의 불일치가 생기지 않는다.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다소의 Spee만곡을 갖는 정상교합자 표본에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계측한 치관경사도를 Spee 만곡이 없는 교합평면이 치료 목표의 일부인 bracket system에 적용하는 오류가 있었다. 이러한 치관경사도와 Spee 만곡 사이의 부조화는 Spee만곡이 straight wire에 의해 완전히 leveling되었을 때 변연융선 불일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치부 브라켓 slot이 변연융선평면에 평행하도록 브라켓 경사도를 결정하는 것이 추천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