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re/Wireless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24초

원형 동축 선로에서 광대역 매칭 커넥터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ide Band Matching Connector in Round Coaxial Lines)

  • 김병우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52-157
    • /
    • 2012
  • In this paper, smoothing plane connector have been proposed as the vehicle connector for th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5.925GHz) communication. This smoothing plane connector is designed by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critical parameter like smoothing distance of start to end point of contact area. The design simulation and result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smoothing plane wire dimensions for vehicle communication connector. The optimized WAVE connector inserted the smoothing plane wire has insertion loss less than-0.17dB at 5.925GHz. It provides 20% of insertion loss with good performance. Therefore, the simulated results can be effectively used for optimum design of high frequency connector for vehicle communication.

전차선 압상량 검출을 위한 최적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Optimization of the Uplift Amount Measurement System of Overhead Contact Line)

  • 박영;이기원;박철민;권삼영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2권6호
    • /
    • pp.886-890
    • /
    • 2013
  • Uplift of contact wire and dynamic characteristics between pantograph and contact wire are key interaction performance of OCS (Overhead Catenary System). These two evaluation items are the approval criteria for the performance between OCS and pantograph. A telemetry system or DAQ (Data Acquisition) System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make it monitor a dynamic behavior which is measured directly in a 25 kv like parts. While permissible working time is too short time to install is too long. In this paper, it is described that optimization the telemetry measurement system for OCS and increasing accuracy, easy adaptation, and faster handling can be also achieved through the study.

무선망에서 데이터 전송 향상을 위한 SCTP SNOOP 적용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SCTP SNOOP for Improving a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Network)

  • 황은아;송복섭;김정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6-129
    • /
    • 2007
  • 최근 유무선 혼합망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무선망의 핸드오프, 경로 손실, 페이딩, 등과 같은 전송 오류의 원인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전개되고 있다. 유선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표준 TCP, SCTP를 무선망에 적용하는 것은 혼잡제어, 흐름제어의 메커니즘을 적용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는 무선망에서 SCTP를 적용하기 위해서 SCTP와 SNOOP을 혼합하는 것으로, 무선망에서 전송오류가 발생했을 때 BS의 동작과정을 개선한 것이다. BS(Basic Station : 기지국)는 전송오류 시 ZWP(Zero Window Probe)를 MN(Mobile Node:이동노드)에게 보내어 경로와 상태를 확인하고 RWND를 갱신하여 에러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새로운 경로를 선택하고, FH(Fixed Host : 고정호스트)에게는 ZWA(Zero Window Advertisement)를 보내어 혼잡제어나, 흐름제어 메커니즘을 호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대기상태로 기다리게 한다. 무선망의 연결이 안정된 후에 데이터 전송을 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약 10% 향상한다.

  • PDF

실외환경에서 캠퍼스무선랜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campus wireless LAN in outdoor environment)

  • 강민수;김명환;박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753-757
    • /
    • 2005
  • 무선랜은 유선랜의 대안으로 개발되어 설비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특수분야와 특수용도로만 이용되어오다가 최근 들어 그 표준과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여 현재는 건물간의 중계회선 또는 광범위의 유저들을 위한 일대일 통신등의 수단과 고속인터넷의 중계회선, 그리고 멀티미디어 대폭을 요구하는 화상통신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개발당시 10Mbps의 전송속도에서 시작하여 최근에는 100Mbps 대역까지 확장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캠퍼스 무선랜의 경우 인터넷 중계회선으로서 체감적으로 차이는 있지만 최소 10Mbps속도로 반경 $100\~200m$ 범위를 보장하여야한다고 사료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이용환경에서 무선랜이 인터넷 중계회선으로서의 효용성입증을 위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 IEEE802.11b 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경우 최소 3개 이상의 AP로서 구성하여야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향후 해양환경에서의 무선랜의 성능평가를 수행함에 그 목적이 있다.

무선 Ad hoc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위장 공격 방지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ive Prevention Mechanism of Masquerade Attacks on Wireless Ad hoc Network)

  • 홍순좌;박현동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35-149
    • /
    • 2006
  • 무선 Ad hoc 네트워크는 통신 채널의 취약성, 노드의 보안 취약점, 기반 구조의 부재, 동적인 위상 변화 등의 특성으로 인해 보안 메커니즘 설계 및 구현이 기존 유선 네트워크에 비해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이 유선 네트워크의 보안을 무선 Ad hoc 네트워크로 적용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무선 Ad hoc 네트워크의 본질적인 문제로 인하여 효과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무선 Ad hoc 네트워크의 보안 분야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협업된 위장노드들의 대량의 위장 패킷 공격으로 인해 네트워크 자체의 생존성 및 가용성에 새로운 문제가 있음을 제기하고 그 결과를 증명한다. 또한 무선 Ad hoc 네트워크의 생존성 및 성능 향상을 위한 접근 방법으로 기존 방식의 기준을 탈피하여 무선 Ad hoc 네트워크의 특성을 반영하는 생존성 강화를 위하여 효율적인 위장 공격 방지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원격 크레인 와이어 로프 결함 탐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Remote Crane Wire Rope Flaws Detection Systems)

  • 민정탁;이진우;이권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7-102
    • /
    • 2003
  • 와이어 로프는 엘리베이트, 건설현장의 리프트, 현수교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응용되어 지고 있다. 특히,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는 컨테이너 이송에 중용한 요소로서 컨테이너 이송 시 로프에 결함이 발생한다면 안전사고, 생산성 저하에 따른 경제력 손실 그리고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쟁력 손실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초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원격 크레인 와이어 로프 결함 탐지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본 시스템은 크게 결함 탐지부, 신호 처리부, 원격 모니터링부로 구성되어져 있다. 측정된 신호는 외부적 환경으로부터 노이즈를 가지게 되는데 원신호로부터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산 웨이브렛 변환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와이어 로프 결함을 탐지하는데 있어서 좀더 쉽게 결함을 판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은 와이어로프의 교체 시기 연장으로 항만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경쟁력 향상 그리고 엘리베이터, 리프트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 이러한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Integration of Wireless Body Area Networks (WBANs) and WAN, WiMAX and LTE

  • Hu, Long;Dung, Ong Mau;Liu, Qiang;Han, Tao;Sun, Yanta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5호
    • /
    • pp.980-997
    • /
    • 2013
  • Nowadays, wireless communication has a great advantage in technology. We use wireless devices almost in all expected life such as: entertainment, working and recently in the healthcare area, where Wireless Body Area Networks (WBANs) become a hot topic for researchers and system designers. Recent work on WBANs focus on related issues to communication protocol, especially ZigBee network is fine tuned to meet particular requirements in healthcare area. For example, some papers present real-time patient monitoring via ZigBee communication given the short distance between body sensors and remote devices, while the other work solve the limited coverage problem of Zigbee by designing mechanisms to relay Zigbee data to other types of wire or wireless infrastructure. However, very few of them investigate the scenarios of ZigBee coexisting or integrated with other network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from ZigBee end devices to Wide Area Network (WAN), Worldwide interoperation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WiMAX) and Long Term Evolution network (LTE). We provide in detail the ZigBee gateway components. Our simulation is conducted by OPNET, we visualize many topology network scenarios in ZigBee hybrid system. The results in simulation show that ZigBee end devices can successfully transmit data in real-time to other network end devices.

무선 LAN 환경에서 단말 이동시 전송되는 AP간 WEP 키 전송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WEP Key transmission between APs, during STA Movement in Wireless Environment)

  • 송일규;홍충선;이대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2호
    • /
    • pp.219-228
    • /
    • 2004
  • 무선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이란 옥내 또는 옥외 환경에서 무선으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말하며,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허브(Hub)에서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PC, PDA 등 클라이언트까지 유선 대신 전파나 빛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말한다. 현재, IEEE 802.11 WG(Working Group) 중에는 AP(Access Point)간의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TGf(Task Group F)가 있다. 이 그룹에서는 서로 다른 제조업체에서 생산한 AP 간의 상호연동을 보장하기 위한 IAPP(Inter Access Point Protocol)를 제안하였는데, 이는 동일 서브네트워크 내의 서로 다른 AP간에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STA(Station)들이 이동할 때 재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AP간의 Security Context 정보나 Layer 2 forwarding 정보를 공유함으로서 STA간의 seamless 연결성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AP간 메시지 전달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성이 요구되는 iapp-move 요청, 응답 메시지를 이미 사용되고 있는 인증된 경로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WEP키 등의 보안성이 요구되는 정보의 유출을 막고, 무선구간의 보안성을 제공하기 위해 공개키를 이용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HSDPA 환경에서의 u-Healthcare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품질 측정 방안 연구 (A Study on Wireless Data Quality Measurement Method for u-Healthcare Service in HSDPA Environment)

  • 윤성열;박석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27-134
    • /
    • 2011
  • 최근 각광받고 있는 무선 데이터 통신 인프라는 유선에서의 한계점을 넘어 빠른 속도로 발전 하고 있다. 특히, 이를 이용한 u-Healthcare 서비스에 대한 이슈가 증가하고 있으며,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무선 데이터망의 품질 보장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유선망에 대한 종단간 품질관리만을 집중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망에 대한 품질관리 연구가 미비하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연구로 u-Healthcare 서비스를 제공받는 무선 데이터 망 사용자의 품질 보장 및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방안인 무선 환경을 고려한 무선서비스 품질측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무선데이터 품질 측정 지표 및 기준을 선정하였고, 품질 측정 평가 방안을 서비스별로 제시하였으며, 각각의 서비스 별로 품질지표를 제시하였다.

위식도 역류 실시간 모니터링 마이크로 와이어 pH 전극 개발 (Development of Micro Wired pH Electrode for Real-Time Monitoring for Gastroesophageal Reflux)

  • 김응보;이규진;소상균;정연호;박정호;김남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277-284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an implantable pH measurement electrode for wireless gastroesophageal reflux measurement. Usually, gastroesophageal reflux is diagnosed by a catheter-type wire connection between the esophagus and the diagnostic device which brings many side effects such as restriction of daily living, pain, and discomfort in the nasal cavity and pharynx of patients. In order to solve these issues, researchers have been studied a wireless measurement method and a micro-sized pH electrode for human body insertion is necessary. Commercial glass packaged pH meter is formed by a sensing and a reference electrodes in a KCl solution. However, if the glass meter is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there are risks of leakage of the solution, breakage of the glass package, injury of the body elements. Therefore, the solution should be solidified on the micro-sized noble metal wire which has a characteristic of biocompatible. After solidified wire fabrication, the designed meter was tested for feasibility of measurement and the result was well agreed with pH values of commercial pH meter. Potentials in pH 1 to 12 solution was measured to obtain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with linearity. And we have designed a simula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with symptom frequency, interval, and duration time in pH 2 solution. The proposed sensor has capable to get the same potential for 24 measurements in 3 days, and it has sensed same pH values of 2 for one hour with every 10 minutes. Furthermore, the sensor was survived for 48 hours with reasonable potentials in the acid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