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 mortality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에서 수분수지의 생태적 중요성과 대기오염 및 토양 산성화로 인한 식물의 수분스트레스 증대 효과 (Ecological Importance of Water Budget and Synergistic Effects of Water Stress of Plants due to Air Pollution and Soil Acidification in Korea)

  • 이창석;이안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3호
    • /
    • pp.143-150
    • /
    • 2003
  • 한국은 양적으로 강수량이 풍부하지만 강우현상이 편중되어 매년 일정기간의 가뭄기를 겪는다. 더구나 그 토양은 대부분 화강암에서 유래한 거친 입자의 것으로서 보수력이 낮다. 수 종의 참나무류와 소나무의 수분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결과는 수분수지가 식생의 분포를 결정하는 주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몇몇 상록식물의 월동기간 중 내한성 기작에 기인한 탈수 정도는 자연상태에서 그들의 분포와 밀접하게 관계되었다. 수분스트레스 처리 실험 결과 소나무는 건조에 대해 강한 내성을 보였지만 그 유식물은 가뭄기에 높은 고사율을 나타내었다. 그 고사율은 지소의 토양수분함량에 비례하는 경향이었다. 가뭄이 심한 6월 중 삼림토양의 수분함량과 수분스트레스 처리 실험에서 소나무 유식물이 영구위조점에 도달한 시점에서 배지토양의 수분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가뭄기에 소나무 유식물의 높은 고사율이 수분부족에 기인함을 입증하였다. 대기오염물질 폭로실험 중 측정된 시료식물의 수분포텐셜은 시료식물에서 가시피해의 발생과 그 내성에 수분요인이 관계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야외 현장 조사와 실내실험 결과 둘 다에서 심한 대기오염에 노출된 식물은 그렇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수분소실이 빠르게 일어나는데, 그것은 오염물질에 의한 잎 표면의 손상 정도와 관계되었다. 산성 토양에서 높은 함유량을 보이는 알루미늄은 식물의 뿌리생장을 억 제하거나 비정상적 분포를 가져와 수분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대기오염과 토양 산성화에 기인한 이러한 수분스트레스 효과는 한국의 기후와 토양이 가지는 기존의 수분결핍효과에 덧붙여져 삼림쇠퇴를 유발하는 주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높여 포장용수량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sludge는 산성토양을 개량하는데 기존의 개량제 못지않은 효과를 보였고, 낙엽 추출물 또한 알루미늄에 의한 수분스트레스 효과를 완화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한국에서 삼림쇠퇴를 유발할 수 있는 스트레스요인들의 잠재적 상호작용을 모식화하였다. 나아가 그것을 완화할 수 있는 복원방안을 토양개량과 식생복원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일 종합병원 응급실 이용환자의 중증도 분류 (A Study on the Triage and Statitical Data of Patients in the Emergency Room, PNU)

  • 김영혜;이화자;조석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8-8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R patient's Triage and other statistical data. The subjects were 12,618 patients who visited the ER during the year 1998.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male vs female ratio was 1.3 : 1.0, the male were in the majority (56.6%), and the age range of 20-29 old was the majority (15.3). The patients who visited ER at 8-10 pm were the majority (11.5%). On Sunday the number of patients who visited the ER were 2,189, and the majority were 17.4%. On Saturday the number of patients was visited the ER were 1,944 patients the second majority (15.4%). Their traffic means : the general passenger cars (75.5%), 119 or hospital ambulance (11.3%). 2.The reasons of visiting ER were : diseases (59.2%), injuries (23.7%). The disease vs injury ratio was 100 : 69. 3. Triage : urgent 40.7%, non-urgent 38.2%, acute 17.8%, and critical 3.2%. 4. The time of waiting and staying in the ER by the Triaget: the average time was 572 minutes (9.53 hrs.). The majority of critical patients (20.5%), acute patients (24.7%) and urgent patients (21.2%) stayed 12-24 hrs., but the majority of non-emergent (27.8%) stayed not longer than one hour. 5. Treatments by the Triage : the 42.9% of critical patients, and 61.3% of acute patients, 57.5% of urgent patients were admitted. But 91.8% of the non-emergents were discharged and 4.7% was admitted. Mortality of total ER visiter were 1.7%. DAA portion was 0.86%. 26.6% of the critical patients were DAA. DAA vs DOA ratio was 1.3 : 1.0. 6. Visiting time, monthly and seasonal distribution by the Triage : the majority of critical patients (12.2%), visited 10-12 am. The majority of acute (12.9%) and urgent (11.7%) visited 4-6 pm, but the majority of non-emergents (15.1%) visited during 8-10 pm. Autumn visiter were the majority (27.6%). The percentage of non-emergent visited in Spring was 41.4% and Autumn was 41.3%. The percentage of urgents who visited in the Summer was 45.3% and the Winter was 40.4%. By clinical departments: the 48.0% of critical patients was NS. The 45.5% of acute and the 33.6% of urgent patients were IM. But the majority of non-emergent patients was PS (21.2%), and the second majority of non-emergent patients was oral Surgery (12.8%).

  • PDF

우리나라 일부지역의 입자상 물질 농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articulate matters in Korea)

  • 손부순;공미연;박종안;양원호;김종오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4호
    • /
    • pp.24-35
    • /
    • 2003
  • Recent epidemiologic studies revealed that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and fine particulated matter have some effects on health status and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and morbid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background mass concentration of fine particle (PM2.5) and metallic composition from September 2001 to August 2002 in comparison with a medium city, Asan and metropolitan city, Seoul. Conclusively, proper management for fine particles was required in a medium city, Asan, considering the concentrations of metallic elements in fine particles in Asan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Seoul.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Average mass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les in Asan and Seoul were 37.70(${\pm}18.41{\;}{\mu}g/\textrm{m}^3$) and 5.83(${\pm}38.50$) ${\mu}g/\textrm{m}^3$, respectively. When the weather conditions were classified as normal and yellow-sand, measured average mass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les in yellow-sand weather cond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rmal weather condition in both cities (p<0.05). 2. Depending on seasons, measured average mass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les in Asan and Seoul in spring were 47.76(${\pm}19.07$) ${\mu}g/\textrm{m}^3$m and 61.53 (${\pm}4.37$) ${\mu}g/\textrm{m}^3$, respectively. In summer, the average mass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les in Asan and Seoul were 29.44(${\pm}9.85$) ${\mu}g/\textrm{m}^3$ and 25.42(${\pm}8.10$) ${\mu}g/\textrm{m}^3$, respectively. Especially, the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spring and the lowest in summer among four seasons. 3. Average concentrations of manganese(Mn), iron(Fe), chromium(Cr), cadmium(Cd), lead(Pb) and silicon(Si) in fine particles in Asa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oul (p<0.05). Average concentration of Si in fine particle in Asan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eoul during yellow -sand condition (p<0.05). 4. Considering the characterization of four seasons, average Pb concentration of fine particle in Asa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eoul in spring(p<0.01). In summer, average Mn and Cr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le in Asan is higher than those of Seoul (p<0.05). Average Mn, Fe. Cr and Si concentrations in fall (p<0.05), and average Mn, Fe, Cr, Pb, and Si concentrations in winter (p<0.05) in Asan were higher than those of Seoul, respectively. 5. Mass concentrations of each Mn, Fe, Cd and Si in fine partic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th cities. In normal weather condition, Mn, Cu and Si concentration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san, while Mn, Fe, Cu and Si concentration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oul. Mn, Fe and Si concentrations in both c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uring yellow-sand weather.

월동기간 중 Zoysiagrass와 Creeping Bentgrass의 저온내성에 대한 항산화 효소 및 지질과산화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nt Enzymes and Lipid Peroxidation Related Low Temperature Tolerance in Overwintering Zoysiagrass and Creeping Bentgrass)

  • 김대현;이복례;이재식;이명;김태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7-276
    • /
    • 2006
  • 월동기간 동안 zoysiauass [Zoysia matrella (L.) Merr]와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nds)의 뿌리에서 저온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규명하기 위해 지질과산화 정도와 효소적 항산화 반응 및 탄수화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월 말 Creeping bentgrass의 뿌리 고사율은 zoysiagrass 보다 약 20%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Creeping bentgrass의 뿌리 성장은 온도변화와 거의 평행하게 변화하였으나 zoysiauass는 뿌리 성장에 거의 변화가 없이 4월 말까지 유지되었다. Polyssacharide(starch+fructan)의 함량은 두 품종에서 별다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zoysiagrass의 총비구조적 탄수화물이 creeping bentgrass에 비해 약 10% 높게 나타났다. Malondialdehyde(MDA)의 농도는 creeping bentgrass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Creeping bentgrass의 peroxidase의 활성은 zoysiagrass에 비해 약 4.2 배 높았으나 superoxide(SOD)와 catalase(CAT)의 활성은 각각 22%와 67% 낮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creeping bentgrass 보다 zoysiagrass가 월동 기간 중 저온 내성 메커니즘을 우선적으로 작동시키며 저온 스트레스에 대해 덜 민감하다는 것을 잘 나타내고 있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의 한약 치료에 관련된 WHO 임상논문 보고에 대한 개관 (An Overview on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SARS) in WHO Clinical Reports)

  • 장인수;형례창;한창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40-452
    • /
    • 2005
  • Objective: In the winter of 200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SARS) began to spread throughout the world. More than 5,000 cases were reported in China, including over 1,700 cases in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Hong Kong SAR). The total number of cases reported from Canada and Singapore was more than 200. The total number of SARS cases world-wide reached 8,437 with incidences in 29 counties. Mortality from SARS is estimated at $10{\sim}12%$. When the SARS outbreak occurred in China, the State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f China immediately initiated clinical research projects on the use of integrated herb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for treating SARS. and, in Hong Kong SAR, research on the use of herbal medicin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ARS. Reports were released during convalesc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verview twelve clinical SARS reports of WHO on the treatment of SARS with herbal medicine and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reatment of SARS with herbal medicine, and further to share experiences and knowledge of the treatment of SARS. Methods: Twelve clinical reports about SARS from the WHO were selected, overviewed and evaluated for efficacy and safety of treatments of SARS. Results and Conclusion: Twelve clinical reports about SARS showed that the integrated treatment may have advantages, and the advantages are reflec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herbal medicine is not targeted only at a specific etiology or a certain pathological link, but also at the path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at that particular time. Therefore, comprehensive readjustment was made through various angles, targets and channels to restore the balance of the body. Secondly, there are advantages in the differentiation of the disease and the treatment. Based on the various symptoms, herbal medicine enables the physician to adopt the most suitable principle, provide individual treatment, and to administer medicine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process and nature of the illness. Thirdly, there are advantages in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herbal medicine can relieve symptoms, promote absorption of lung inflammation, improve the degree of blood oxygen saturation, regulate immunological functions, reduce the required dosage of glucocorticoid and other Western medicines, and reduce case fatality rate, in addition to lowering the cost of treatment.

  • PDF

지렁이를 이용한 젖소분뇨 처리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Disposing Method for Dairy Cow Manure by Vermiculture)

  • 나영은;한민수;이상범;김세근;박형만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5-131
    • /
    • 2000
  • 본 연구는 상수원 보호구역 내의 젖소 사육농가에서 발생하는 과잉의 분뇨를 지렁이 먹이로 사용하여 환경친화적 처리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 일환으로 지렁이 양식사를 고안하였으며 이 양식시설을 이용하여 지렁이가 우분을 가장 잘 먹을 수 있는 환경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 의해 증식된 지렁이를 닭 먹이로 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지렁이 배설물(분변토)의 특성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circled1 지렁이양식 하우스의 겨울철 사육상 기온은 밤과 낮의 기온 차이가 거의 없이 영상의 기온을 유지하였고,여름철에는 낮과 밤 모두 25-28$^{\circ}C$사이로 유지되었다. \circled2 지렁이 양식상의 피복 방법에 따른 우분 소비량은 무피복보다는 밀착피복이 많았고, 간격피복이 파장 많았다. \circled3 우분은 배설후 경과일수가 적고 순수한 우분일 때 섭식량이 많았다. 양식상에서 지렁이의 탈출수는 우분의 경과일수와 상관없이 밀착피복에서 가장 많았고, 간격피복에서는 우분의 경과 일수가 많을수록 탈출수가 많이 나타났다. \circled5 지렁이 치사는 밀착피복에서만 나타났다. \circled6 지렁이의 우분처리 능력은 우분과 분변토의 건물중량 기준으로 51%가 감량되었고, 무기염류는 우분에 대하여 N: 41%, P$_2$ $O_{5}$: 50%, $K_2$O: 60%가 각각 절대량이 감소되었다. \circled7 생체 지렁이를 닭의 사료로 첨가하려면 닭의 체중 600g 이상에서는 가능하나, 450 g 미만인 경우는 닭이 죽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상수원 보호구역 내치 소규모 젖소 사육농가에서 발생하는 과잉의 분뇨를 지령이 양식하우스를 설치하여 먹이로 활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처리 후 동시에 우분을 그 양의 반이상이 감량되면서 퇴비(분변토)로 전환되는 비법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영양화 물질을 줄여 수길 오염을 경감하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1978년 진해만 적조와 양식굴의 대량폐사 (MASS MORTALITYS OF OYSTER DUE TO RED TIDE IN JINHAE BAY IN 1978)

  • 조창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3
    • /
    • 1979
  • 1978년 진해만에서 있었던 적조현상과 양식 굴의 대량폐사에 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진해만에서 1978넌 9월중 양식 굴의 대량폐사가 있었다. 폐사량은 $96\%$인 5,687M/T으로 피해액은 22억 7천 5백만원이었다. 2. 상기의 대량폐사는 지속된 고온, 대규모의 적조와 그로 인한 저층수의 빈산소 내지 무산소화로 인한 질식이 주 원인의 일보였다고 추측된다. 3. 적조의 원인종은 와편모조의 일종인 Ceratium fusus로서 각장 $340{\mu}m$, 각폭 $20{\mu}m$ 정도의 대형 식물플랑크톤이었다. 클로로필-a량은 최고 $50mg/m^3$ 이었다.4. 춘기의 가뭄과 6월의 다우로 성층이 형성된데다 지속된 고온과 장일조 그리고 해상의 평온함이 대규모의 적조를 유발시킨 원인의 일부라 생각된다.

  • PDF

Rotavirus 및 Adenovirus에 의한 급성 장염에 관한 비교 연구 (Distribution of Rotavirus and Adenovirus Type 40 and 41 in Chungju Area form 1998 to 1999)

  • 권재봉;심재건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1호
    • /
    • pp.108-112
    • /
    • 2000
  • 목 적 : Rotavirus와 adenovirus는 영유아에서 급성장염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데 한국에서 adenovirus에 관한 연구 논문이 적어 저자들은 최근에 발생한 adenovirus와 rotavirus 장염의 분포를 조사하여 향후 질병 예방 및 발생 정보에 도움을 얻고자 연구 분석하였다. 방 법 : 1998년 3월에서 1999년 6월까지 대상으로 건국의대 부속병원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 또는 통원 치료를 한 1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전체 환아 143명중 rotavirus 양성은 53명으로 37%의 양성률을 보였으며 1999년 1월에서 3월 사이의 초봄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2세 이하에서 가장 많이 발생함을 보였고 2~4세 사이에서도 16%의 양성률을 보였으며 9월에 전체 24례중 6례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2개월에서 2세 사이에 많은 발생을 보였다. Adenovirus와 rotavirus에 동시 검출된 경우는 7명(5%)이였다. 결 론 : Rotavirus 장염은 1월부터 3월에 가장 많은 발생 빈도를 보여서 겨울 및 초봄에 유행시기를 보였으며 adenovirus는 9월에 가장 많이 검출 되었다. Rotavirus와 adenovirus의 발생의 중간 나이 분포는 각각 1세 4개월, 1세 3개월의 분포를 보였다.

  • PDF

2010년 동해 영덕 연안의 저염수 (Descriptive Analysis of Low Saline Water in Youngdeuk, the East Coast of Korea in 2010)

  • 최용규;권기영;양준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79-387
    • /
    • 2012
  • 동해 영덕 연안의 저염수를 보기 위하여 지난 2010년 격월별(2월 23일, 4월 6일, 6월 8일, 8월 19일, 10월 6일, 12월 20일)로 20개의 정점에서 CTD 관측을 수행하였다. 혼합층은 여름에 약 10 m 깊이로 얕았으며, 겨울에 약 20 m 깊이에서부터 저층까지 혼합층을 나타내었다. 연중 $5^{\circ}C$ 이하의 찬 물이 수온 약층 이심을 점하고 있었다. 염분 약층은 8월에는 깊이 20 m에, 10월에는 깊이 40 m에 분포하였으며 연중 가장 뚜렷하였다. 뚜렷한 저염수는 10월에 깊이 10 m에서 나타났는데, 10월에 강수량-증발량의 값이 음을 보였다, 이것은 10월에 영덕 연안에서 나타나는 저염수가 이류되어 온 것임을 시사하였다. 동해의 영덕 연안에서 나타나는 저염수는 동한 난류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농약중독(農藥中毒)에 대한 역학적(疫學的) 조사(調査) (Epidemiology of Pesticide Poisoning in Kyungpook)

  • 정종학;조재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8권1호
    • /
    • pp.28-34
    • /
    • 1983
  • 농약사용량(農藥便用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增加)하는 추세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에 대한 역학조사(疫學調査) 보고(報告)가 없는 실정이다. 1981년(年)부터 1982년(年)까지 2년간(年間) 경상북도(慶尙北道) 전지역(全地域)을 대상으로 의원(醫院), 병원(病院) 및 보건소(保健所)의 의무기록(醫務記錄)을 조사(調査)하여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를 파악하여 그 실태를 분석(分析)하였다. 1981년(年)에 765명, 1982년에 853명의 중독자(中毒者)가 발생(發生)하였다. 연령별(年令別)로는 20대(代)가 제일 많았고 성별(性別)로는 남자가 70% 여자가 30%였다. 중독경위별로는 직업적인 중독이 27.8%, 우연에 의한 사고(事故)가 5.6%였고 자살목적(自殺目的)이 66.6% 였다. 월별(月別)로는 6, 7, 8, 9월(月)에 발생(發生)이 많고 7월(月)이 제일 많고, 월평균(月平均) 67명이 발생(發生)하였다. 의료기관이용(醫療機關利用)은 개인의원이 49%, 병원이 43%였다. 치명율(致命率)은 직업적인 중독이 0.9%, 사고(事故)에 의한 중독(中毒)이 5.6% 자살목적(自殺目的)의 중독(中毒)에서 20.3%로 평균(平均) 14.1%였다. 인구 100,000 당 농약중독(農藥中毒) 발생(發生)은 년간(年間) 25.4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