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peach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3초

산복사나무 열매의 수확시기별 생리활성물질 함량 비교 (Comparative Biological Properties of Prunus davidiana Fruits according to Harvest Month)

  • 오경주;김민정;한정순;지은희;김애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43-649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month of harvest between May and July for wild peach (Prunus davidiana) by comparison of functional materials. The general composition, amino acid and vitamin (A, C, and 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omposition of wild peach according to the month of harvest, wild peach harvested in May (HMP) and July (HJP) contained mostly carbohydrate, the contents of which amounted to 77.37 g/100 g and 77.92 g/100 g, respectively.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HMP and HJP were 675.29 mg% and 573.25 mg%, respectively. Regarding the vitamin contents, vitamin A (retinol), E (${\alpha}-tocopherol$) and C in HMP were higher than those in HJP.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HMP (218.37 mg TAE/g) was higher than that of HJP (71.45 mg TAE/g).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HMP (64.95 mg RE/g)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HJP (32.67 mg RE/g). Moreover,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C_{50}$) were higher in HMP ($137.18{\mu}g/mL$ and $157.15{\mu}g/mL$) than those in HJP ($160.10 {\mu}g/mL$ and $186.01 {\mu}g/mL$), meaning that the former produces better antioxidant effects. It can be concluded that wild peach harvested in May contained higher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vitamins and amino acids and had a higher antioxidant effect, than wild peach harvested in july.

효소 처리에 따른 야생복숭아(Prunus persica L.) 당절임액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 of Sugar Preserved Wild Peach (Prunus persica L.) Juice by Enzymatic Treatment)

  • 정경미;김선화;정용진;최미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25-33
    • /
    • 2017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zyme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ild peach (Prunus persica L.) juice. pH levels and S.S (soluble solid) values in all samples ranged from 3.86 to 4.13 and from 48.0 to $55.0^{\circ}Brix$, respectively. The TA (total acidity) values of control (not treatment enzym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The highest 'L', 'a' and 'b' values were observed on PWP (preserved wild peach (Prunus persica L.) juice of cellulase/pectinase (1:1, w/w) sample. Glucose (26.65 g/100 g) and fructose (17.42 g/100 g) in PWP product were determined, however sucrose and maltose were not detected. The predominating organic acid components analyzed in PWP sample were tartaric (32.36 g/100 g) and lactc acids (209.34 g/100 g), whereas citric acid, acetic acid and malic acid were not detected. Higher scores for taste, flavor, color and overall acceptance were found for PWP products compared to other samples. The total phenolic content (13.31 mg GAE/mg dry weight) analyzed using Folin-Ciocalteu's reagent, of PWP sample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and the total flavonoid concentrations were also 10.95 mg CE/mg dry weigh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all samples ranged from 55.16 to 74.29% and from 39.59 to 82.79%,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ffected by addition of enzy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the mixture of cellulase and pectinase could increas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potentials of sugar preserved wild peach (Prunus persica L.) juice by enzymatic treatment.

복숭아 발효주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Peach Fermented Wine)

  • 이성훈;안용근;최종승;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9-412
    • /
    • 1996
  • 본 연구는 '96학년도 배재대학교 교내 학술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x Juice yield of peach "Yoo Myung" by pretreatment of various enzymes and heat was determin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ach wine fermented by some 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also investigated. 89.2% of juice yield was showed in mixture treatment of pectinase and cellulase at 35$^{\circ}C$ for 8 hrs, 82% of yield was also showed in single treatment of pectinase and cellulase. Ethyl alcohol content of peach wine fermented by wild type Saccharomyces cerevisiae 49-2 was 14.55. However, wine from thermophilic Saccharomyces cerevisiae D-71 was excellent in taste and flavor.nd flavor.

  • PDF

과원 환경과 경관 요소가 사과원 주요 나방류 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chard Environments and Landscape Features on the Population Occurrence of Major Lepidopteran Pests in Apple Orchards)

  • 김향미;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79-90
    • /
    • 2021
  • 농업생산생태계 내 경관의 구조와 구성은 해충과 천적을 비롯한 생물다양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는 경남 거창군 80개 사과원을 대상으로 경관 구조가 나비목 해충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과수원의 지정학적 특징, 농약 사용패턴과 과원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정보는 설문 조사를 통해 추가로 분석하였다. 과수원 주변 경관 구조는 인공위성자료에 바탕하여 추출하였다. 복숭아순나방 발생량이 가장 많았고, 사과굴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잎말이나방 순으로 발생하였다. 농가에서는 살균제와 살충제를 각 12.4회, 살비제는 2.4회 살포하였다. 대부분 사과원 주변 식생은 사과 또는 논이었으며, 자두, 복숭아, 포도 또는 폐과원이 있을 경우 복숭아순나방 밀도가 특히 높았다. 복숭아심식나방 역시 주변에 복숭아나 포도가 있을 경우 그 발생량이 더 높았다. 사과굴나방은 복숭아, 포도, 폐과원 그리고 대추가 있는 지역에서 발생량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 지역에서 경관 관리는 농촌 어메니티 개선뿐 아니라 병해충 관리의 차원에서 기능적 다양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보호지역 인근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과 임산물 피해액 추정: 구례군 6개 산촌마을의 사례 (Estimating Economic Loss due to Wildlife Damage to Agriculture and Forestry Production Near Protected Areas: Case of Mountain Villages in Gurye-gun, Korea)

  • 박소희;윤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618-627
    • /
    • 2019
  • 최근 멧돼지와 같은 야생동물에 의한 작물 및 시설물 피해가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는 산악형 국립공원 인근 산촌주민들의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 및 임산물 피해액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6년 4월과 6월에 지리산 국립공원과 인접한 구례군 토지면에 위치하는 6개 산촌마을을 조사하였고, 84가구로부터 얻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2015년 기준, 84가구의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및 임산물 피해 추정액은 총 1억 3,863만원이었고, 가구당 연평균 165만원의 피해를 입었다. 이 중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액이 가장 큰 것은 밤, 고사리, 돌배, 복숭아, 감자 등의 순이었으나, 단위면적당 피해액이 가장 큰 것은 고구마, 복숭아, 옥수수, 감자 등의 농작물이었다. 구례군 전체 농작물 및 임산물 생산지의 잠재적인 야생동물 피해액은 연간 약 40억 원으로 추정되었고, 구례군의 야생동물 피해 보상을 위한 연평균 예산액은 피해액의 0.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잠재적인 야생동물 피해에 대비하여 피해보상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재정자립도와 야생동물 피해의 책임을 고려하여 국가가 재정을 지원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산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안정적인 작물 생산을 위해서는 형평성을 고려한 보상정책을 개발하고, 야생동물 피해예방시설의 효과성과 예방 지원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

韓國植物의 花外蜜腺分布 (The Occurrence of Extrafloral Nectaries in Korean Plants)

  • Pemberton, Robert W.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4호
    • /
    • pp.251-266
    • /
    • 1990
  • Extrafloral nectaries have been shown in many studies to promote mutualistic interactions between plants and insects(usually ants) that visit the glands. The insects gain sugars, water and amino acids secreted by the extrafloral nectaries and benefit the plants by reducing the damage caused by plant's inseet herbivores. Little is known about the occurrence of extrafloral nectaries in plants growing in Asia. To learn about the occurrence of extrafloral nectary bearing plants in Korea, living plants and herbarium material were examined for the glands. In addition, the cover of plants with extrafloral nectaries and the proportion of woody plants with extrafloral nectaries were measured in three forest communities on Kangwha Island. 131 species of plants belonging to 53 genera and 30 families were found to have extrafloral nectaries. These 131 species comprise about 4.0% of Korea's flora, a highet percentage of extrafloral nectary bearing plants than occurs in the studied areas of North America. Extrafloral nectary bearing plants occupied 7, 23 and 55% of the covers and comprised 15, 21 and 15% of the woody plants in the three different forests, a significant level of occurrence. Many important Korean crop plants were found to have extrafloral nectaries including : sesame (Sesamum indicum L.), squash (Cucurbita moschata Duchesne),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am),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otton (Gossypium indicum Lam.), mung bean (Phaseolus radiatus L.), red bean (Phaseolus angularis W.F.),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plum (Prunus salicina Lindl.). Many of these cultivated and wild plants may receive protection by ants and other beneficial insects that visit their extrafloral nectaries.

  • PDF

취학전(就學前) 아동(兒童)의 식품기호(食品嗜好)와 식습관(食習慣)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n Food Attitude and Dietary Habits of Pre-school Children)

  • 임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9권1호
    • /
    • pp.60-68
    • /
    • 1976
  • A group of 132 pre-school children with a mean age of six years and one month was the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These children were members of three nursery schools locating in Kwang-ju city. Each child's mother replied to a questionaire which included 42 food items and 4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od preference of each child was variable and the group as a whole expressed more positive than negative feelings. The average number of foods liked per child was 22.9(range: $7{\sim}42$) among 42 food items. Peach, Apple, Strawberry, Laver, Egg, Tomato, Sweet Potato, Tangerine Orange and Beef were ranked in descending order of 'like' ratings. The average number of foods refused was 4.9 (range: $0{\sim}25$). Onion, Liver, Red Pepper Leaf, Root of Bellflower, Taro, Wild Seasame Leaf, Egg Plant, Cabbage, Water Cress and Bracken were ranked in descending order of 'refuse' ratings. The odor of hurting feelings, the hot taste and the flabby texture were the reasons why the children refused these foods. The average number of foods unexperienced was 4.4 (range: $0{\sim}14$). Kidney, Dried Small Whitebail, Tangle (DA SHI MA), Liver, SA RI Mushroom, Acorn Mook, Dried Fragrant Mushroom, Pine Agaric, Root of Bellflower and Ped Pepper Leaf were ranked in descending order of 'unexperience' ratings. Children's 'like' rating toward total foods was 57.3% and the 'refuse' rating was 11.7%. Among eight food groups, fruits showed the highest favority (91.4%) and mushroom showed the least (25.9%).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preference of total foods did not showed significant level. But the difference were significant in those of individual food groups; other vegetables, green and yellow leafy vegetables, mushrooms(above, p.<01), fishes and shellfish and sea weeds (above, p<.05). Children who had experienced meals missed rated 59.1% and 34.1% of these children missed meals once a week. The main reason for maels missed was due to the heavey snacks before meal time. Children who had snacks twice a day rated 45.6%. Main foods used as their snacks were starch foods (Cake, Biscuit, Sweet Potato) and citrous foods (Fruits, Apple, Tangerine).

  • PDF

고도에 따른 지역별 복숭아혹진딧물 집단 변이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Variation Marker of Myzus persicae by Altitude)

  • 김주일;권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25-333
    • /
    • 2011
  • 기후변화에 따른 고도별 곤충의 유전 변이를 분석하고자 배추에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을 지표해충으로 변이 분석이 가능한 마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지역의 기후가 변하면 유전자가 변동할 것이라는 가설 하에 실내에서 누대 사육된 계통을 비교집단으로 가정하고 횡성, 평창과 강릉 지역에서 고도별 5개 지역(157 m, 296 m, 560 m, 756 m, 932 m)에서 채집된 지역 집단간의 변이를 찾고자 하였다. 생태적 변이는 모든 집단에서 찾을 수가 없었고, 에스터레이즈 동위효소 분석 및 inter-simple sequence repeat (ISSR) PCR 결과에서 실내 사육 계통과 지역 집단간의 차이는 보였으나 지역 집단간의 큰 차이는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러나 rRNA와 mtCO I 부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5개의 지역집단 내에서 internal transcribed spacer-2 (ITS-2) 와 mtCO I에 각각 한 개씩의 단일염기다형성(SNP)를 발견하였다. 이 SNP는 유전 변동 추적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마커로 사용 될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목재 추출 성분을 이용한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의 개발 및 적용 가능성에 대한 복합적 기반 연구 - 유근피·황촉규·도교 중심으로 - (A Study on Multiple Bases for Development of Natural Adhesives for Woodcraft using Cellulose Extracts from Wood and their Application Potential - Focused on Salicis radicis cortex, hibiscus, Chinese wild peach resin -)

  • 위광철;오승준;한원식;박민선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5호
    • /
    • pp.239-248
    • /
    • 2019
  • 본 연구는 현재 목공예품 제작 시 사용성이 편하고 경제적이라는 이유로 합성 PVAc계 접착제가 주로 사용된다. 본 연구는 합성 PVAc계 접착제의 단점 중 작업자나 사용자에게 미치는 인체 안정성과 환경 유해성 등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해보고자 하는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이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친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수요도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상황으로 천연 접착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친환경 접착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의 개발을 위해 천연 접착 소재인 셀룰로오스계 목재 추출물을 이용해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를 개발하기 위한 기반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 개발을 위한 기반 물성인 접착 강도에서 기존 재료 보다 약 0.2 ~ 4 배 증진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기존 재료와 유사하거나 안정적인 pH 값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수한 가역성을 나타내어 목공예용 접착제로서의 기초적인 물성은 확인되었으며, 자외선 열화에 대한 내구성도 약 1.5 ~ 8.5 배 우수한 결과값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셀룰로오스계 목재 추출물의 정제 기술 개발과 기능성 부여를 통한 접착강도, 항균성, 보존성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기존에 사용되어온 재료에 비해 성능이 개선된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가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중국 고대 당대(唐代) 민간 조경[사가원림(私家圓林)] 연구 - 출토된 명기(明器)와 낙양명원기를 중심으로 - (Research of private landscape architecture of the Tang Era in ancient China -based on excavated excellent articles and a book <洛陽名園記> called Nakyangmyungwonki-)

  • 박경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8권
    • /
    • pp.285-303
    • /
    • 2005
  • 당대(唐代)의 출토유물인 명기와 낙양명원기를 중심으로 당대의 귀족 정원을 고찰한 결과, 산수경관인 가산과 연못이 정원의 중심이 되고, 여기에 누정을 짓고 화목을 심었다. 가산은 치석첩산(置石疊山)하고, 동굴을 만들었고, 명기의 석가산은 산지산세(山地山勢)는 험준, 층만첩장(層巒疊嶂), 녹색이 깔린 자리와 같고, 새들이 혹 산간에서 노래하고, 연못 호반에서 물을 마신다 라고 표현되었다. 연못은 착지인수(鑿池引水)하고 수계가 발달하였으며, 누정 건물로는 청(廳), 당(堂), 관(館), 정(亭), 대(臺), 누(樓), 각(閣), 사(榭) 등이 있다. 조경식물로는 대나무, 연꽃, 모란을 가장 많이 볼 수 있고, 향나무, 소나무, 회, 잣나무, 전나무, 오동, 가래, 복숭아, 오얏, 매화, 살구, 국화, 칡덩쿨 등을 식재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중국 당대의 원림은 풍부하고 다양하며 뛰어난 원림 양식으로 원림발달의 전성기를 구가하였고, 문화교섭에 의해 동시대의 통일신라의 민간 특히 귀족의 주택 정원도 사절유택(四節遊宅) 등의 기록에 의하면 한국 조경 발달사에서 전성기에 해당될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