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fish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6초

양식 넙치의 육질에 관한 연구 (Muscle Quality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이경희;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48-452
    • /
    • 1997
  • 양식넙치의 식감을 검토하고자 천연어와 비교하여 일반성분, 관능검사, 물성측정, 정미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식넙치는 수분, 지질, 단백질 함량에 천연어와 차이가 없었다. 2. 기호검사에서 양식어는 생육, 가열육 모두 Texture, 맛, 종합적 선호도에서 천연어보다 유의적으로 선호되지 않았고, 식별검사에는 생육은 경도, 탄력성, 맛의 강도가 낮았고, 가열육은 천연어보다 매우 단단하고 건조하며 맛의 강도가 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투명감, 광택, 비린내는 두어종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3. 물성측정의 결과도 생육은 천연어보다 경도, 탄력성이 낮게, 가열육은 경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 관능검사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4. 어육의 정미성분으로서 맛과 관련있는 유리아미노산은 Alanine이 양식어 7.0mg%, 천연어 7.4mg%로 가장 많았고, Glutamic acid, Proline, Methionine, Glycine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 아미노산들의 함유량 합계는 차이가 없었다. 핵산관련물질은 ATP가 양식어 3.4 $\mu$mole/g, 천연어 6.2 $\mu$mole/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IMP, ADP, AMP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의 합계량은 양식어가 6.7 $\mu$mlole/g, 천연어가 9.4 $\mu$mole/g으로 천연어에 비해 낮았다.

  • PDF

The Expression Patterns of Estrogen-responsive Genes by Bisphenol A in the Wild Medaka (Oryzias sinensis)

  • Lee, Chul-Woo;Park, Min-Kyung;Kim, Hyun-Mi;Kim, Hak-Joo;Choi, Kyung-Hee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3권3호
    • /
    • pp.185-189
    • /
    • 2007
  • Gene expression levels of choriogenin, vitellogenin and estrogen receptor were determin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 (RT)-PCR technique after exposure to estrogenic chemical bisphenol A in the Korean wild medaka (Oryzias sinensis). These genes have been known to be induced in male test fish when the fish are exposed to estrogenic chemicals. Therefore they can be suggested as a possible biomarker of endocrine disruption in fish, however, relatively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se genes expression by estrogenic chemicals in Korean wild fish. Mature male Oryzias sinensis were treated with bisphenol A at nominal concentrations of 0.02, 0.2 and 2 mg/L for 6 days and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the livers of treated fish for RT-PCR. When the five biomarker genes were amplified by RT-PCR in the same condition, mRNA induction level of each gene was elevated with different sensitivities. Conclusively, the results of this work indicated that measurement of vitellogenin and choriogenin using RT-PCR is effective as a simple tool for the screening of estrogenic chemicals and suggested that O. sinensis would be a suitable model fish for th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potential endocrine disruptors.

자연산 및 양식산 볼락, Sebastes inermis의 장내세균총 및 장내세균의 약제내성 비교 (Bacterial flora and antibiotics resistance of intestinal bacteria in the wild and cultured black rockfish, Sebastes inermis)

  • 김석렬;김정호;정성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1-227
    • /
    • 2007
  • 볼락은 산업적 잠재가치가 높은 어종으로 각광받으면서 양식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어 왔으나, 장내세균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 돌산도 연안에서 채집된 자연산 볼락과 양식산 볼락의 장내세균총의 분포와 이들 세균들의 약제 감수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두 분류의 볼락에서 분리된 균주의 16S rDNA 염기를 바탕으로 장내세균을 동정한 결과, 양식산 볼락의 장내에서는 Photobacterium group, Acinetobacter group과 marine sediment bacteria group이 우점하고 있었고, 자연산 볼락의 장내에서는 Photobacterium group Acinetobacter group, Bacillus group, Shewanella group, Staphylococcus group 및 marine sediment bacteria group이 우점하고 있었다. 자연산과 양식산 볼락의 장내세균의 약제 감수성 결과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9종의 항균제 중 oxytetracycline와 oxolinic acid는 자연산과 양식산이 비슷한 수준의 감수성 나타냈으나, flumequine, erythromycin, norfloxacin, gentamycin, ofloxacin, enrofloxacin 및 ciprofloxacin은 평균 저지대에서 양식산 볼락의 장내세균이 자연산 볼락의 장내세균 보다 약간 낮은 감수성을 보였으나, 자연산 볼락의 장내세균 또한 감수성 시험 대조균주로 사용한 E. coli ATCC9637 보다 현저하게 낮은 감수성을 보였다. 이는 양식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항균물질이 자연 서식 어류생물군의 장내 세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naesthetic Tolerance of Juvenile Black Rockfish Sebastess schlegeli, Produced for Wild Stock Enhancement

  • Son, Maeng-Hyun;Park, Min-Woo;Myeong, Jeong-In;Kim, Dae-Jung;Kim, Byoung-Hak;Jo, Q-Tae;Jeon, Im-Gi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85-290
    • /
    • 2001
  • The strength of juvenile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raised in different hatcheries for wild stock enhancement was evaluated in terms of resistance to an anesthetizing agent, tricaine methane-sulfonate (MS-222), and exposure to drying. The working dosage of MS-222 varied significantly with fish size and hatchery population. Smaller fish were less resistant to the chemical than larger ones. MS-222 effects also differed with fish growth history. The fish cultured in embanked populations showed stronger resistance, earlier recovery, and lower mortality, compared to those cultured in land-based tanks or collected from wild stocks. Similar results were seen in juveniles challenged to dry expos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embanked population of black rockfish is more resistant to anesthetic stress, expressed as anesthesia recovery and mortality, and that this population is healthier than others.

  • PDF

양식 및 천연산 어류의 화학성분에 관한 연구 1) 양식 및 천연산 뱀장어의 지질성분 (Comparision of Chemical Compositions between Cultured and Wild Fishes (1) Comparision between Cultured and Wild Eel Lipids)

  • 김경삼;오광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06-510
    • /
    • 1984
  • 양식어의 품질평가라는 관점에서 천연산 및 양식산뱀장어의 지질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로 중성지질, 인지질 및 당지질로 분획하고 GLC로써 이들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으며, 중성지질의 트리글리세리드의 HPLC 패턴을 분석하여 양식산과 천연산을 비교검토하였다. 천연 및 양식산뱀장어의 지질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당지질의 함량은 천연산이 총지질의 $2.6\%$로서 양식산의 $0.6\%$에 비해 4배정도 높았다. 천연 및 양식산 모두 총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의 지방산조성은 $C_{18:1},\;C_{16:0},\;C_{16:1}$의 조성비가 높았으며 그 중에서 $C_{18:1}$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다. 양자간의 이들 지방산조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C_{16:1}$의 조성비는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은 반면, $C_{18:1}$$C_{22:6}$의 조성비는 양식산이 천연산보다 높았다. 인지질의 경우는 양자 모두 $C_{22:6},\;C_{18:1},\;C_{16:0}$의 조성비가 높았으며 그중에서 $C_{22:6}$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다. 천연산 및 양식산뱀장어 중성지질의 트리글리세리드의 HPLC 패턴은 양자간에 약간 차이가 있었다.

  • PDF

2010년 한국 연근해 자연산과 양식산 넙치, 참돔, 감성돔, 조피볼락의 병원체 비교 (Comparison of pathogen detection from wild and cultured olive flounder, red sea bream, black sea bream and black rockfish in the coastal area of Korea in 2010)

  • 박명애;도정완;김명석;김석렬;권문경;서정수;송준영;최혜승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3-270
    • /
    • 2012
  • 본 연구는 자연산 어류와 양식어류 사이의 병원체 존재에 대한 상관관계구명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서, 우리나라의 자연산과 양식산 넙치, 참돔, 감성돔, 조피볼락의 병원체 감염 현황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기생충성 질병의 조사 결과, 자연산 넙치와 참돔에서 가장 높게 검출 된 Anisakis sp. (각 58.6%, 41.7%) 는 양식 넙치와 참돔에서 검출되지 않아 자연산과 양식산 어류에서 아주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배합 사료를 공급하는 양식산 어류에 비해, 자연산 어류는 아니사키스에 오염된 갑각류나 작은 물고기 등을 먹이원으로 섭취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세균성 질병의 조사 결과, 자연산 어류에 비해 양식산 어류에서 세균이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양식 넙치에서 Vibrio sp.가 18%로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비브리오병은 주로 스트레스 등에 의한 2차적 세균성 질병으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부터, 양식 넙치가 다른 병원체의 감염, 이동이나 선별, 빈번한 항생제 사용 등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바이러스의 조사 결과, 자연산 어류와 양식어에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양식 넙치에서 LCDV (3.9%) 가 가장 높은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자연산과 양식산에서 동시에 검출되는 병원체도 있었으나, 동일 수역에 존재하는 같은 어종이라도, 먹이나 환경에 따라 분리되는 병원체가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통영연근해역 양식산 및 자연산 어류 중의 미량금속 함량 및 안전성 평가 (Trace Metal Contents in Cultured and Wild fishes from the Coastal Area of Tongyeoung, Korea and their Safely Evaluations)

  • 최종덕;정인권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5-210
    • /
    • 2005
  • 2003년 3월부터 2004변 2월까지 통영 인근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양식산 및 자연산 어류의 부위별 미량금속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수은은 Cold-amalgam법에 의하여 직접 측정하없고,납,카드뮴,비소,구리,크롬, 아연, 망간 등은 습식분해 후 ICP 및 AAS로 분석하였다. 미량금속별로는 수은이 양식산에서 0.031, 자연산이 0.047,납은 0.321, 0.407, 카드뮴은 0.048, 0.063, 비소는 1.006, 1.132, 구리는 0.467, 0.506, 크롬은 0.233, 0.293, 아연은 9.69, 12.20, 망간은 0.798, 0.624 mg/kg으로 각각 분석되었다. 대부분의 미량금속은 망간을 제외하고 자연산이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부위별로는 수은, 납, 카드뮴, 구리 및 아연 등은 비장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고, 비소는 쓸개와 간에서, 크롬은 껍질에서, 망간은 비장과 간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통영연근해 어류 중의 미량금속 함량은 우리나라의 중금속 허용기준치 및 미국의 중금속 권고치를 초과하지 않았으며 자연함유량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이 어류를 통하여 섭취하는 납, 수은, 카드뮴 등의 미량금속 주간 섭취량이 FAO/WHO에서 미량 금속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제시한 PTWI $6.0\∼13.0\%$로 조사되었다.

자연산 떡붕어(carassius cuvieri) 아가미 뚜껑 내부에 기생된 거머리의 감염 예 (The case report on the Leech, Trachelobdella sp. infestation in wild Crucian carp (Carassius cuvieri) of Chungnam Province in Korea)

  • 박성우;김영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7-119
    • /
    • 2002
  • A kind of leeches, Trachelobdella sp was detected on the inside surface of the opercle of wild crucian carp, Carassius cuvieri (21.5 cm in length and 238.5 g in weight) at a reservoir for agriculture in ChungNam Province of Korea in March, 2002. Two or three round transparent spots on the opercle could be easily detected. The fish also showed severe anemia and dorsally darking in the gill lamellae. The parasites was identified as Trachelobdella sp.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uckers, body segmentation and lateral diverticula. As the parasites fed on host blood after attaching on the inside surface of the opercle by means of the posterior sucker, they caused severe anemia and petechial haemorrhge on the gill of infested fish. Heavy infestation of the parasite resulted in dath of fish because of large amount of blood loss.

2016년 소양호에서 채집한 자연산 잉어과 어류와 갑각류의 법정전염병 및 기생충성 질병 모니터링 (Monitoring Pathogen Infection of Freshwater Cyprinid Fish and Crustacean in Soyang Lake in 2016)

  • 문성희;허준욱;차승주;황성돈;손맹현;권준영;권세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7-53
    • /
    • 2018
  • The presence of pathogens in wild fish is a potential threat to the fish being raised nearby fish farm. Surveillance of these pathogens in the wild is, thus, highly important to keep fish in the farm safe from serious communicable diseases. Fish and crustacean were sampled 4 times at Soyang Lake in 2016. Pathogens for five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including KHVD (koi herpesvirus disease), SVC (spring viraemia of carp), EUS (epizootic ulcerative syndrome) and WSD (white spot disease), and parasites were investigated. In Soyang Lake, pale chub Zacco platypus was the most abundant. Forty seven pale chub, 8 Korea piscivorous chub Opsarichthys uncirostris, 3 oily shiner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and 2 crucian carp Cyprinus carassius were investigated for detection of target diseases of fish. Seventeen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12 Oriental riv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and 1 Chinese mitten crab Eriocheir sinensis were used for detection of WSD. As the result,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were not detected in all the freshwater animals. Dactylogyrus was detected in Korea piscivorous chub. Copepoda was also detected in pale chub and Korea piscivorous chub. Metacercaria was detected in the pale chub sampled in September and October. Those were not metacercaria of liver fluke Clonorchis sinensis.

우리나라 남서해 종묘방류해역에서 어획된 넙치집단의 성비 (Sex Ratio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Populations Collected from Stocked Areas in Southwestern Sea of Korea)

  • 정달상;민병화;하동수;김철원;강창수;명정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363-370
    • /
    • 2015
  • 넙치종묘 방류가 자연집단의 성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5 개 지역에서 어획된 넙치집단에 대한 성비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지역에서 방류넙치와 자연넙치가 혼획 되어 어획된 집단의 암컷 비율의 범위는 7.9~64.6%로 나타났으며, 고흥집단에서의 수컷의 비율이 92.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방류어의 암수비율을 보면 완도집단에서 56.3%와 43.7%로 암컷의 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고흥집단은 8.3%와 91.7%였고, 추자집단에서 26.4%와 73.6%로 수컷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방류넙치의 혼획률이 높은 고흥집단과 완도집단에서는 방류 넙치의 암수비율이 자연 집단의 성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