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carrot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韓國)의 채소(菜蔬) 음식(飮食) 문화(文化) (A study of intakes of vegetables in Korea)

  • 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01-612
    • /
    • 2003
  • 이상으로 한국의 채소음식에 대한 시대적인 변화 경향과 최근의 채소 섭취량 및 섭취형태 변화 경향을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족국가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채소의 종류는 점차 다양해졌으며, 조선시대에는 거의 현재와 비슷한 채소를 이용하였다. 상고시대 이래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로는 마늘과 쑥이 있으며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이후 현재까지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가지, 오이, 상추가 고려시대 이후로는 죽순, 토란, 우엉, 무, 순무, 파, 부추, 미나리, 배추, 아욱, 시금치, 쑥갓 등이 조선시대 이후 현재까지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고추, 호박, 토마토, 캐비지, 셀러리, 케일, 순무(turnip), 근대(beet), 등이 있다. 한편, 과거에는 섭취했으나 현재는 섭취하지 않는 채소로는 박과 마, 순채 등과 각종 식용야생초들이 있다. 2. 한국인의 채소 공급량은 일인당 연간 232.2kg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양은 이러한 양은 전세계의 평균 공급량인 101.9kg과 비교해서 많은 편이며 아시아 지역에서 비교해 보면 중국(203.5kg)이나 일본(111.6kg) 보다는 많은 양이었다. 3. 채소섭취량은 1970년 이후에 뚜렷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1990년에 201.1kg으로 가장 많았고 그 이후 감소하여 2000년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65년 이후 큰 변화없이 110-120kg 수준을 공급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에는 1995년 이후에 급속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채소류의 공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나라로 나타났다. 4.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마늘, 파 등의 양념류와 배추김치, 무, 양파, 당근 등으로 종류가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114종 가운데 섭취한 채소의 종류는 모두 72종으로 나타났으며 남자의 경우 1인 1일 섭취량이 가장 많은 채소는 배추김치였고, 그 다음으로 무, 양파, 파, 깍두기, 감자, 배추, 시금치, 애호박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도 남자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애호박이 다소비식품 내에 포함되지 않았다. 5. 구황식품과 부식으로 이용되었던 산나물과 야생식물의 이용은 현재 거의 사라진 반면 새로운 외래채소와 허브류의 도입은 급증하고 있으며, 채소를 섭취하는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나물에 대한 기호도는 낮아지는 반면 다양한 채소를 이용한 쌈싸기와 녹즙, 생식등이 상업화되었으며, 채소전문식당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채식주의도 나타나서 채식문화가 다양해짐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채소 음식의 소비는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우리가 과거에 섭취했던 산나물들의 효능과 함께 우리나라 전통 채소 음식의 조리방법에 대한 연구 및 보급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변화하고 있는 채소의 생산과 소비 현황에 대한 보다 정확한 통계자료의 수집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Prevalence and Quantific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Raw Salad Vegetables at Retail Level

  • Tunung, R.;Margaret, S.P.;Jeyaletchumi, P.;Chai, L.C.;Zainazor, T.C. Tuan;Ghazali, F.M.;Nakaguchi, Y.;Nishibuchi, M.;Son, R.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391-39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safe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raw salad vegetables at wet markets and supermarkets in Malaysia. A combination of the most probable number-polymerase chain reaction (MPN-PCR) method was applied to detect the presence of V. parahaemolyticus and to enumerate their density in the food samples. The study analyzed 276 samples of common vegetables eaten raw in Malaysia (Wild cosmos=8; Japanese parsley=21; Cabbage=30; Lettuce=16; Indian pennywort=17; Carrot=31; Sweet potato=29; Tomato=38; Cucumber=28; Four-winged bean=26; Long bean=32). The samples were purchased from two supermarkets (A and B) and two wet markets (C and D). The occurrence of V. parahaemolyticus detected was 20.65%, with a higher frequency of V. parahaemolyticus in vegetables obtained from wet markets (Wet market C=27.27%; Wet Market D=32.05%) compared with supermarkets (Supermarket A=1.64%; Supermarket B=16.67%). V. parahaemolyticus was most prevalent in Indian pennywort (41.18%). The density of V. parahaemolyticus in all the samples ranged from <3 up to >2,400 MPN/g, mostly <3 MPN/g concentration. Raw vegetables from wet markets contained higher levels of V. parahaemolyticus compared with supermarkets. Although V. parahaemolyticus was present in raw vegetables, its numbers were low. The results suggest that raw vegetables act as a transmission route for V. parahaemolyticus. This study will be the first biosafety assessment of V. parahaemolyticus in raw vegetables in Malay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