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ole fruit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4초

Photoreversibility of Fruiting and Growth in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 Hong, Sung-Chang;Kim, Jin-Ho;Yeob, So-Jin;Kim, Min-Wook;Song, Sae-Nun;Lee, Gyu-Hyun;Kim, Kyeong-Sik;Yu, Seon-Yo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12-318
    • /
    • 2020
  • BACKGROUND: Photoreversibility, a reversion of the inductive effect of a brief red light pulse by a subsequent far red light pulse, is a property of photo responses regulated by the plant photoreceptor phytochrome B. Plants use photoreceptors to sense photo signal and to adapt and modify their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Phytochrome recognizes red light and far red light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METHODS AND RESULTS: The reversal responses of growth and fruiting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o increase the yield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Kumsargakieuncheon) by means of controlling light quality in a plastic house. Red (R:660nm) and far red (FR:730nm) lights were subsequently irradiated on the whole stems and leaves of the oriental melon plant during growing periods, using red and far red LEDs as light sources, from 9:00 PM daily for 15 minutes. The intensities of R and FR light were 0.322-0.430 μmol m-2s-1 and 0.250-0.366 μmol m-2s-1, respectively. Compared to R light irradiation, combination of R and FR light irradiation increased the length of internode, number of axillary stems, number of female flowers, and fruit number of oriental melons. The results of treatment with R were similar to R-FR-R light irradiation in terms of length of internode, number of axillary stems, number of female flowers, and number of fruits. When FR treatment was considered, R-FR and R-FR-R-FR light irradiation had similarities in responses. These reversal responses revealed that oriental melon showed a photoreversibility of growth characteristics, flowering, and fruiting.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phytochrome regulation of female flower formation and fruiting in oriental melon. The fruit weight of the oriental melon was the heaviest with the R light irradiation, while the number of fruits was the highest with the FR light. With the FR light irradiation, the fruit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Meanwhile, the yield of oriental melon fruits increased by 28-36% according to the intensities of the FR light due to the increases of the number of fruits.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를 첨가한 식빵의 제조 및 관능적 특성 (Prepar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 Traditional Korean Medicinal Plant))

  • 박나영;이신호;김석중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37-643
    • /
    • 2010
  • 오미자 과육의 건조 분말, 착즙액 건조분말 및 95% 에탄올추출 농축물을 식빵 제조 시 각각 밀가루 대비 0.5% (w/w)로 첨가하여 대조구와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반죽과 식빵의 pH는 3가지 형태의 모든 오미자 첨가구에서 감소하였고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는데 과육 및 착즙액 분말이 에탄올추출 농축물보다 더 효과가 컸다. 반죽의 발효 팽창능은 과육 분말 및 에탄올추출 농축물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굽기손실율은 모든 오미자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식빵 표면의 색도분석 시 명도 (L) 값은 착즙액 분말과 에탄올추출 농축물 첨가구에서 증가하였으나 적색도 (a) 및 황색도 (b) 값은 모든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식빵 내부의 경우, a 값은 모든 오미자 첨가구에서, b 값은 에탄올추출 농축물 첨가구에서 증가하였으나 L 값의 변화는 없었다. 맛, 풍미, 색상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고려한 관능검사 결과, 오미자 과육 분말 첨가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착즙액 분말 및 에탄올추출 농축물 첨가구의 경우는 대부분의 지표에서 점수가 낮았다.

한국산(韓國産) 감귤류(柑橘類)의 화학성분(化學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주요품종별(主要品種別) 당(糖) 및 산조성(酸組成)의 시기별(時期別) 변화(變化)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itrus fruits in Korea(II) -Changes of acid and sugar components with growth-)

  • 박훈;김영섭;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41-57
    • /
    • 1968
  • 제주산(濟州産) 감귤(柑橘) 14개품종(個品種)에 대(對)하여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른 과실(果實) 부위별(部位別) 산(酸) 및 당조성(糖組成)의 추이(推移)를 조사(調査)하고 거제산감귤(巨濟産柑橘)을 분석(分析) 비교(比較)하였으며 혈연(血緣)이 먼 타과실(他果實)의 부위별(部位別) 산조성(酸組成)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과피율(果皮率)이 생육(生育) 초기(初期)에 크고 그후 완숙(完熟)에 이르기까지 점차 감소(減少)하며 이는 동화(同化) 산물(産物)의 전류(轉流)가 초기(初期)에는 과피(果皮)로 후기(後期)에는 과육(果肉)으로 더많이 전류(轉流)하거나아니면 과피(果皮)에서 과육(果肉)으로 전류(轉流)될 가능성을 보인다. 2) 과중(果重)이 클수록 과피율(果皮率)이 큰 경향을 나타내며 과실중(果實重)이 200이상(以上)의 것은 과피율(果皮率)이 30이상의 품종(品種)은 종실수(種實數)가 15개(個) 이상(以上)이다. 3) 과중(果重)이 최고점(最高點)에 이를때 과육(果肉) 전산함량(全酸含量)이 최고(最高)에 이르고 그후는 감소(減少)하는것이 대부분이나 최고전산(最高全酸) 함량(含量)이 20me/100g 이하로 가장 낮은 품종(品種)들은 수확기(收穫期)까지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4) 생육각시기(生育各時期)의 과육중(果肉中) 전산(全酸)과 적정산간(滴定酸間)에 r=0.933, 과피중(果皮中) 전산(全酸)과 결합산간(結合酸間)에 r=0.970으로 모두 1% 수준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으며 과육(果肉)에서는 대부분 적정산(滴定酸)(73%)인 반면 과피(果皮)에서는 대부분이 결합산(結合酸)(88%)이다. 5) 결합산(結合酸)은 성숙단계(成熟段階)에 과육(果肉)에서 증가(增加)하고 과피(果皮)에서 감소(減少)하므로 과피(果皮)로부터 과육(果肉)으로의 염류(鹽類)의 전류(轉流)가 예상된다. 6) 산(酸)과 당조성(糖組成)의 부위별(部位別) 차(差)에 의(依)한 과실(果實)의 유형적분류방법(類型的分類方法)은 혈연(血緣)이 먼 수박과 도마도등(等에)도 적용(適用)될 수 있다. 7) 과육중(果肉中) 전당(全糖)과 비환원당(非還元糖)은 계속 증가(增加)하며 전당(全糖)과 환원당(還元糖)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0.849^{**}$ ,$0.732^{**}$ $0.583^*$으로 감소(減少)하고 환원당비율(還元糖比率)도 감소(減少)한다. ($^{**}\;1%$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 $^{*}\;5%$) 8) 과육당(果肉糖)은 주로 비환원당(非還元糖)(61%)인 반면 과피당(果皮糖)은 주로 환원당(還元糖)(88%)이며 수확기(收穫期) 과육중(果肉中) 전당(全糖)과 비환원당간(非還元糖間)에 r=0.861, 과피중(果皮中) 전당(全糖)과 환원당간(還元糖間)에 r=0.972로 모두 1%(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다. 9) 과피율(果皮率)이 36% 이하(以下)의 품종(品種)은 과피당비(果皮糖比) (과육전당(果肉全糖)/과피전당(果皮全糖))가 1보다 크고 과피율(果皮率)이 36% 이상(以上)인 품종(品種)은 1이하(以下)로 당함량(糖含量)과 부위별(部位別) 생장속도(生長速度)에 관련성(關聯性)이 있는 것 같다. 10) 거제군(巨濟郡) 온주(溫州)는 제주산(濟州産)에 비(比)해 과피율(果皮率)이 적고 산(酸)과 당함량(糖含量)이 낮으나 감미비(甘味比)가 높았다.

  • PDF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췌장 베타 세포 보호활성 식물추출물 탐색 (Search for Plant Extracts with Protective Effects of Pancreatic Beta Cell against Oxidative Stress)

  • 이동성;정길생;안인파;리빈;변에리사;김윤철
    • 생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5-340
    • /
    • 2008
  • Diabetes mellitus is metabolic disorder characterized by hyperglycemia caused by insufficient insulin secretion or insulin receptor insensitivity to endogenous insulin. It is well-known that hyperglycemia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oxidative stress in both type 1 and 2 diabetes. Oxidative stress is related by death of pancreatic ${\beta}$ cell and dysfunction of ${\beta}$ cell. Although ${\beta}$ cell death or dysfunction is induced by many substances or molecules, increased evidences that oxidative stress plays a crucial role in ${\beta}$ cell death or dysfunctio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oxidative stress in the pathogenesis of diabetes mellitus, we investigated the cytoprotective effects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in pancreatic ${\beta}$ cell line RIN-m5F cell. 110 Plant sources were collected in Mt. Baek-du, and extracted with methanol. These extracts had been screened the protective effects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amage in RIN-m5F cells at 50 and 200 ${\mu}g$/ml. Of these, ten methanolic extracts, aerial part of Erigenron cannadensis, aerial part of Lespedeza juncea, whole plant of Alopecurus aequalis, fruit of Lycium chinense, leaf of Morus alba, rhizome of Polygonatum odoratum, root of Ampelosis japonica, whole plant of Ranunculus japonicus, aerial part of Polygonum sieboldii, rhizome of Arisaema amurense var. violaceum showe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amage in pancreatic ${\beta}$ cell line RIN-m5F cell.

Helicobacter pylori 억제효과를 가지는 영실(Rosa multiflora Thunberg) 추출물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mended with Rosa multiflora Thunberg Extracts with Inhibitory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박기태;우희섭;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431-1440
    • /
    • 2012
  • Whole fruit 영실로부터 페놀성 물질의 추출은 7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가 최적이었다. 영실로부터 제조한 70% 에탄올 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은 $200{\mu}g/mL$의 phenolic compoun d 함량에서 13 m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영실 추출물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본 결과 영실 추출물을 첨가한 반죽은 밀가루 수화와 반죽 형성, 시각적인 반죽 내부평가에서 품질 열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영실 추출물을 첨가한 반죽으로 구운식빵 제품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수분 함량이 높아 촉촉한 조직감을 주었으며, 불규칙한 기공이 많았으나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토마토 향기성분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lavor Components in Tomato Fruit)

  • 손태화;천성호;최상원;문광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92-297
    • /
    • 1988
  • 토마토 과실의 향기성분을 생체흡착법, 파쇄흡착법 및 연속 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하고 GC와 GC-MS에 의해 동정하였다. 생체흡착법으로 추출한 향기성분은 80여 종 이상이 분리되었고 그 중 alcohols 10종, aldehydes 6종, ester 3종, ketones 4종, phenol 1종, acid 1종으로 총 25종을 동정하였다. 파쇄흡착법으로 추출한 향기성분은 100여종 이상이 분리되었고 그중 alcohols 12종, aldehydes 6종, Ketones 5종, esters 5종, phenols 2종, hydrocarbon 1종, acid 1종으로 총 32종이 동정되었다. 연속수증기증류법으로는 향기성분 300여종 이상을 분리하였고 그 중 alcohols 19종, ester 9종, hydrocarbons 13종, aldehydes 8종, Ketones 9종, phenols 2종, lactones 2종, furans 2종, acid 1종, oters 2종으로 총 67종이 동정되었다. 연속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동정한 성분 중 아직까지 MS에 의해 동정되지 않은 성분들은 hydrocarbons 11종, aldehydes, Ketones 및 other 각각 2종, alcohol, ester, lacton 및 furfural 각각 1종으로 총 21종이었다.

  • PDF

착색단고추 생리장해과와 정상과의 수확 후 생리 및 신선편이의 저장성 비교 (A Comparison of Postharvest Physiology and Storability of Paprika Fresh-Cut Made from Disordered and Normal Fruits)

  • 유태종;최인이;정현진;김일섭;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9-54
    • /
    • 2010
  • 여름철 강원도 고랭지 재배되는 착색단고추는 비상품과로 분류되는 생리장해과가 발생이 많은데, 본 실험은 이들 생리장해과의 신선편이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착색단고추의 정상과와 배꼽썩음과 그리고 납작과를 수확하여 신선편이로 제조하여 수확 후 생리현상과 몇 가지 MAP 조건에서 저장성을 비교하였다. 저장전 이들 신선편이의 호흡률과 에틸렌 발생 률은 정상과와 생리장해과의 차이에 일정한 경향이 었으며 통계적 유의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3가지의 형태의 과실의 신선편이를 두께 $25{\mu}m$$50{\mu}m$의 세라믹 필름으로 포장하여 $4^{\circ}C$$9^{\circ}C$ 그리고 상온에서 저장하였다. 저장중 생체중 감소는 모두 1.1% 이하로 과실형태로는 그 차이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필름 두께가 얇을수록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컸다. 이들 포장재내 이산화탄소와 산소농도의 경우 품종과 과실형태별 차이에 유의성은 없었으며 저장온도별로 저온이었던 $4^{\circ}C$ 처리와 필름종류에서는 두께가 얇았던 $25{\mu}m$ 세라믹 필름포장처리에서 낮은 이산화탄소와 높은 산소 농도를 보였다. 저장기간 중 변화를 보면 $4^{\circ}C$ 저장은 9일 이후, $9^{\circ}C$ 저장은 6일 이후 포장재내 급격한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와 이와 동반된 산소 농도 감소나 나타났는데, 이 시점은 외관상 품질이 급격히 감소한 때와 일치하였다. 에틸렌 농도는 상온을 제 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7{\mu}L{\cdot}L^{-1}$ 이하를 보였는데 포장재 두께가 얇은 $25{\mu}m$ 세라믹 필름포장과 $4^{\circ}C$ 저장 처리구에서 낮게 유지되었으며 과실형태별로 유의성 있는 차이나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저장 최종일에 외관상 품질은 3일간 저장하였던 상온에서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처리간 차이에 유의성은 없었다, $9^{\circ}C$$4^{\circ}C$ 저장에서는 정상과에서 외관상 품질이 높게 유지되었으나 생리장해과와의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저장온도별로 9일간 저장한 $9^{\circ}C$에 비해 12일간 저장한 $4^{\circ}C$에서 높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착색단고추 과실의 형태 및 품질이 신선편이의 저장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저온 장해가 있는 착색단고추 과실이지만 신선편이의 경우 $4^{\circ}C$의 저온이 보다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멜론(Cucumis melo L.) 수확 후 관리기술 최근 연구 동향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 on the Postharvest Technology of Melon(Cucumis melo L.))

  • 오수환;배로나;이승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2-458
    • /
    • 2011
  • 박과에 속하는 멜론은 다양한 형태, 과실 크기, 과피와 과육의 변이를 가진다. 또한, 멜론은 당도가 높고 향기와 과즙이 풍부하여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작물이다. 멜론 종내에는 호흡과 에틸렌의 차이에 따라 호흡급등형(climacter)과 비호흡급등형(non-climacteric) 타입이 동시에 존재한다. 멜론은 에틸렌 발생량이 많은 과실이며 에틸렌은 성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호르몬들도 상호 작용하여 과실이 성숙 시에 영향을 끼친다. 멜론은 성숙하면서 이러한 생리적 변화뿐만 아니라 당도, 경도, 향기, 색소 그리고 네트 발현과 같은 생화학적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들은 수확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멜론의 수확적기 판정은 수분 후 일수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 수확 후 멜론은 $10^{\circ}C$로 품온을 낮추기 위한 예냉 작업을 한 후, 선별, 포장 과정을 거친다. 수확 후 고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열처리를 하여 효소 활성 및 미생물 번식을 억제시키며, 칼슘 처리를 하여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1-MCP를 처리하면 호흡과 에틸렌 발생을 억제시켜 저장성이 증가하였다. 멜론의 저장기간은 짧은 편이며 저온 저장 시 저온 장해를 쉽게 받으므로 $10^{\circ}C$ 정도가 가장 적절하다. 국내에서는 저온저장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장기유통을 할 경우에는 CA저장으로 후숙과 노화를 지연시킨다. 신선편이 멜론의 가공은 살균제가 첨가된 세척수로 세척과 살균 과정을 거쳐 플라스틱 필름 포장을 하여 저온유통 한다. 최근 신선편이 멜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품질과 저장 기간을 늘리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산 약용식물 추출물의 알도즈 환원 효소 억제 효능 검색 (VI) (Screening of Korean Herbal Medicines with Inhibitory Effect on Aldose Reductase (VI))

  • 이윤미;김영숙;김주환;김진숙
    • 생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1-378
    • /
    • 2011
  • Aldose reductase (AR) has been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diabetic complications. To discover novel treatments for diabetic complications from natural sources, 65 Korean herbal medicin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inhibitory activities on AR. Of these, 23 herbal medicines exhibited a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with 3,3-tetramethyleneglutaric acid (TMG). Particularly, 8 herbal medicines, Acer tataricum (twig, stem and leaf), Acer tataricum (fruit),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twig, stem and leaf), Weigela subsessilis (twig, stem and leaf), Acer mono (branch and leaf), Ailanthus altissima (twig, stem and leaf), Lindera obtusiloba (branch and leaf), Solidago serotina (whole plant) showed three times more potent inhibitory activity than the positive control, TMG.

Genomic Tools and Their Implications for Vegetable Breeding

  • Phan, Ngan Thi;Sim, Sung-Chur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149-164
    • /
    • 2017
  •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technologies have led to the rapid accumulation of genome sequences through whole-genome sequencing and re-sequencing of crop species. Genomic resources provide the opportunity for a new revolution in plant breeding by facilitating the dissection of complex traits. Among vegetable crops, reference genomes have been sequenced and assembled for several species in the Solanaceae and Cucurbitaceae families, including tomato, pepper, cucumber, watermelon, and melon. These reference genomes have been leveraged for re-sequencing of diverse germplasm collections to explore genome-wide sequence variations, especiall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The use of genome-wide SNPs and high-throughput genotyping methods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new strategies for dissecting complex quantitative traits, such a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In addition, the use of multi-parent populations, including nested association mapping (NAM) and multiparent advanced generation intercross (MAGIC) populations, has helped increase the accuracy of quantitative trait loci (QTL) detection. Consequently, a number of QTL have been discovered for agronomically important traits, such as disease resistance and fruit traits, with high mapping resolution. The molecular markers for these QTL represent a useful resource for enhancing selection efficiency via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in vegetable breeding programs. In this review, we discuss current genomic resources and marker-trait association analysis to facilitate genome-assisted breeding in vegetable species in the Solanaceae and Cucurbitaceae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