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ole fruit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1초

Potential antifilarial activity of the fruit, leaf and stem extract of Melia azedarach Linn. on cattle filarial parasite Setaria cervi in vitro

  • Ahmed, Qamar U.;Zaidi, S.M.K.R.;Kaleem, M.;Khan, N.U.;Singhal, K.C.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6권2호
    • /
    • pp.144-156
    • /
    • 2006
  • The effect of aqueous and alcoholic extracts of the fruit, leaf and stem of Melia azedarach Linn. (Meliaceae) on the spontaneous movements of both the whole worm and the nerve-muscle (n.m.) preparation of Setaria (S.) cervi and on the survival of microfilariae in vitro was studied. Alcoholic extracts of fruit, leaf and stem caused inhibition of the spontaneous movements of the whole worm and the n.m. preparation of S. cervi, while only aqueous extract of fruit caused inhibition of the spontaneous movements of the whole worm and the n.m. preparation of S. cervi. The initial stimulatory effect was not observed by the aqueous and alcoholic extracts of fruit on n.m. preparation. The concentrations required to inhibit the movements of the whole worm and n.m. preparation for alcoholic extracts of fruit, leaf and stem were 250, $40\;{\mu}g/ml$; 280, $40\;{\mu}g/ml$ and 270, $25\;{\mu}g/ml$ respectively, whereas an aqueous extract of fruit caused inhibition of whole worm and n.m. preparation at $200\;{\mu}g/ml$ and $40\;{\mu}g/ml$ respectively. Alcoholic extracts of the fruit, leaf and stem and aqueous extract of the fruit of M. azedarach caused concentration related inhibition on the survival of microfilariae (m.f.) of S. cervi. The $LC_{50}$ and $LC_{90}$ as observed after 6 h were found to be 5, 15, 10, 20 ng/ml and 10, 25, 20 and 35 ng/ml, respectively. This work was conducted in view of the exploration of potential antifilarial herbal drug.

단감의 박피가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moved Peel from Sweet Persimmon on Nutritional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 이수정;류지현;김라정;이현주;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95-1502
    • /
    • 2010
  • 단감의 이용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전과와 과육을 각각 동결건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섬유소, 비타민 C 및 무기물 함량은 전과에서 높았으나, 아미노산의 함량은 과육에서 약 1.4배 정도 높았다. 동결건조 된 단감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 중 총 페놀화합물은 전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차가 없었다.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생리활성을 비교한 결과, 물추출물보다는 에탄올 추출물, 과육에 비해 전과에서 활성이 높았다. 특히, ABTS, NO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은 모든 농도에서 전과가 과육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단감 가공 시 전과의 이용은 섬유소 및 비타민 C의 섭취량뿐만 아니라 생리활성의 증가에도 유효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과실 비파괴평가용 초음파 변환기 개발 (Development of Ultrasonic Transducer for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Whole Fruit)

  • 김기복;이상대;김만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2권4호
    • /
    • pp.269-275
    • /
    • 2007
  • In this study, ultrasonic transducers for non-destructive contact measurement of whole fruits were developed. The design parameters for ultrasonic transducer such as acoustical impedance of fruits, kinds of piezoelectric materials, ultrasonic wave frequency, and transducer diameter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match the acoustical impedance between piezoelectric material and fruit, various materials were fabricated and evaluated. Also to control the sensitivity and bandwidth of the ultrasonic transducer, various backing materials were fabricated and evaluated. Especially, the wear plate of the ultrasonic transducer was designed and fabricated considering the curvature of fruit. The central frequencies of two developed ultrasonic transducers were about 100 kHz and 200 kHz, respectively. With the developed ultrasonic transducers,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the fruit will be possible.

감귤박 에탄올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Nutrient Content of Ethanol and Hot-Water Extracts of Citrus unshiu Pomace)

  • 송연우;문근식;김소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345-1350
    • /
    • 2013
  • 본 연구는 감귤박의 생리기능성을 탐색하고자 통과 감귤박과, 과피를 제거한 과육 감귤박을 열수와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여 일반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감귤박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열량과 탄수화물은 통과 감귤박이 더 높았으며 수분은 과육 감귤박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용매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과피를 포함하고 있는 통과 감귤박이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ESR을 이용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lkyl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과육보다는 통과 감귤박의 활성이 더 높았으며, 열수추출물보다는 에탄올추출물이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한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 naringin은 통과 에탄올추출물에서만 검출되었으며, 또한 nobiletin과 tangeretin의 함량이 통과 에탄올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GC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감귤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플라보노이드뿐만 아니라 HMF와 maltol에 기인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따라서 과피를 포함하고 있는 통과 감귤박은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는 데에 있어서 높은 활용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Rutaceae Fruit Ethanol Extracts Against Microorganisms-induced Skin Inflammation

  • Kim, Mee-K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237-245
    • /
    • 2021
  •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품 천연소재를 탐색하고자 피부 염증 유발 미생물 6종에 운향과 과실류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항균력을 비교 조사하였다. 운향과 과실류는 전과와 과피로 나누어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파우더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 결과 Staphylococcus aureus 균주를 제외한 5종의 균주에서는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이 생 레몬 전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Escherichia coli 균주에서는 생 레몬 전과와 생 탱자 과피에서만, 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에서는 건조 레몬 전과에서만 항균활성이 확인되었다. Pityrosporum ovale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은 생과의 경우 유자 전과, 레몬 전과, 밀감 껍질 순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건과 중에서는 오렌지 껍질, 탱자 껍질, 밀감 껍질, 레몬 껍질 순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운향과 과실류 중에서 피부 염증 유발과 관련된 피부 상재균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된 레몬이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품 천연소재로서 사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식방법과 재배시스템에 따른 딸기의 생장, 생산성, 품질 (Growth,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trawberry as Affected by Propagation Method and Cultivation System)

  • 강동일;호강도;리야리;정병룡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6-336
    • /
    • 2020
  • 이 연구는 번식방법과 재배시스템별 딸기 '설향' 품종의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삽목법과 유인법으로 번식된 이식묘를 토경과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진주의 딸기 재배농가에서 2018년 9월12일부터 한 작기 동안 재배하였다. 과실 수확은 2018년 12월 20일에 시작하여 작기가 끝날 때까지 4-5일 간격으로 계속하였다. 전 수확기간 동안 생육, 과실 생산성 및 품질을 측정하였다. 번식방법이 크라운 직경, 엽장 및 엽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재배시스템은 크라운 직경, 엽장, 엽폭, 엽록소 함량 및 엽수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전 수확기간 동안 포기 당 총 과실 수량과 과실 당 평균 과중은 토경재배 시스템에서 유의미하게 낮았다. 시장성이 없는 총 과일 비율은 수경재배 보다 토경재배 시스템에서 현저하게 더 높았다. 시장성이 없는 과일 토경에서는 주로 작은 과일인데 인데 반해 수경재배에서는 주로 기형 과일이었다. 전반적인 고품질 과실은 2월에 수확되었고,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토경에 비해 과실의 품질이 더 높았다. 삽목번식이 유인번식 보다 더 좋았고, '설향'의 과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경재배가 토경재배 보다 더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Blending and Juicing on the Phytochemicals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Typical Korean Kernel Fruit Juices

  • Pyo, Young-Hee;Jin, Yoo-Jeong;Hwang, Ji-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2호
    • /
    • pp.108-114
    • /
    • 2014
  • Four Korean kernel fruit (apple, pear, persimmon, and mandarin orange) juices were obtained by household processing techniques (i.e., blending, juicing). Whole and flesh fractions of each fruit were extracted by a blender or a juicer and then examined for phytochemical content (i.e., organic acids, polyphenol compounds). The antioxidant capacity of each juice was determined b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ssays. Results revealed that juices that had been prepared by blending whole fruits had stronger antioxidant activities and contained larger amounts of phenolic compounds than juices that had been prepared by juicing the flesh fraction of the fruit.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ascorbic acid in apple, pear, and mandarin orange juice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juice that had been processed by juicing, rather than blending. The juices with the highest ascorbic acid (233.9 mg/serving), total polyphenols (862.3 mg gallic acid equivalents/serving), and flavonoids (295.1 mg quercetin equivalents/serving) concentrations were blended persimmon juice, blended mandarin orange juice, and juiced apple juice,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juice extraction techniques significantly (P<0.05) influences the phytochemical level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fruit juices.

미숙 온주밀감을 이용한 통 밀감 분말과 착즙액의 성분함량 및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ajor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Whole Fruit Powder and Juice Prepared from Premature Mandarin Orange)

  • 강영주;양민호;고원준;박승림;이봉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83-788
    • /
    • 2005
  • 매년 제주지역에서 적과에 의하여 발생하는 미숙과 5-10만톤을 자원화하기 위하여 8, 9, 10월에 수집된 미숙감귤을 마쇄한 후 전자파 가열건조한 통 밀감 분말과 착즙 액에 대하여 적과 시기별 일반성분, 식이섬유, 유리 당, 유기산, flavonoid 분석을 하였다. 숙도가 높을수록 미숙감귤분말의 지방, 회분, 단백질, 총산은 감소하였으나 환원당 함량은 증가하였다. 식이섬유는 총 식이섬유(TDF)가 8월 53.1%, 9월 49.7%, 10월 39.9%로 함량이 높으며, 중성 식이섬유(NDF), 산성 식이섬유(ADF)의 경우도 숙도가 낮을수록 함량이 높았고 착즙 액은 모두 1% 이내로 적었으며 시기별 차이도 뚜렷치 않았다. Flavonoid는 미숙감귤분말의 narirutin과 hesperidin이 각각 8월 1317.8mg% 및 6129.5mg%에서 10월 881.0mg% 및 44221.2mg%로 감소하였으며 neohesperidin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유리 당은 숙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높아·졌으며 8월의 경우 glucose>fructose>sucrose순이었으나, 10월로 갈수록 sucrose>fructose>glucose순으로 변하였다. 유기산은 미숙감귤분말의 경우 citric acid가 8월 27.86%에서 10월 11.41%로 낮아졌고 ascorbic acid는 0.081%에서 0.12%로 미량이지만 과실이 익어갈수록 높아졌으며 착즙액도 길은 경향을 보였다 총 polyphenol과 전자공여작용은 미숙감귤분말과 착즙 액이 각각 8월 21.7mg%과 78.2mg% 및 44.2% 및 61.6%로 숙도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8월 미숙감귤분말 추출액과 미숙감귤 착즙 액의 각각 아질산염소거작용은 8월 미숙감귤분말의 경우 pH 1.2에서 57.2%의 비교적 높은 소거 능을 보였다. 따라서 미숙 통밀감 분말은 식이섬유 및 flavonoid 소재원으로 이용 가능성이 있다.

경남 산지 과수원에서 채집된 과실 흡수나방의 종류 (Fruit Piercing Moths Collected at an Orcgard Surrounded by forest in Gyeongnam Province)

  • 박정규;신원교;김인곤;김창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1-116
    • /
    • 1988
  • 1987년 6월부터 9월가지 경남 진주지방의 복숭아, 자두, 배가 심어져 있는 사지 과수원에서 4개의 black light(BL) trap과 야간에 1시간 동안(22시~23시)의 포충망채집에 의하여 흡수나방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가지 채집방법으로 의해 15종의 1차가해종과 22종의 2차가해종 및 가해습성으르 알 수 없는 4종 등 총 41종의 흡수나방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에서 16종은 우리나라에서 흡수나방으로처음 보고되는 종류이다. 1차가해종의 우점종은 작은갈고리밤나방, 무궁화밤나방, 스투포사밤나방, 금빛우묵밤나방, 갈고리밤나방으로서 전체의 86.7%를 차지하였다. 2차가해종의 우점종은 검거세미나방, 쌍띠밤나방, 까마귀밤나방, 세줄박각시나방으로서 전체의 80.5%를 차지하였다. BL trap으로는 총 채집수 15.2%가, 야간포충망채집으로는 79.7%가 1차가해종이었다. 무궁화밤나방, 스투포사밤나방, 작은갈고리밤나방은 복숭아, 자두, 배에서 공히 많이 채집되었으며 그외에 복숭아에서는 갈고리밤나방, 자두에서는 금빛추묵밤나방, 배에서는 태극나방이 많이 채집되었다.

  • PDF

오디가루를 첨가한 절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with Added Mulberry Fruit Powder)

  • 강양선;조태옥;홍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13-519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added mulberry fruit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The chemical composition as a whole was 10.23% moisture, 8.03% crude protein, 5.40% crude fat, 2.51% crude ash, and 6.98% crude fiber. The mulberry fruit powder was added to rice powder at ratios of 2, 4, 6 and 8%.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mulberry fruit Jeolpyon samples ranged between $50.75{\sim}52.66%$. With regard to the color values the L-value decreased and the a-value and b-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added mulberry fruit powder. In the mechanical evaluation of the mulberry fruit Jeolpyon, the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values were lower in the Jeolpyon samples with added mulberry fruit powder than in the samples with more than 0% mulberry fruit powder, respectively.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deemed highest at a 4% level of added mulberry fruit powder. In conclusion, the Jeolpyon prepared with 4% mulberry fruit powder added to rice flour was assessed to as optimal formulation, in terms of its overall acceptability and textural qua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