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rot fungus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2초

좀구멍버섯균의 배양조건에 따른 Mn-Peroxidase와 Glucose Oxidase의 생성조절 (Correlative Production of Mn-Peroxidase and Glucose Oxidase Depending on the Culture Condition of Schizopora paradoxa)

  • 이상윤;신현동;김규중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5-331
    • /
    • 1994
  • 좀구멍버섯균(Schizopora paradoxa)은 백색 부후 균으로 망간이 배지에 첨가되지 않으면 MNP와 GOX는 동시에 생성되지 않았으며 고농도의 망간 첨가시 (40ppm)에는 기본적 농도(11.15ppm)에 비해 MNP와 GOX가 모두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망간농도에 따른 균사생장량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구리와 veratryl alcohol에 대해서도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으나 농도에 따른 MNP와 GOX의 변화가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MNP와 GOX의 생성조절과 관련하여 cAMP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cAMP생성효소 억제제인 atropine을 농도별로 배양액에 첨가시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MNP와 GOX생성이 동시에 억제되었다.

  • PDF

친화크로마토그래프법을 이용한 Cerrena unicolor laccase의 정제특성 (Purification of extracellular Cerrena unicolor laccase by means of affinity chromatography)

  • A. Leonowicz;L. Gianfreda;J. Rogalski;M. Jaszek;M.W. Wasilewska;E. Malarczyk;A. Dawidowicz;M. Fink-Boots;G. Ginalska;Cho, Nam-Seok
    • 펄프종이기술
    • /
    • 제29권4호
    • /
    • pp.7-17
    • /
    • 1997
  • 균체가 생산하는 laccase 효소가 다방면으로 이용되면서, 이 효소를 균체로부터 대량으로 생산하고 분리.정제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아울러 이 효소의 활성을 유도하기 위한 inducer 로서 2,5-xylidine 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바, 이 xylidine 의 유독성이 인정되면서 사람에게 독성을 주지 않는 환경친화적 inducer의 검색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백색부후균 Cerrena unicolor가 분비하는 laccase 효소의 유도를 위한 inducer로서 ferul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균체로부터 생산 및 분리된 laccase 효소의 정제특성을 구명코자 하였다. 본효소(constitutive enzyme)로서 I 및 II를, ferulic acid를 inducer로 사용한 경우 inducing 효소 III을 분리.정제하였다. 본 효소 I 및 II의 Michaelis 정수는 각각 737 M, 716 M 이었고, inducing효소 III은 167 M 로서, 기질에 대한 높은 친화성을 보여주고 있다. 분자량도 각각 65 kD, 63 kD 였으며, inducing효소 III은 59 kD 였다. 두효소 모두 15-19%의 당 및 단백질분자당 4M의 동(Cu)을 함유하고 있었다. 정제효율은 효소 I 및 II가 10.1%, 9.4% 였으며, III은 3.2% 였다. 모든 효소의 최적 pH 는 5.5였으며, 최적온도는 비교적 높은 $40^{\circ}C$였다.

  • PDF

The Recycling of Enokitake Cultural Waste and the Potentiality of 2nd Flush for Enokitake Production

  • Chai, Jung-Ki;Lee, Sung-Jin;Kim, Young-Ju;Kim, You-i;Kim, Nam-Hee
    • Plant Resources
    • /
    • 제3권2호
    • /
    • pp.110-117
    • /
    • 2000
  • The recycling method of enokitake cultural waste and the potentiality of second flush for enokitake were determined, because this fungus is not as prolific as the more commonly cultivated white rot fungi in the conversion of sawdust to mycelial mass. The mycelial growth of F. velutipes on several substrates, variously treated with rice bran was promoted at ratios of 10-20% (w/w) on all substrates, but suppressed at above ratios, although some difference was there. The mycelial densities generally increased correlated to the supplementation contents of rice bran. It could be concluded that F. velutipes preferred mild acidic to acidic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considering that the mycelial growth rate was highest on waste of pH 6.01, treated with 0.1 % Ca(OH)$_2$ and on populus mixed waste of pH 6.02, non treated. The ranges of substrate bulk densities, which was pertinent for mycelial linear growth were from B.D. (g/cc) 0.17 to 0.23 on waste and populus mixed waste all. The pertinent contents of rice bran supplementation in bottle cultivation was from 20 to 30% on waste and 20% on populus mixed waste, considering the requried duration for pinheading and fruiting yields. Standard bulk density for filling and utilizing the waste and populus mixed waste for commercial f. velutipes cultivation were B.D.(g/cc) 0.19 ~ 0.23, and 0.23~ 0.25, which could be conversed to 510~ 540g/900m1 and 520~ 570g/900m1, respectively, The second flush of F. velutipes was tried and the re-inoculation by sawdust and liquid spawn showed somewhat good results, indicating the potentiality of second crop and suggesting further research for it.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Intracellular NADH: Quinone Reductase from Trametes versicolor

  • Lee, Sang-Soo;Moon, Dong-Soo;Choi, Hyoung-T.;Song, Hong-Gyu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4호
    • /
    • pp.333-338
    • /
    • 2007
  • Intracellular NADH:quinone reductase involved in degradation of aromatic compounds including lignin was purified and characterized from white rot fungus Trametes versicolor. The activity of quinone reductase was maximal after 3 days of incubation in fungal culture, and the enzym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using ion-exchange, hydrophobic interaction, a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ies. The purified enzyme has a molecular mass of 41kDa as determined by SDS-PAGE, and exhibits a broad temperature optimum between $20-40^{\circ}C$, with a pH optimum of 6.0. The enzyme preferred FAD as a cofactor and NADH rather than NADPH as an electron donor. Among quinone compounds tested as substrate, menadione showed the highest enzyme activity followed by 1,4-benzoquinone. The enzyme activity was inhibited by $CuSO_4,\;HgCl_2,\;MgSO_4,\;MnSO_4,\;AgNO_3$, dicumarol, KCN, $NaN_3$, and EDTA. Its $K_m\;and\;V_{max}$ with NADH as an electron donor were $23{\mu}M\;and\;101mM/mg$ per min, respectively, and showed a high substrate affinity. Purified quinone reductase could reduce 1,4-benzoquinone to hydroquinone, and induction of this enzyme was higher by 1,4-benzoquinone than those of other quinone compounds.

Stain Fungi and Discoloration Control on Rubberwood (Hevea brasiliensis Muell. Arg.) by Vacuum-Pressure Treatment with Catechin from Gambir (Uncaria gambir Roxb.)

  • Dodi NANDIKA;Elis Nina HERLIYANA;Arinana ARINANA;Yusuf Sudo HADI;Mohamad Miftah RAHMA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183-196
    • /
    • 2023
  • Recently,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features of five stain fungi infecting rubberwood (Hevea brasiliensis), namely Paecilomyces maximus, Paecilomyces formosus, Penicillium crustosum, Paecilomyces lecythidis and Aspergillus chevalieri, have been studied. Prior to this study, the authors revealed that catechin from gambir (Uncaria gambir) could inhibit the growth of the white-rot fungus Schizophyllum commune, and it was important to determine the bioactivity of the aforementioned agent against A. chevalieri. The efficacy of the biocidal agent was examined using a laboratory wooden block test. Rubberwood blocks, 8 mm in thickness, 20 mm in width, and 30 mm in length, were impregnated with catechin solution at concentrations of 6%, 9%, 12%, and 15% (w/v) using the vacuum-pressure method, and their bioactivity was monitored over three weeks through visu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ssessment of fungal growth as well as the discoloration intensity of the wood samples. The results showed that catechin treatment increased the resistance of wood samples to A. chevalieri. Overall, the higher the catechin concentration, the lower the fungal growth. The lowest fungal growth was observed in the wood samples treated with 12% and 15% catechin (score of 0), demonstrating no discoloration. In contrast, the fungal growth score of the untreated wood samples reached 4, indicating severe discoloration. Catechins appear to be adequate biofungicides against stain fungi in rubberwood.

사과나무의 겹무늬병(윤문병) 및 사마귀병 (우피병)의 병원균과 병원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White rot and Blister Canker in Apple Trees caused by Botryosphaeria berengeriana)

  • 이두행;양장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2-88
    • /
    • 1984
  • 사과나무의 과실 부패현상과 가지 사마귀현상의 평원균 및 그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가지 및 과실, 벚나무${\cdot}$복숭아나무${\cdot}$자두나무${\cdot}$능수버드나무 및 자작나무의 가지 등 7종의 병든식물에시 분리된 것은 Dothierella mali (Botryosphaeria berengeriana 의 불완전세대)가 대부분이었고 사과의 썩은 과실에서는 Alternaria sp.와 Pencicillium expansum도 분리되었으며, 배의 썩은 과실에서는 Phomopsis sp.도 분리되었다. 2. B. berengeriana의 10개 분리균을 4종 재배에 배양한 결과 균사생장, 균총의 모양 및 색깔의 차이에 따라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시된 분리균은 배지에 특이한 색깔을 나타내지 않았다. 병자각은 자좌속에 형성되었으며, 모양은 구형 또는 편구형으로 흑갈색이었고, 크기는 사과 병조직의 것이 $103.5-287.5\mu\times92.0-287.5\mu$사이었다. 병포자는 보통 무색, 단포, 타원형-방추형으로써 사과나무 가지에서 분리한 균의 크기의 범위는 $4.3-7.2\mu\times20.0-31.5\mu$(평균 $5,9\times25.4\mu$)이었다. 병포자는 발아전후에 1개, 2개 또는 3개의 격막이 생기는 것도 있었다. 배지 또는 접종부위에 형성된 병자각 안에는 소형포자도 형성되었다. 접종식물의 잎과 과실에는 겹무늬의 갈색-흑갈색 병반이 나타났고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햇가지에는 사마귀상 돌기가 접종부위에 생기는 것이 있었으며, 복숭아나무 및 벚나무의 가지에는 조피형 동고성 병반이 나타났다.

  • PDF

팽이 신품종 '백이' 육성 (Breeding of a new cultivar of Flammulina velutipes: 'Baeke')

  • 임지훈;장갑열;오연이;오민지;이슬기;;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9-303
    • /
    • 2018
  • 팽이의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모균주 ASI 4216(한솔)과 4217(백중)으로부터 단포자를 분리하여 단핵균주를 얻고 이들의 교잡을 통해서 꺽쇠연결체가 확인된 교잡주총 129점을 선발하였다. 교잡주를 대상으로 3회에 걸쳐 재배시험 결과, 고온에서 배양이 가능하며 수량성이 우수한 계통 'Fv14a51'을 최종선발되었으며, 생산력검정 시험을 통해 2017년 농작물 직무육성 품종 심의회에서 '백이'로 명명되었다. 주요 특성은 균사생장이 $30^{\circ}C$의 고온에서도 균활력을 유지할 정도로 강한 온도적응성 품종이고 대조품종에 비해 갓이 두껍고 대가 얇는 형태를 띠는 것 외에는 갓색깔이 순백색이며, 갓모영은 반구형, 수량은 $257.4{\pm}13.5g$으로 대조품종과 비교해서 대체적으로 유사하였다. RAPD primer을 통해 유전적 다형성을 검정한 결과, 대조구인 '오키노메구미', 2016년에 육성된 '백승'과 신품종이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백이'는 수량과 품질이 외국품종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버섯의 균일한 형태로 상업적 가치가 있었다. 신품종의 현장실증을 확대하여 국산품종이 국내에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두부(豆腐)비지 산(酸)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로 조제(調製)한 목재방부제(木材防腐劑)에서 산(酸) 농도(濃度)와 구리/붕소계(硼素系) 염(鹽) 첨가(添加)에 따른 방부능(防腐能)의 영향(影響) (Effects of Acid Concentration and the Addition of Copper/Boron Salts on the Efficacy of Okara-based Wood Preservatives)

  • 정한섭;김호용;안세희;최인규;오세창;한규성;양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5호
    • /
    • pp.52-62
    • /
    • 2009
  • 두부비지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목재방부제를 조제하고, 두부비지 가수분해에 사용하는 산의 농도 및 염의 구성에 따른 방부능의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부비지 방부제는 $25^{\circ}C$에서 1시간 동안 0, 1%, 그리고 2% 황산에 의해 가수분해된 두부비지와 염화구리 또는/그리고 붕산나트륨으로 조제되었고, 목재시편 내에 감가압법으로 주입하여 주입된 시편을 $70^{\circ}C$ 열수에서 72시간 동안의 용탈실험을 거친 후, 갈색부후균 Trametes palustris 및 백색부후균 Tyromyces versicolor에 대한 내후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두부비지를 가수분해한 산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방부제의 주입능과 내후성이 증가하였고, 용탈성은 감소하였다. 두부비지산 가수분해물/구리염 또는 두부비지 산 가수분해물/구리염/붕소염으로 처리된 목재시편은 T. palustris 및 T. versicolor에 대한 우수한 방부효능을 보였으나, 두부비지 산 가수분해물/붕소염 또는 두부비지가 포함되지 않은 방부제로 처리된 목재시편은 T. palustris에 의한 부후가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1% 황산에 의해 가수분해한 두부비지, 염화구리 그리고 붕산나트륨으로 조제한 목재방부제가 두부비지를 이용한 목재방부제 조제의 최적 조건으로 평가되었다.

꽃송이버섯 자생지의 입지특성 및 식생구조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he Habitat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 오득실;박준모;박현;가강현;천우재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3-40
    • /
    • 2009
  •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동안 꽃송이버섯이 발생하는 지역 16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입지조건을 분석한 결과, 꽃송이버섯은 해발 $240{\sim}1,100$ m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하였다. 꽃송이버섯은 낙엽송과 잣나무 입목 뿌리 근처에서 주로 발생하여 근주 심재 부후균의 경향을 뚜렷이 나타내었지만, 일부는 줄기부분에서, 그리고 또 다른 일부는 고사목에서도 발생하여 침입경로와 생육여건이 매우 다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생지 16개 조사구의 식물군락은 교목층의 경우 모두 낙엽송 또는 잣나무로 구성된 단순림이 었고, 조사구별 수고는 $15.3{\sim}38.0$ m, 흉고직경(DBH)은 $22.7{\sim}62.0$ cm에 이르는 대경목으로서 수령은 최소 30년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목층은 단일 수종으로 구성되어 종다양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아교목층, 관목층 및 지피층으로 층위가 내려 갈수록 Shannon-Wiener의 종다양성지수 (H')가 높게 나타났다. 토성은 16개 조사구중 12개 조사구에서 양토로 나타났으며, 유기물 함량은 일반 산림토양에 비하여 다소 높은 $3.79{\sim}14.32%$ 범위이었다. 양이 온치환용량(CEC) 역시 $16.1{\sim}27.2$ $cmol^+/kg$로 조사되어 비교적 비옥한 토양에서 자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토양 pH는 $4.2{\sim}5.2$ 범위로 일반적인 침엽수 입지조건과 유사한 산성토양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잣뽕나무버섯과 곤봉뽕나무버섯의 생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 (Ec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millaria solidipes and A. gallica in Korea)

  • 김진건;이화용;박용우;이희수;구창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55-269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형태적으로 식별이 어려운 잣뽕나무버섯(Armillaria solidipes)과 곤봉뽕나무버섯(Armillaria gallica)의 형태적 특성, 자실체 발생지의 환경특성, 목재분해효소를 알아보았다. 잣뽕나무버섯은 해발고도 107~1,396 m에서 소나무, 졸참나무, 밤나무 등 8종에서 발생하였고, 곤봉뽕나무버섯은 해발고도 119~556m에서 소나무, 물푸레나무 등 3종에서 발생하여 잣뽕나무버섯이 곤봉뽕나무버섯보다 분포와 기주의 범위가 넓었다. 형태는 잣뽕나무버섯의 자실체는 주름살이 빽빽하고 대에 갈색~검은색 털이 있으나, 곤봉뽕나무버섯은 대에 황색 털이 있고, 기부모양이 곤봉형이었다. 목재분해효소 cellulase의 활성은 두 종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laccase의 활성은 잣뽕나무버섯($12.94{\pm}0.4U/mL$)이 곤봉뽕나무버섯($9.14{\pm}0.3U/mL$)보다 높았다. 따라서, 잣뽕나무버섯은 주름살이 빽빽하고 대에 갈색~검은색 털이 있으며, 곤봉뽕나무버섯과 구분하여 다양한 고도에서 넓은 기주범위를 보이고, 수목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