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leghorn hen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초

Multiple Ovulations and In vitro Fertilization in the Domestic Fowl (Gallus domesticus)

  • Han, Haitang;Zhao, Chen;Li, Zand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2호
    • /
    • pp.1652-1656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tain mature ova or embryos at a single cell stage, which can be used in avian transgenesis and nuclear transfer through multiple ovulations, in vitro fertilization and culture. Chicken anterior pituitary extract (CAPE) or acetone-dried chicken anterior pituitary extract (ACAPE) was used to induce multiple ovulations in hens pretreated with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hin (PMSG). In vitro fertilization of the multiple ovulated ova was performed by inseminating sperm onto the germinal disks in m-Ringer' solution and incubating the ova at 41$^{\circ}C$, 5% $CO_2$ for 10 h in DME-F12 medium containing 20% liquid albumen. The in vitro fertilization process was observed using an environment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hen normal laying hens (white Leghorn) were administered daily with PMSG (100 IU), egg laying ceased in most hens within 3 to 8 days. Ovulation began to occur about 7.5 h after injection of CAPE and ACAPE. The number of ovulated ova was 1.00${\pm}$0.00, 2.33${\pm}$0.52 and 2.20${\pm}$0.45, respectively, after receiving 100, 200 and 300 mg CAPE. The number of ovulated ova was 2.00${\pm}$0.00, 2.86${\pm}$0.69 and 3.00${\pm}$1.22, respectively, after receiving 10, 15 and 20 mg ACAPE. The fertilized and cultured ova were able to develop into embryos up to the 32 cell stage. The present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multiple ovulations can be induced by CAPE and ACAPE successfully, and the ova resulted from the treatment retained the capability for further fertiliz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These data provide new information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n in vitro culture system for future avian transgenesis studies.

난황 Cholesterol함량에 대한 유전적 모수 추정 (Estimate of Genetic Parameters for Egg Yolk Cholesterol Content)

  • 홍기창;박응우;정선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5
    • /
    • 1989
  • 본 연구는 난황내 Cholesterol함양이 낮은 계통을 육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에 이용된 공시재료는 White Leghorn계통의 53주령 된 473마리의 산난계에서 연적산란 된 3개의 알을 이용하였다. 각 알은 난황무게가 측정된 후 냉동 건조시켜 분석될 때까지 냉동고에 보관되었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황 Cholesterol함양은 평균 난황건물 g당 $56.00\pm$0.914 mg이었다. 2. 난황 Cholesterol함양의 유전력은 Sire분산성분만으로 추정된 것은 0.52, Sire+Dam의 분산성분에 의한 것이 0.33으로 추정되었다. 3. 20주령체중, 초산일령, 총산난수, 산난율, 53주령난중, 53주령 난황무게와 난황 Cholesterol함양과의 표현형상관은 각각 -0.028,-0.0321, -0.0378, -0.0834, 0.0790, 0.1624로 나타났고, Sire성분에 의한 유전상관은 각각 -0.5293, 0.7105, -0.4062, -0.0254, 0.2164, 0.5027로 나타났다. 4.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난황 Cholesterol함양이 낮은 쪽으로 선발이 가능하며 이렇게 할 경우 초산일령 앞당길 수 있으며 총산난수를 증가시켜 높은 산난율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산란계의 유도 환우가 주요 장기와 혈액 성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duced Molting on Changes of Visceral Organs and Blood Stress Indicators in Laying Hens)

  • 홍의철;박희두;강근호;나재천;유동조;김학규;최양호;배해득;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7-123
    • /
    • 2009
  • 본 시험은 유도 환우 방법이 산란계의 주요 장기와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산란율 85% 이상, 평균체중 $1.7{\pm}0.4\;kg$인 61주령 White Leghorn 150수를 이용하였다. 시험구는 크게 환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Control), 급이 환우법(FM, feeding molt) 및 절식 환우법(SM, starving molt)의 3처리구로 나누고,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0수씩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심장의 무게는 대조구, FM구 및 SM구에서 각각 8.2, 7.9 및 7.5 g으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과 난포수란관의 무게는 모든 환우 처리구(급이, 절식)에서 대조구에 비해 무게가 감소하였으며(P<0.05), 난포수란관의 무게는 SM구가 FM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대조구, 급이 환우구 및 절식 환우구에서 환우 2주전 CS는 각각 4.48, 4.66 및 $4.47\;{\mu}/mLg$이었으나, 1주 전에는 각각 7.32, 7.71 및 $7.11\;{\mu}/mLg$로 증가하였으며, 환우 1주후에는 절식구에서 $10.3\;{\mu}/mLg$로 가장 높았다. 절식과 급이로 환우시킨 산란계의 H : L 비율 변화에서, 환우 2주 전에는 0.27~0.29이지만, 1주 전에는 0.97~1.03으로 증가하였다. 환우 1주 후에는 절식 환우구에서 0.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로 점차 감소되었으며, 급이 환우구에서는 환우 기간 동안 0.45~0.54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이로 환우를 유도시킨 경우에는 절식 환우 시킨 산란계에 비해 스트레스가 적다는 것을 제시한다.

산란계에 있어 남은 음식물의 첨가 수준이 생산성과 난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od Waste on the Performance and the Egg Quality in Laying Hens)

  • 황보종;이성재;이병석;이현정;조성백;김학규;이선업;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17-224
    • /
    • 2006
  • 본 시험은 남은 음식물을 산란계 사료에 1, 3, 5, 10 및 20% 첨가하여, 산란계의 사료 섭취량, 산란율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축은 50주령 산란계(White Leghorn종) 162수를 이용하였으며, 처리구는 남은 음식물을 0, 1, 3, 5, 10, 20%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다. 시험기간 중 사료 섭취량, 난중은 첨가수준별과 주령별 처리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p>0.05). 그러나 산란율은 FW 20% 처리구에서 1, 2, 3 주째 산란율의 감소가 있었으나, 4주째 회복하였다(p<0.05). 난각 두께와 난황 계수는 전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p>0.05), 난각 강도는 3주째와 4주째에 10% FW 처리구에서 각각 $4.13kg/cm^2$$4.04kg/cm^2$로 나타나 첨가 수준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p<0.05). 호우 유니트와 난황색은 20% FW 처리구에서 4주째에 각각 92.3과 9.4로 남은 음식물 사료의 첨가 수준에 따라 주령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 결과 FW를 20% 이상 첨가시에 산란율이 감소했지만, 5% 첨가시에 산란율이 유지되었으며, 난질이 개선되어 남은 음식물 사료의 영양소 요구량 수준 개선으로 사료 자원으로서 가치가 증진될 것으로 사료된다.

Increasing Content of Healthy Fatty Acids in Egg Yolk of Laying Hens by Cheese Byproduct

  • Hwangbo, Jong;Kim, Jun Ho;Lee, Byong Seak;Kang, Su Won;Chang, Jongsoo;Bae, Hae-Duck;Lee, Min Suk;Kim, Young Jun;Choi, Nag-J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3호
    • /
    • pp.444-449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heese byproduct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fatty acid profile of egg yolk lipids from laying hens. One hundred five 30-wk-old White leghorn laying hen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five groups of twenty one hens each and maintained in individual laying cages for 4 weeks. The hens were assigned to five treatments that consisted of corn-soybean meal based diets containing 0, 1, 3, 5 or 10% of cheese byproduct. Feed intake and rate of egg production of he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reatments during the whole experiment (p>0.05). Similarly, egg yolk cholesterol level, egg weight, Haugh's unit, eggshell thickness, color, and streng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reatments (p>0.05). The amount of C16:0 in egg yolk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reatments, but that of C18:0 decreased with increased cheese byproduct (p<0.01). Monounsaturated fatty acid (C16:1 and C18:1) content in egg yolk was similar across the treatments. Total CLA and cis-9, trans-11 CLA content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ed cheese byproduct (p<0.001), while trans-10, cis-12 CLA amou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reatments (p>0.05). Total saturated fatty acid (SFA) in the egg yolk was decreased as the level of cheese byproduct including CLA increased (p<0.01). However, the amou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UFA) such as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n-6 PUFA, and total PUFAs in the egg yolk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reatments (p>0.05).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cheese byproduct beneficially improv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concern to human health in the egg yolk without adverse effects on egg quality.

산란계에서 급이환우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의 품질 및 주요 장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Induced Molting on the Performance, Egg Quality, and Visceral Organs in Laying Hens)

  • 홍의철;나재천;유동조;장병귀;김학규;최양호;박희두;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7-205
    • /
    • 2007
  • 본 시험은 동물복지의 관점에서 국내 처음으로 급이 환우법을 실시하여, 절식에 의한 환우법과 환우 후 산란계의 생산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산란율 80% 이상, 평균 체중 $1.6{\pm}0.3\;kg$인 62주령 White Leghorn 81수를 이용하였다. 처리구는 환우처리하지 않은 미환우구를 대조구로, 절식 환우구와 급이 환우구를 시험구로, 총 3처리구를 설정하였으며, 처리구당 3반복, 반복당 9수씩 81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환경 순치기 간으로서 환우 전 2주간 모든 공시계에게 동일한 산란 후기 사료(CP 15%, ME 2,700 kal)를 급여하였다. 환우 기간 중 급이 환우구 사료는 저단백질(CP 6.7%), 저에너지(ME 2,200 kal) 사료를 대조구와 동일한 양으로 급여하였다. 환우 기간은 급이 환우구 14일, 절식 환우구는 10일 동안 환우를 유도하였다. 산란율에서, 급이 환우구는 10일 동안 산란이 감소하다가 10일 후에 산란율이 0%가 되었으며, 절식구는 절식 $2{\sim}3$일째에 산란율이 0%가 되었다. 환우 기간이 끝난 후, 급이 환우구는 15일 후에 산란이 다시 시작되었으며, 비급이 환우구는 24일 후 산란이 다시 시작되었다. 계란 품질은, 환우 처리구에서 난중, 난각 두께, 난각 강도 및 하우 유니트가 개선되었으나(p<0.05), 난황색은 차이가 없었다(P>0.05).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환우를 유도 한 계란의 난각 조직은 환우 처리구의 난각 조직이 비환우구보다 치밀하였다. 환우가 끝난 후 간, 심장, 난포수란관의 무게를 비교한 결과 환우 처리구에서 무게가 크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급이 환우가 동물 복지의 관점에서 절식 환우를 대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금후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무염 사료의 급여가 유도환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Non-Salt Diet on the Induced Molting in Laying Hens)

  • 홍의철;나재천;유동조;김학규;정완태;이현정;김인호;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9-286
    • /
    • 2007
  • 본 시험은 동물복지의 관점에서 주정박과 무염 사료를 이용하여 급이 환우법을 실시하고, 절식에 의한 환우법과 환우 후 산란계의 생산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산란율 80% 이상, 평균 체중 $1.8{\pm}0.1kg$인 67주령 White Leghorn 108수를 이용하였다. 처리구는 환우처리 하지 않은 미환우구(대조구)로, 비급이 환우구(9일간 절식, 그 후 19일간 환우 사료)와 급이 환우구(주정박, 무염 사료)를 시험구로, 총 4처리구를 설정하였으며, 처리구당 3반복, 반복당 9수씩 108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환경 순치 기간으로서 환우 전 2주간 모든 공시계에게 동일한 산란 후기 사료(CP 15%, ME 2,700 kal)를 급여하였다. 환우 기간은 전처리구에서 28일 동안 환우를 유도하였다. 산란율에서, 환우 사료 급이구는 환우 처리 후 6일째부터 12일 동안 산란율이 감소하였으며, 12일 후에 산란율이 0%가 되었다. 무염 사료 급이구는 환우처리 후 5일째부터 10일 동안 산란율이 감소하였으며, 10일 후에 산란율이 0%가 되었다. 비급이 환우구는 절식 2일째부터 산란율이 급격히 감소하여 6일째에 0%가 되었다. 환우 시험 종료 후 산란 후기 사료를 다시 급여하였을 때, 환우 사료와 무염 사료 급이구는 급여 12일째 산란이 다시 시작되었으며, 비급이 환우구는 16일째 산란이 다시 시작되었다. 체중 변화를 보면, 급이 환우구에서는 환우 사료를 급여한 경우, 28일째 48.3%까지 체중의 감량이 있었으나, 무염사료는 21.4%의 체중 감량을 보였다. 비급이 환우구에서는 절식시킨 9일까지는 체중의 급격한 감소가 있었으나, 9일 이후 환우 사료를 급여하는 19일 동안에는 약간의 증체가 일어났다. 환우가 끝난 후 간, 심장, 난포수란관의 무게를 비교 한 결과, 환우처리구에서 무게가 크게 감소하였다(p<0.05). 계란 품질은 환우 처리구에서 난중, 난각 두께, 난각 강도 및 하우유니트가 개선되었으나(p<0.05), 난황색은 차이가 없었다(P>0.05).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환우를 유도한 계란의 난각 조직은 환우 처리구의 난각 조직이 비환우구보다 치밀하였다. 결론적으로, 급이 환우가 동물 복지의 관점에서 절식환우를 대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금후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산란계에 있어서 방란시간이 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viposition Time on Egg Qualities in Laying Hen)

  • 이춘지;정선부;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3-123
    • /
    • 1987
  • 본 연구는 백색레그흔 산란계에 있어서 초산후 일령의 1일중 방란시간의 경과가 란중, 란각질, 란형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6년 9월 1일부터 1987년 1월 6일까지 약 4개월간에 걸쳐 산란계 150수를 가지고 시험을 실시한 결과, 초산후 일령이 경과함에 따라 방란비율이 오전중에는 감소했고 오후에는 증가했다. 란중은 270일령까지는 증가속도가 빨랐으나 그 이후에는 둔화되었다. 란각두께는 일령이 경과함에 따라 얇아졌고 란각강도도 일령이 경과됨에 따라 저하되었으며 란형계수는 커졌다. 1일중 방란시간이 늦어짐에 따라 란중은 점차 가벼워졌으며 발란시간에 대한 란중의 회귀계수는 -0.6788--0.4170로 방란시간이 1시간 늦어짐에 따라 란중은 0.4170-0.6788g이 가벼워졌다. 란각두께는 방란시간이 1시간 늦어짐에 따라 0.00377-0.00643mm씩 두꺼워졌으며 란각강도는 방란시간이 1시간 늦어짐에 따라 0.0287-0.0349kg/$\textrm{cm}^2$씩 향상되었다. 그러나 란형계수는 방란시간과 서로 상호관계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Graded concentrations of digestible lysine on performance of White Leghorn laying hens fed sub-optimal levels of protein

  • Savaram, Venkata Rama Rao;Paul, Shyam Sundar;Mantina, Venkata Lakshmi Narasimha Raju;Devanaboyina, Nagalakshmi;Bhukya, Prakash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5호
    • /
    • pp.886-894
    • /
    • 2021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graded concentration of digestible lysine (dLys) on performance of layers fed diets containing sub-optimal level of protein. Methods: Five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graded concentrations of dLys (0.700%, 0.665%, 0.630%, 0.593%, and 0.563%), but similar levels of crude protein (15% CP), energy (10.25 MJ ME/kg) and other nutrients. A total of 3,520 hens (26 wk of age) with mean body weight of 1,215+12.65 g were randomly divided into 40 replicate groups of 88 birds in each and housed in an open sided colony cage house. Each diet was offered ad libitum to eight replicates from 27 to 74 wk of age. The performance was compiled at every 28 d and the data for each parameter were grouped into three phases, that is early laying phase (27 to 38 wk), mid laying phase (39 to 58 wk), and late laying phase (59 to 74 wk of age)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Egg production, egg mass and feed efficiency (feed required to produce an eg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dLys level during the early and mid laying phases but not during the late phase. Whereas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dLys concentration during mid and late laying phases but not during early laying phase. The egg weight was not affected by dLys concentration in any of the three phases. Conclusion: Based on best fitted statistical models, dietary requirements of dLys worked out to be 0.685%, 0.640%, and 0.586% during early phase, mid phase, and late egg laying phase, respectively. The calculated requirement of dLys for the respective production phases are 727 mg/b/d during the early and mid laying phases and 684 mg/b/d during the late laying phase in diets containing 15% CP.

Eggs and Cholesterol Controversy

  • Sim, Jeong-S.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06-312
    • /
    • 1986
  • Demonstration of the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lood cholestrol levels and heart disease has made consumers wary of the fats in meat, milk and eggs. The egg, as perhaps the single largest common source of cholesterol, has been cited by many members of the medical and scientific world as a food contributing to heart disease. In light of decreasing per capita egg consumption and continuing dietary egg cholesterol controversy,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their efforts on egg nutrition. The results reported, however, are often contradictory. In spite of the disputable scientific evidence, the egg has been labelled (erroneously) as a highly cholesterogenic food. The objective of this presentation is to present a general picture of the problem and discuss our laboratory findings relevant to the problem. An isotope technique was utilized to incorporate $^{14}C$-cholesterol into egg yolk lipoproteins and study the metabolic fate of dietary ovo-cholesterol in rats. Two hundred and fifty micro-curies of 4-$^{14}C$-cholesterol, emulsified in corn oil, were orally administered to five Single Comb White Leghorn laying hens. Eggs were collected, hard-boiled, and the hot dried egg yolk powder (HEY) was prepared. Total radioactivity excreted via feces was determined. The rat groups fed egg yolk powder excreted more than 95% of the ingested ovo-cholesterol, whereas the rat chow group excreted only 47%.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HEY and CEY treatments. Therefore, an unknown lipid factor present in egg folk accelerates cholesterol turnover rate and excretion via fe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