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Leghorn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9초

닭에 있어서 산란일령에 따른 성비의 변화에 관한 연구 (Survey on the Change of Sex Ratio with the Age of Pullets in Chicken)

  • 홍기창;정선부;이근상;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3-51
    • /
    • 1980
  • 본 연구는 산란계에 있어 일령에 따른 수정율 및 부화율의 변화상을 조사하여 실용적인 중란생산기간을 구명함과 동시에 성비가 조절된 품종을 육성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령에 따른 성비의 변화 및 성비와 경제형질간의 상관관계를 추정하고자 실시하였으며 백색레그혼 순종 248수의 165-262일 령까지의 7회 부화성적과 500일령까지의 주요경제형질에 대한 성적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정율 90%이상을 얻을 수 있는 실용적인 중란생산 기간은 7개월령이후가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2) 성비 40%이하군이 성비 60%이상군보다 수정율 및 부화율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3) 성비 60%이상군이 성비 40%이하군보다 일영에 따른 성비의 변이폭이 컸다. 4) 체중과 란중에 있어서는 성비 60%이상군이 산란지수에 있어서는 성비 40%이하군이 좋은 성적을 나타냈다. 5) 성비 60%이상군에서 성비와 산란지수간에 빈의 상관이었으나 성비 40%이하군에서는 정상관이었다.

  • PDF

Graded concentrations of digestible lysine on performance of White Leghorn laying hens fed sub-optimal levels of protein

  • Savaram, Venkata Rama Rao;Paul, Shyam Sundar;Mantina, Venkata Lakshmi Narasimha Raju;Devanaboyina, Nagalakshmi;Bhukya, Prakash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5호
    • /
    • pp.886-894
    • /
    • 2021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graded concentration of digestible lysine (dLys) on performance of layers fed diets containing sub-optimal level of protein. Methods: Five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graded concentrations of dLys (0.700%, 0.665%, 0.630%, 0.593%, and 0.563%), but similar levels of crude protein (15% CP), energy (10.25 MJ ME/kg) and other nutrients. A total of 3,520 hens (26 wk of age) with mean body weight of 1,215+12.65 g were randomly divided into 40 replicate groups of 88 birds in each and housed in an open sided colony cage house. Each diet was offered ad libitum to eight replicates from 27 to 74 wk of age. The performance was compiled at every 28 d and the data for each parameter were grouped into three phases, that is early laying phase (27 to 38 wk), mid laying phase (39 to 58 wk), and late laying phase (59 to 74 wk of age)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Egg production, egg mass and feed efficiency (feed required to produce an eg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dLys level during the early and mid laying phases but not during the late phase. Whereas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dLys concentration during mid and late laying phases but not during early laying phase. The egg weight was not affected by dLys concentration in any of the three phases. Conclusion: Based on best fitted statistical models, dietary requirements of dLys worked out to be 0.685%, 0.640%, and 0.586% during early phase, mid phase, and late egg laying phase, respectively. The calculated requirement of dLys for the respective production phases are 727 mg/b/d during the early and mid laying phases and 684 mg/b/d during the late laying phase in diets containing 15% CP.

Genetic architecture and candidate genes detected for chicken internal organ weight with a 600 K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rray

  • Dou, Taocun;Shen, Manman;Ma, Meng;Qu, Liang;Li, Yongfeng;Hu, Yuping;Lu, Jian;Guo, Jun;Wang, Xingguo;Wang, Kehu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3호
    • /
    • pp.341-349
    • /
    • 2019
  • Objective: Internal organs indirectly affect economic performance and well-being of animals. Study of internal organs during later layer period will allow full utilization of layer hens. Hence, we conducted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to identify potential quantitative trait loci or genes that potentially contribute to internal organ weight. Methods: A total of 1,512 chickens originating from White Leghorn and Dongxiang Blue-Shelled chickens were genotyped using high-density Affymetrix 600 K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array. We conducted a GWAS, linkage disequilibrium analysis, and heritability estimated based on SNP information by using GEMMA, Haploview and GCTA software. Results: Our results displayed that internal organ weights show moderate to high (0.283 to 0.640) heritability. Variance partitioned across chromosomes and chromosome lengths had a linear relationship for liver weight and gizzard weight ($R^2=0.493$, 0.753). A total of 23 highly significant SNPs that associated with all internal organ weights were mainly located on Gallus gallus autosome (GGA) 1 and GGA4. Six SNPs on GGA2 affected heart weight. After the final analysis, five top SNPs were in or near genes 5-Hydroxytryptamine receptor 2A, general transcription factor IIF polypeptide 2, WD repeat and FYVE domain containing 2, non-SMC condensin I complex subunit G, and sonic hedgehog, which were considered as candidate genes having a pervasive role in internal organ weights. Conclusion: Our findings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genetic architecture of internal organs and are beneficial in the selection of chickens.

Molecular analysis of chicken interferon-alpha inducible protein 6 gene and transcriptional regulation

  • Jeong-Woong Park;Marc Ndimukaga;Jaerung So;Sujung Kim;Anh Duc Truong;Ha Thi Thanh Tran;Hoang Vu Dang;Ki-Duk S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1호
    • /
    • pp.183-196
    • /
    • 2023
  • Interferon-alpha inducible protein 6 (IFI6) is an interferon-stimulated gene (ISG), belonging to the FAM14 family of proteins and is localized in the mitochondrial membrane, where it plays a role in apoptosis.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is gene is poorly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inflammation by intracellular nucleic acid-sensing receptors and pathological conditions caused by viral infection. In this study, chicken IFI6 (chIFI6) was identified and studied for its molecular features and transcriptional regulation in chicken cells and tissues, i.e., lungs, spleens, and tracheas from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virus (HPAIV)-infected chickens. The chIFI6-coding sequences contained 1638 nucleotides encoding 107 amino acids in three exons, whereas the duck IFI6-coding sequences contained 495 nucleotides encoding 107 amino acids. IFI6 proteins from chickens, ducks, and quail contain an IF6/IF27-like superfamily domain. Expression of chIFI6 was higher in HPAIV-infected White Leghorn chicken lungs, spleens, and tracheas than in mock-infected controls. TLR3 signals regulate the transcription of chIFI6 in chicken DF-1 cells via the NF-κB and JNK signaling pathways, indicating that multiple signaling pathways differentially contribute to the transcription of chIFI6.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ravel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IFI6 transcription, as well as the involvement of chIFI6 in the pathogenesis of HPAIV in chicken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for the free amino acid and nucleotide components of breast meat in an F2 crossbred chicken population

  • Minjun Kim;Eunjin Cho;Jean Pierre Munyaneza;Thisarani Kalhari Ediriweera;Jihye Cha;Daehyeok Jin;Sunghyun Cho;Jun Heon Le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1호
    • /
    • pp.57-68
    • /
    • 2023
  • Flavor is an important sensory trait of chicken meat. The free amino acid (FAA) and nucleotide (NT) components of meat are major factors affecting meat flavor during the cooking process. As a genetic approach to improve meat flavor, we performed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to identify the potential candidate genes related to the FAA and NT components of chicken breast meat. Measurements of FAA and NT components were recorded at the age of 10 weeks from 764 and 767 birds, respectively, using a White leghorn and Yeonsan ogye crossbred F2 chicken population. For genotyping, we used 60K Illumina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SNP) chips. We found a total of nine significant SNPs for five FAA traits (arginine, glycine, lysine, threonine content, and the essential FAAs and one NT trait (inosine content), and six significant genomic regions were identified, including three regions shared among the essential FAAs, arginine, and inosine content traits. A list of potential candidate genes in significant genomic regions was detected, including the KCNRG, KCNIP4, HOXA3, THSD7B, and MMUT genes. The essential FAAs had significant gene regions the same as arginine. The genes related to arginine content were involved in nitric oxide metabolism, while the inosine content was possibly affected by insulin activity. Moreover, the threonine content could be related to methylmalonyl-CoA mutase. The genes and SNPs identified in this study might be useful markers in chicken selection and breeding for chicken meat flavor.

鷄胎賢의 Alkaline Phosphatase, PAS-陽性物質 및 燐脂質의 分布에 관하여 (Distribution of Alkaline Phosphatase, PAS-Positive Materials and Phospholipid in the Kidney of the Developing Chick)

  • 하재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7-84
    • /
    • 1969
  • 著者는 白色레그혼의 種卵을 孵化시켜 얻은 鷄胎中 賢과 後賢에 있어서의 alk. p., PAS-陽性物質 및 燐脂質의 消長과 局在位置의 變異를 組織化學的 方法으로 追究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分泌尿細管의 器官形成에 앞서 未分化 間葉組織內에 强한 alk. p. 活性이 出現하였으며 同活性은 分泌尿細管의 分化와 함께 消失하였다. 2. 中賢 및 後賢 分泌尿細管의 分化와 함께 alk. p. 및 PAS-陽性物質은 分泌尿細管의 刷子綠에 强陽性反應을 보였다. 3. 中賢 및 後賢 分泌尿細管의 細胞質과 刷子綠은 强한 燐脂質 陽性反應을 띠었다. 4. 造賢組織의 分化中 未分化 間葉組織에 alk. p. 活性이 出現하였다가 組織의 分化와 함께 消失된 事實에서 보아 alk. p. 는 組織分化에 關與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5. 中賢 및 後賢 分泌尿細管의 刷子  에 있어서 alk. p. 와 PAS-陽性物質 및 燐脂質의 變異와 分布狀態가 一致한 것으로 보아 alk. p. 는 炭水化物의 再吸收 및 燐脂質代謝에 關與하는 것으로 思料된다.

  • PDF

산란계의 유도 환우가 주요 장기와 혈액 성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duced Molting on Changes of Visceral Organs and Blood Stress Indicators in Laying Hens)

  • 홍의철;박희두;강근호;나재천;유동조;김학규;최양호;배해득;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7-123
    • /
    • 2009
  • 본 시험은 유도 환우 방법이 산란계의 주요 장기와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산란율 85% 이상, 평균체중 $1.7{\pm}0.4\;kg$인 61주령 White Leghorn 150수를 이용하였다. 시험구는 크게 환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Control), 급이 환우법(FM, feeding molt) 및 절식 환우법(SM, starving molt)의 3처리구로 나누고,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0수씩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심장의 무게는 대조구, FM구 및 SM구에서 각각 8.2, 7.9 및 7.5 g으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과 난포수란관의 무게는 모든 환우 처리구(급이, 절식)에서 대조구에 비해 무게가 감소하였으며(P<0.05), 난포수란관의 무게는 SM구가 FM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대조구, 급이 환우구 및 절식 환우구에서 환우 2주전 CS는 각각 4.48, 4.66 및 $4.47\;{\mu}/mLg$이었으나, 1주 전에는 각각 7.32, 7.71 및 $7.11\;{\mu}/mLg$로 증가하였으며, 환우 1주후에는 절식구에서 $10.3\;{\mu}/mLg$로 가장 높았다. 절식과 급이로 환우시킨 산란계의 H : L 비율 변화에서, 환우 2주 전에는 0.27~0.29이지만, 1주 전에는 0.97~1.03으로 증가하였다. 환우 1주 후에는 절식 환우구에서 0.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로 점차 감소되었으며, 급이 환우구에서는 환우 기간 동안 0.45~0.54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이로 환우를 유도시킨 경우에는 절식 환우 시킨 산란계에 비해 스트레스가 적다는 것을 제시한다.

유도 환우 방법에 따른 산란계의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Performance of Laying Hens in Molting Methods)

  • 홍의철;나재천;김학규;박희두;최양호;강근호;서옥석;최희철;노환국;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91-398
    • /
    • 2009
  • 본 시험은 4가지의 유도환우 방법을 이용한 환우 후의 산란계의 생산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산란율 80% 이상, 평균 체중 $16{\pm}0.3\;kg$의 62주령 White Leghorn 120수를 공시하였다. 4가지 환우 방법은 ; 1) 환우 시험 개시 후 10일째까지 절식, $11{\sim}13$일째 제한 급이, 14일째부터 고에너지 사료 자유 급이 (FW1), 2) 저에너지 사료 자유 급이 (FW2), 3) 환우용 사료를 26일째까지 일일 수당 60 g, 27일째부터 28일째까지 일일 수당 90 g씩 제한 급이(NFW1), 4) 환우용 사료 자유 급이. 처리구는 4종류의 환우 방법에 대조구를 포함하여 총 5처리구를 설정하였으며, 처리구당 2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FW1과 FW2 처리구는 환우 처리 후 $3{\sim}4$일째에 산란이 완전정지하였으며, NFW1과 NFW2 처리구는 $16{\sim}18$일째에 산란의 거의 정지하였다. 산란율의 회복은 NFW2구가 28일, NFW1구가 30일부터 재 산란이 시작되고, 각각 38일과 41일째에 산란이 50%에 이르렀으며, 54일, 62일째에 각각 산란율 80% 이상을 유지하였다. 이것과 비교하여 환우 처리 후, 저에너지 사료 급이구 FW1와 고에너지 사료 급이구 FW2구는 산란율의 회복이 FW1구가 28일, FW2구가 26일부터 재 산란이 시작되고, 각각 47일과 41일째에 산란율이 50%에 이르렀으며, 70일, 64일째에 각각 산란율 80% 이상을 유지하였다. 환우 14일째간의 무게는 27.6과 32.2 g, 난포수란관의 무게는 22.0과 24.9 g으로 환우처리구에서 무게가 크게 감소하였다(P<0.05). 환우 후 계란 품질은 환우 처리구에서 난중, 난각 두께, 난각 강도 및 하우유니트가 개선되었으나(P<0.05), 난황색은 차이가 없었다(P>0.05).

밀기울 위주의 환우용 사료가 산란계의 환우 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Induced Molting with Wheat Bran on the Postmolt Performance of Laying Hens)

  • 황보종;홍의철;강보석;김학규;허강녕;추효준;나재천;최양호;김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5-211
    • /
    • 2011
  • 본 시험은 밀기울 위주의 환우용 사료로 유도환우한 경우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계는 65주령 White Leghorn 산란계 200수를 이용하였다. 처리구는 환우를 하지 않는 비환우 대조구(CO), 절식 환우구(FW), 기존 환우 사료 급이구(UM), 옥수수-밀기울 위주의 환우 사료 급이구(CW), 밀기울 위주의 환우 사료 급이구(WM)의 총 5처리구,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환우 개시 전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섭취량이 유사하였으나(P>0.05), 1주째 환우용 사료 급이구에서는 섭취량이 감소하였으나(P<0.05), 3주째 이후로는 모든 처리구에서 사료 섭취량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FW구의 시험계들은 1주째 1,337 g으로 초기 체중에서 18.6%의 체중 손실이 있었으며, UM, CW, WM구에서는 체중 손실이 11.4, 14.2, 17.4%로 나타났다(P<0.05). 1주령에 환우 처리구에서 산란율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FW구에서는 1주째, UM, CW, WM구에서는 2주째에 산란이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FW구에서는 2주째에 산란이 정지되었다. 산란 회복 기간을 보면 FW구는 3주째 산란이 재개되었으며, UM, CW, WM구에서는 4주째 이후로 산란이 회복되었다. 난질(난각 두께, 난각 강도, 호우유니트)은 8주째 환우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결과적으로, 밀기울 위주의 환우용 사료는 체중 감소에 효과적이었으며, 난각 강도, 난각 두께 및 Haugh Unit가 크게 향상됨을 보여 주었다.

한국 재래 산란계와 도입종 산란계의 육성 초기 성장 능력 비교 연구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between Korean Native Layer Chickens and Imported Layer Chickens at Early Rearing Stage)

  • 김영신;김재환;서상원;김현;변미정;김명직;김지성;이지웅;최성복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83-290
    • /
    • 2012
  • 본 시험은 한국 재래계와 도입종 산란계의 육성 초기 성장능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계는 유전자원 관리기관에서 종란을 인수하여 부화시킨 암수 병아리 276 수를 이용하였으며, 한국 재래계 2 계통(A, B)과 도입종 산란계 3 계통(C, D, E)으로 총 5 계통의 수정률, 부화율, 육성단계별 체중, 증체량, 사료 요구율 등을 조사하였다. 수정률은 A, B, C, D 및 E계통에서 각각 93.88%, 81.75%, 82.25%, 79.25% 및 71.50% 이었고, 부화율은 5계통에서 각각 95.65%, 86.24%, 88.15%, 90.85% 및 88.11%로 나타났다. 육성률은 0~10 주령에서 A와 E계통에서는 98%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D 계통은 86.67%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A계통은 육성단계별 체중에서 2주령부터 10주령까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전체 기간 동안에 가장 높은 증체량을 보였다(p<0.05). 정강이 길이는 D계통이 0주령에는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2주령부터 점차 증가하여 10주령에서는 $56.69{\pm}3.27mm$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A계통의 증체량과 정강이 길이 사이의 표현형 상관관계는 0~2주, 2~4주, 4~6주, 6~8주 및 8~10주령에서 각각 0.63, 0.70, 0.55, 0.50 및 0.46으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 기간의 표현형 상관관계도 0.85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D계통의 증체량과 정강이 길이 사이의 표현형 상관관계도 0~2주, 2~4주, 4~6주, 6~8주 및 8~10주령에서 각각 0.73, 0.55, 0.54, 0.24 및 0.29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 기간의 표현형 상관관계도 0.78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국 재래계의 종자 산업화를 위하여 육성 후기의 능력 및 산란율 등을 추가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