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Function Assessment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기준습지 토양특성을 활용한 인공습지의 토양발달 평가 (Assessment of the Wetland Soil Development in Constructed Wetlands using the Soil Properties of a Reference Wetland)

  • 이자연;강대석;성기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4
    • /
    • 2010
  • 인공습지 토양의 변화 특성을 인공습지의 성공 여부와 습지의 기능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지 알아보고자 인공습지 조성 후 토양의 변화를 기준습지 토양의 변화특성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습지로 자연습지 1곳과 오염물질 유입 특성이 다른 인공습지 2곳(처리습지, 실험습지)을 선정하여 주요 토양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습지토양의 침수조건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변화 및 유기물 축적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토성, 함수율, pH, CEC 및 유기물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습지의 영양물질의 축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총질소와 유효인산의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토성의 경우 전체적으로 자연습지에서는 점토의 함량이, 인공습지에서는 모래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연습지와 인공습지의 토성은 큰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공습지 토양의 실트와 점토 함량이 점차 증가하였다. 함수율과 유기물함량의 경우 여름철과 가을철 모두 자연습지가 인공습지보다 높았다. 토양의 pH는 자연습지가 인공습지에 비하여 낮았으며, 인공습지의 경우에도 습지 조성 후 중성으로 변화하였다가 다시 pH가 낮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CEC, 총질소, 유효인산의 농도는 외부의 유기물질이나 오염물질 유입과 관련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오랜 기간 동안 영양물질을 보유한 자연습지에서 인공습지보다 모든 항목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습지의 경우 조성과정에서 오염도가 높은 표토와 낮은 심토가 섞여 유기물과 영양물질의 농도가 감소하였는데, 습지 조성과정에서 나타나는 토양 특성변화도 습지의 생지화학적 기능이나 습지 토양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 연구는 인공습지 토양의 물리적 특성변화와 유기물 및 영양물질 보유량 변화 등과 같은 습지토양의 발달특성을 활용하여 인공습지 조성의 성공 여부나 인공습지의 기능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위하여 자연습지와 같은 기준습지의 역할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금산군 생활권 마을습지 기능평가 및 현명한 이용 전략 연구 (A Study on Wise Use and Function Assessments of the Geumsan-gun Village Wetlands)

  • 박미옥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5-24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the functional assessment and a wise use strategy on the ecologically valuable 'village wetlands' distributed in living area in Geumsan gun, Chungnam province, Korea. The targets of the functional evaluation were 24 wetlands, selected from 123 village wetlands, where villages and agricultural lands or core ecosystems are located within living area near the wetland and wetlands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The functional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RAM (Rapid Assessment Model) and the conserva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As a result of the functional evaluation, 9 wetlands were rated 'high' (2 'absolute conservation' and 7 'conservation' strategies), 14 wetlands were rated 'medium' ('enhancement' strategies), and one wetland was rated 'low' ('restore or enhancement' strategy).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of the functional evaluation, interviews with village residents, and historic meaning, 6 important village wetlands were selected that require additional management strategies, such as conservation, enhancement, and restoration. 2 wetlands were from "absolute conservation" strategy and 4 wetlands derived from "conservation" and "enhancement" strategy wetlands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connectivity of wetlands, the use of surrounding land, and the function as a biological habitat. The wise use and conservation strategy was specifically proposed respectively.

modified RAM의 기능별 가중치 부여를 통한 농촌지역 연못형습지의 보전가치 평가 (The assessment of conservation value for agricultural pond wetland using the weighted function of modified RAM)

  • 손진관;김미희;이시영;강동현;강방훈
    • 농촌계획
    • /
    • 제20권4호
    • /
    • pp.13-24
    • /
    • 2014
  • The pond wetlands in agricultural landscape are important natural resources that carry out the function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However, recently, those have been gradually embedded as their utility value were disappeared. And, the assessment methods used for pond wetland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nservation value of pond wetlands by using the modified RAM, and present the improvement of assesment methods. The study sites, a total of 32 pond of 4 types by land use,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Ramsar Conven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ent studies, the weighted 8 functions were adjusted. According to the assessment results, pond wetlands made the largest contribution to Fishery and Herpetile Habitat function. In addition, it also made large contribution to Floral Diversity, Wildlife Habitat, and Water Quality Protection function. On the other hand, it made a small contribution to Aesthetics and Recreation, Runoff Attenuation, Shoreline /Stream Bank Protection, and Flood/Storm Water Storage func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mall-scale pond wetlands. In the assessment of 8 functions, house type showed the worst assessment result, and mountain type showed the best assessment result. It is thought that those are due to land use type in terms of vicinity. 10 items among 52 of the modified RAM showed the same assessment results in all land use types.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be deleted and modified the assessment method. On the other hand, it is required to add age, interference, and water use to the assessment method. It is thought that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of assessment methods focused on pond wetlands in rural area.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Assessment of Soil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in Soils of New born River Mouth Wetlands

  • Chen, Weifeng;Ann, Seoung-Won;Shi, Yanxi ;Mi, Qinhua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117
    • /
    • 2003
  • This paper investigates preliminarily spatial distribution soil organic matter (SOM), nitrogen (N) and phosphorus (P) and its environmental influence in wetland soil of different vegetation landscape in the Yellow River Mouth. The result shows the SOM and total nitrogen (TN), efficient N, efficient P in top layer soils of different vegetation district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content, The SOM is shown as Calamagrostis epigeios wetlands > Phragmites cmmunis wetlands > Tamarix chinensi wetlands above tidal > Suaeda salsa wetlands in high tidal > Tamarix chinensi wetlands in high tidal > tidal flats, the arrange of the TN and efficient N content is the same except that the content in Suaeda salsa wetlands in high tidal is heavier than Tamarix chinensi wetlands in high tidal. In different vegetation landscape wetland types the vertical change of soil nutrients are obvious except for p, gradually decrease from the upper to the lower. This case reflects the function of the vegetation on the wetland development of soil and proves the wetland soil has the characteristic of new born and bad degree of development. SOM, TN, efficient N and efficient P content in wetland soils hav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ut TP have no correlation with them but efficient p. The contents of TN in wetland soils range from 58~1480 mg/kg, total average content 408 mg/kg, average content of above 30 cm is 625 mg/kg. The range of TP content in the soil is 372~1042 mg/kg, total average is 569 mg/kg, average content of above 20 cm is 611 mg/kg. According the P it occurs mainly as calcium phosphates, and the validity is lower, therefore, N and P in the new born wetlands cannot produce serious impact on the environments at present.

유기농 벼-담수어 복합영농의 습지기능평가 및 전문가 조사 (Wetland Function Evaluation and Expert Assessment of Organic Rice-Fish Mixed Farming System)

  • 남홍식;박광래;안난희;이상민;조정래;김봉래;임종악;이창원;최선우;김창현;공민재;손진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1-172
    • /
    • 2018
  • 우리나라 농업 농촌은 경영 개선을 위해 유기농 쌀 생산과 더불어 담수어를 생산하는 복합영농이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복합영농이 환경, 생태적 기능에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전문가 평가와 습지평가체계(RAM)를 분석하였다. 전문가 조사 결과 양서파충류 서식처(2.39), 수서곤충 서식처(2.36), 어류 서식처(2.34), 식생다양성(2.13), 조류 서식처(2.05) 등 생물다양성 분야와 체험/생태교육(2.29) 기능이 1순위로 구분되었다. Modified RAM를 통해 관행논과 복합논의 습지기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복합논이 대부분의 평가기능 항목에서 기능이 향상 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전가치 판단기준은 관행논 향상에서 복합논 보전으로 가치가 향상 되었다. 연구결과 복합영농은 관행논에 비해 습지 기능이 탁월하게 개선되는 것을 평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논은 국가 생물다양성 유지에 지대한 역할을 수행하며, 기후조절, 탄소저감 등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복합영농 실현은 논의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기능을 증진시켜 줄 뿐 아니라 물고기 생산이라는 부가가치를 통한 농가의 소득증대와 그로 인한 체험, 전통계승 등의 사회적 기능 증진에도 유용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습지기능평가가 높게 개선된 항목과 전문가들로부터 높은 개선이 예상된 항목을 실재 운영 시 정량 평가 및 조사하여 생산되는 물고기과 쌀의 친환경 이미지를 제고시키고 브랜드, 음식, 체험, 논농업 직불제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하도록 연구를 추가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경관 내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능 설정 연구 (The Functional Selection for the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 at Pond Wetland in Agricultural Landscape)

  • 손진관;신민지;신지훈;강동현;강방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9-325
    • /
    • 2014
  • 연못형습지(Pond Wetland)는 우리나라 농업경관에서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연못형습지는 생물다양성을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연못형습지(Pond Wetland)에 대한 연구는 유형분류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 기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총 3단계로 기능분석, 기능도출, 중요도 분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총 22가지의 기능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설문 결과 22개 항목 중 생물, 환경, 사회문화 분야에 각 4 기능씩 총 12개 기능으로 선별하였다. 항목간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실시하여 기능별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중복된 기능은 통합하여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기능 10가지(1. Water Storage & Irrigation, 2. Vegetation Diversity, 3. Amphibian & Reptile Habitat, 4. Water Purification, 5. Aquatic Insect Habitat, 6. Nutriments Control, 7. Groundwater Recharge, 8. Fishery Habitat, 9. Eco-Experience & Education, 10. Aesthetic landscape)를 도출하였다. 향후 기능별 중요도 분석과 경제적 가치 지표를 적용하여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유역의 비점원 오염 수질관리를 위한 인공습지 설계모형 (Design Model of Constructed Wetland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Rural Watersheds)

  • 최인욱;권순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96-105
    • /
    • 2002
  • As an useful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rural watersheds, interests in constructed wetlands are growing at home and abroad. It is well known that constructed wetlands are easily installed, no special managemental needs, and more flexible at fluctuating influent loads. They have a capacity for purification against nutrient materials such as phosphorus and nitrogen causing eutrophication of lentic water bodies. The Constructed Wetland Design Model (CWD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consisted mainly of Database System, Runoff-discharge Prediction Submodel, Water Quality Prediction Submodel, and Area Assessment Submodel. The Database System includes data of watershed, discharge, water quality, pollution source, and design factors for the constructed wetland. It supplies data when predicting water quality and calculating the required areas of constructed wetlands. For the assessment of design flow, the GWLF (Generalized Watershed Loading Function) is used, and for water quality prediction in streams estimating influent pollutant load, Water Quality Prediction Submodel, that is a submodel of DSS-WQMRA model developed by previous works is amended. The calculation of the required areas of constructed wetlands is achieved using effluent target concentrations and area calculation equations that developed from the monitoring results in the United States. The CWDM is applied to Bokha watershed to appraise its application by assessing design flow and predicting water quality. Its appl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wo calculations: one is to achieve each target effluent concentrations of BOD, SS, T-N and T-P, the other is to achieve overall target effluent concentrations.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model, a comparison of unit removal rates between the calculated one from this study and the monitoring result from existing wetlands in Korea, Japan and United States was made. As a result, the CWDM could be very useful design tool for the constructed wetland in rural watersheds and for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딥러닝을 활용한 산지습지 수위 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Water Level Prediction Models Using Deep Neural Network in Mountain Wetlands)

  • 김동현;김정욱;곽재원;아이미;김종성;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6-112
    • /
    • 2020
  • 습지는 수문, 환경,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기능 및 역할을 하며, 특히 습지 내의 수위는 습지의 기능과 환경 등 다양한 분석을 위해 필수적인 자료이다. 그러나 습지는 수위자료를 측정하지 않는 미계측 지역이 많기 때문에, 수위 예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습지의 수위를 예측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주성분회귀분석, 인공신경망, DNN을 활용하여 수위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대상지역으로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금정산 산지습지를 선정하였고, 2017년 4월부터 2018년 7월까지의 수위 측정자료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수문자료와 기상자료를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예측력 평가결과 최종 모형으로 선정된 DNN을 활용한 수위 예측모형의 예측력 평가결과 RMSE는 6.359, NRMSE는 18.91%로 비교적 산지습지의 수위를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기존의 미비하였던 미계측 지점의 수위를 활용한 습지유지 및 관리 기법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갯벌의 기능과 가치에 대한 환경학적 고찰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on the function and value of tidal wetland)

  • 박창희;이상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13권2호
    • /
    • pp.87-101
    • /
    • 2004
  •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새만금간척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서를 최초 작성할 당시는 갯벌의 가치를 사업의 편익에 포함시키지 않았으나, 이후 환경단체에서는 새롭게 부각된 갯벌의 기능과 가치를 포함시켜 경제성 분석을 다시 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자료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갯벌과 논의 가치 비교와 새만금사업의 경제성 분석을 검토하였다. 갯벌의 가치에 대하여 금전적인 평가를 한다는 것은 주관적인 요소가 개입하게 되므로 여전히 학자 간에도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며 경제성 분석에 포함할 항목에 대해서도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서 일반인에게는 매우 혼란스럽기만 한다. 새만금사업환경영향공동조사단의 공동조사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갯벌의 정화능력 실험과 설문조사를 통한 갯벌의 가치 평가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연구자가 검토한 결과 새만금사업 편익 총액의 51%를 차지하는 국토확장효과가 과대하게 평가되고 농산물 증산액과 논의 공익가치 역시 과대하게 평가되어 경제성 평가를 왜곡시켰다고 판단된다. 갯벌의 기능과 가치에 대한 평가는 앞으로 객관적인 연구결과에 의존해야 하며 환경학계의 검증을 거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산지형 체험테마공원 조성을 위한 환경생태계획 및 훼손저감 기법 연구 (Ecological Planning and Mitigation of Deterioration Technique for Plan of Mountainous Experience Theme Park)

  • 이수동;강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42-163
    • /
    • 2009
  • Taebaek city is located in the mountainous plateau area therefore the major industry was coal industry. According to dramatically declining of the major industry, Taebaek city is need to alternative industry which associated with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tourism resources for increasing the local economy. On the basis of these reasons, this study can be suggested ecological planning and mitigation of deterioration technique about the these study site. That is the reserved area for mountainous experience theme park. As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ecology assessment are following as; The natural ecosystem areas, multi-layer structure forest such as forest of Pinus densiflora, forest of Quercus mongolica and deciduous forest have a high value of nature, diversity and potential. In addition, wild bird habitats were important area as a inhabitation, breeding, feeding and hiding. Therefore, on these areas should be preserved. Also, it needs to conserve on there such as more than three types of wild bird inhabitate areas, the fringe of high biological diversity, the wetland that have got good vegetation condition and the function of amphibia, reptiles crossing. In addition, inhabitation, the waterway of wetland form that have got wide waterside width needs to conserve. In conclusion,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s such as conditions of plan, environment, ecological assessments, survey informations are able to suggest the connectivity of the axis of forest and management plan. Moreover, in the part of forest restoration plan, we suggest the plan of transplant for a compensation of damaged forest by land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