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ellbeing Life

Search Result 18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뇌졸중 노인을 돌보는 주 가족간호자의 안녕감 예측 요인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of the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in Elderly with Stroke)

  • 박연환;유수정;김신미;이윤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73-380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wellbeing of the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a strok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9 elderly treated in four oriental hospitals in Korea, and their primary family caregivers. The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sand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003 to April, 2004.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 of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was 60.6412.63. The factors related to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were sex, age, education, depression, illness severity, ADL, paralysis, and speech disability in elderly characteristics. Among family caregivers characteristics, education, relation, and burd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In situational variables, family income and the prev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and family caregivers were related to wellbe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wellbeing was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A combination of the depression of elderly and age of family caregivers accounted for 50.3% of the variance of wellbeing. Conclusions: On developing the nursing intervention for improving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many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caregiver burden, and elderly depression.

고혈압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on Patients)

  • 엄애용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136-142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with hypertension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9 hypertensive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st to April 30th, 2008.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exercise barrier,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PWI), EuroQol 5D (EQ-5D) was giv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 which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barrier (t=3.57, p=.000), psychosocial wellbeing (F=29.96, p=.000) and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the identified significant factors were an exercise barrier (F=7.09, p=.000) and psychosocial wellbeing (F=21.5, p=.000) with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Conclusion: Hypertension patients experienced exercise barrier and psychosocial distress which led to a negative effect on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is needed to encourage motivation of lasting of exercise compliance and relieving of psychosocial distress for better health promotion and high quality of life.

  • PDF

간호대학생의 영성이 영적 안녕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of Spirituality affecting on Spiritual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 이도영;박진경;최애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59-6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영성이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1학년 148명을 대상으로 2014년 10월부터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8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 분석하였다. 영성과 영적 안녕의 하위 영역 간의 상관관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종교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에는 종교유무, 매일 기도하기와 영성의 내적자원으로 65.1%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실존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는 삶의 의미, 내적 자원으로 59.3%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영적 안녕 향상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생활체육 참여활동이 여가만족과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on Leisur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 문태영;허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984-3993
    • /
    • 2011
  •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활동이 여가만족과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동호인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여가만족과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현재 강원도에서 생활체육 참여활동을 하고 있는 성인 남녀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11년 3월 12일부터 4월 9일까지 편의추출법에 의한 총 200명을 표집 하여 SPSS/PC+ 11.0 Version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참여 활동은 여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체육 참여 활동이 높을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만족은 심리적 웰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만족은 주관적 웰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하는 동호인의 여가만족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활체육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서 활동참여를 지속적으로 권장해야 할 것이며,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다양한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모든 사람들이 생활체육을 통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쳐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가활동 참여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A Effect of Leisure Participating older adults Leisure Satisfaction as a Leisure Participa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 손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536-548
    • /
    • 2017
  • 본 연구는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노인복지관 5곳에 만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확인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만족은 성별과 학력, 여가유형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은 성별과 연령, 학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여가만족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의 만족도는 심리적 안녕감과 삶의 질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 하였다.

한부모가족 사회적 자원의 삶의 질에 대한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Social Family Resources on the Well being of Single-Parent Households in Korea)

  • 서지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1호
    • /
    • pp.103-124
    • /
    • 2013
  • To improve family well-being of single-parents, the utilization of familial social resources-including formal supports, informal supports, and social capital-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mily resource management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vels of familial social resources of single-parent households with those of two-parent household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ree factors, specifically poverty, family types by gender and age of parent, and householders' employment. In addition, the determinants of single-parent households' wellbeing were analyzed from two perspectives: economic wellbeing and psychological life satisfaction. Data from the 5th wave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ingle-parent households utilized their familial social resources more actively than their counterparts, especially in terms of the formal support of child care. Second, single parent households utilized their familial social resources differently in relation to poverty, family types, and parents' employment. Third,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wellbeing and psychological life satisfact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ypes of familial social resources.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economic wellbeing of baby boomers were provided.

  • PDF

임상실습을 경험한 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생사관과 영적안녕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ison Study on Views of Life and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of Medical and Non-Medical University Students)

  • 박소영;김태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501-510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이하 의과대학생으로 표기)과 일반대학생의 생사관과 영적안녕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 그 상관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H대학교 의과대학생 95명과 A대학교 일반대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표집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 모두 생사관 하위 요인 중 부정적 죽음의미가 가장 높았다. 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은 죽음불안과 생명존중의지에 차이를 보였는데 의과대학생은 일반대학생보다 죽음불안이 낮고, 생명존중의지가 높았다. 생사관과 영적안녕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반대학생의 실존적 안녕이 죽음관여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생명존중의지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의과대학생의 경우 종교적 안녕이 죽음의미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실존적, 종교적 안녕 모두 생명존중의지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적 죽음에 노출이 될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교육에 차별적 컨텐츠를 구성함에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

고령자를 위한 AI 기반의 Wellbeing 지원 시스템의 연구 (A Study on Wellbeing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using AI)

  • 조면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6-24
    • /
    • 2021
  • 본 논문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급속히 늘어나는 고령자를 위하여, IoT와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고령자로 하여금 행복한 노년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smart aging 서비스를 소개한다. 특히 고령화문제를 해결하려는 기존의 복지개념에서 탈피하여 긴급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감성을 만족시키어 활기찬 고령사회 구축으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어내는, 미래지향의 고령 친화적 wellbeing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IoT(사물인터넷)와 AI(인공지능)를 도입하여 고령자의 생활정보로부터 생활상황 및 감성상태를 판단하여 긴급 상황 대응, 기분전환과 감성 위로 제공 및 모임을 추천한다. 제안 시스템은 맥박, 위험한 단어사용 및 외부소통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인공지능 기법을 이용하여 우울증의 정도를 판단해줌으로써, 기존 헬스케어 중심의 복지개념에서 탈피하여 고령자에게 감정적인 행복감을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wellbeing 지원 시스템의 실현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대학생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 - 사회심리적 변수들과 의복 쇼핑자심감 -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and shopping confidence for clothing and accessories -)

  • 박혜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6호
    • /
    • pp.1061-1081
    • /
    • 2015
  •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wellbeing marketing, which focuses on increasing consumer life satisfaction or consumers' sense of subjective wellbeing.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which aspects contribute to consumer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provide additional insights into consumer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consciousness of social face,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career anxiety), shopping confidence, and life satisfaction. Shopping confidence in this study relates to confidence for clothing/accessories. It was hypothesized that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not only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shopping confidence.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using convenience sampling. Two hundred eighty six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of consciousness of social face revealed two factors, 'desire to gain face' and 'fear of losing face'. Factor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shopping confidence, and life satisfaction revealed that these variables were uni-dimensional. Test of the hypothesized path showed that all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indirectly through shopping confidence, whereas 'fear of losing face' of consciousness of social face and career anxiet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directly. The results give marketers some understanding of their consumers' life satisfaction in relation to consciousness of social face, social interaction anxiety, career anxiety, and shopping conf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