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ight Reduction Design

검색결과 690건 처리시간 0.029초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이 근류균활동(根瘤菌活動)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Nitrogen Application on the Activity of Rhizobium)

  • 유진창;윤석권;이용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21-225
    • /
    • 1974
  • 일반(一般)밭 토양(土壤)에 있어서 대두(大豆) 재배시(栽培時) 근류균(根瘤菌)의 접종(接種) 효과와 질소(窒素) 시용량(施用量)과의 관계(關係)를 밝히고저 주구(主區)로 질소(窒素) 시용량(施用量) 0, 2, 6, 12kg/10a 사수준(四水準)으로 하고 세구(細區)로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 무접종(無接種)으로한 분할구배치(分割區配置) 사반복(四反覆)으로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대두수량(大豆收量)은 유의성(有意性)있는 차이(差異)가 없이 질소시용양간(窒素施用量間) 거의 같았으며 근류균(根瘤菌) 접종간(接種間)에도 유의성(有意性)없는 차이(差異)였으나 근류균(根瘤菌)을 접종(接種)하므로서 야간(若干) 수량(收量)이 증수(增收)되었다. 2. 사엽기(四葉期) 및 개화기(開花期)에 근류(根瘤) 형성(形成) 정도(程度)를 보면 양시기(兩時期) 공(共)히 질소(窒素)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할수륵 유의성(有意性)있게 근류형성(根瘤形成)이 적었고 근류균 접종구(接種區)에서는 무접종(無接種)보다 근류(根瘤)의 형성(形成)은 유의성(有意性) 있게 많았고 생육상황(生育狀況)도 접종구(接種區)에서 무접종(無接種)보다 경장(莖長)이 컸으며 이러한 차이(差異)는 개화기(開花期) 보다도 사엽기(四葉期)에 커서 근류균(根瘤菌)의 접종효과는 초기(初期) 생육(生育)을 좋게 하는것 같았다. 3. 수확후(收穫後) 토양중(土壤中) 전질소(全窒素) 함량(含量)은 질소(窒素) 시용량(施用量)을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했으며 접종(接種) 무접종간(無接種間)에는 질소(窒素) 무시용구(無施用區)를 제외(除外)하고는 전질소(全窒素) 시용량간(施用量間)에 근류균(根瘤菌)을 접종(接種)함으로서 증가(增加)했으며 표준시비량(標準施肥量) 6kg/10a 수준(水準)에서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인(因)하여 반당(反當) 15kg의 토양잠재질소(土壤潛在窒素)를 갖게 되었다.

  • PDF

Effects of particle size and adaptation duration on the digestible and metabolizable energy contents and digestibility of various chemical constituents in wheat for finishing pigs determined by the direct or indirect method

  • Fan, Yuanfang;Guo, Panpan;Yang, Yuyuan;Xia, Tian;Liu, Ling;Ma, Yongx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554-561
    • /
    • 2017
  • Objectiv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s a $3{\times}2{\times}2$ factorial design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le size (mean particle size of 331, 640, or $862{\mu}m$), evaluation method (direct vs indirect method) and adaptation duration (7 or 26 days) on the energy content and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various chemical components in wheat when fed to finishing pigs. Methods: Forty-two barrow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with an initial body weight of $63.0{\pm}0.8kg$ were individually placed in metabolic cages and randomly allotted to 1 of 7 diets with 6 pigs fed each diet. For the indirect method, the pigs were fed either a corn-soybean meal based basal diet or diets in which 38.94% of the basal diet was substituted by wheat of the different particle sizes. In the direct method, the diets contained 97.34% wheat with the different particle sizes. For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methods, the pigs were adapted to their diets for either 7 or 26 days. Results: A reduction in particle size linearly increased the digestible energy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contents as well as the ATTD of gross energy, crude protein, organic matter, ether extract (EE)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p<0.05), and had a trend to increase the ATTD of dry matter of wheat (p = 0.084). The DE, ME contents, and ATTD of gross energy, crude protein, dry matter and organic matter were higher (p<0.05) when determined by the direct method, but the ATTD of ADF, EE, and neutral detergent fiber were higher when determined by the indirect method (p<0.05). Prolongation of the adaption duration decreased the ATTD of neutral detergent fiber (p<0.05) and had a trend to increase the ATTD of EE (p = 0.061). There were no interactions between particle size and the duration of the adaptation duration. The ATTD of EE in wheat was influenced by a trend of interaction between method and adaptation duration (p = 0.074). The ATTD of ADF and EE in wheat was influenced by an interaction between evaluation method and wheat particle size such that there were linear equations (p<0.01) about ATTD of ADF and EE when determined by the direct method but quadratic equations (p = 0.073 and p = 0.088, respectively) about ATTD of ADF and EE when determined by the indirect method. Conclusion: Decreasing particle size can improve the DE and ME contents of wheat; both of the direct and indirect methods of evaluation are suitable for evaluating the DE and ME contents of wheat with different particle sizes; and an adaptation duration of 7 d is sufficient to evaluate DE and ME contents of wheat in finishing pigs.

초고층 시스템거푸집 공사의 태양광에너지 활용 방안 연구 (Photovoltaic Application in System Formwork Operations of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 김태훈;이명도;이웅균;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6-126
    • /
    • 2011
  • 최근 환경문제 해결 및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친환경 에너지의 활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특히 설치장소의 제약이 없고 무한한 태양에너지를 활용한 태양광발전 산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건설산업에서도 건물통합형 태양광발전에 대한 연구와 사례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건축물의 초고층화는 시공단계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크게 증가시키며, 이에 따라 시공단계에서의 친환경에너지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거푸집 공사 전력공급을 위한 PV시스템(PVFS)을 제안하고 설계 및 적용타당성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건물시공 단계에서의 친환경 에너지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설계된 PVFS에 대한 설치면적 위치 확보 및 거푸집 허용하중 초과 여부, 공정영향, 경제성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기술발전을 통한 경제성 문제가 해결된다면 가까운 미래에 현장 적용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시공현장에서의 친환경 에너지 적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친환경에너지 접목을 통한 새로운 건축환경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공장용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 조간 조절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Chain Conveyor Type Row-Spacing System for Plant Factory)

  • 장유섭;송현갑;김동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4
    • /
    • 2005
  • 본 연구는 식물공장용 체인컨베이어식 조간조절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개발 시스템을 재배작물에 실제로 적용하기 위해 평가 시험하였다. 실험결과, 식물공장에서 수경재배되는 채소의 주간을 조절하는 기술을 제공하였다 작물조간조절단계는 매주 수확하는 것으로 하여 4단으로 설정하였고, 단계별 이송속도는 각각 6.4, 9.6, 12.3, 15.8$cm{\cdot}s^{-1}$이었고, 조간조절량은 각각 101.6, 152.4, 203.2, 254.0mm로 나타났다. 1단계에서 4단계로 작물이 이송되는 동안 작물과 재배 홈통의 무게가 17N에서 935N으로 증가함에 따라 구동축토오크도 $11.7\~33.3N{\cdot}m$범위에서 증가하여 이론토크 값보다 $5.9\~9.8N{\cdot}m$ 더 소요되었으며, 이때의 진행 저하율은 $1.6\~2.1\%$이었다. 재배홈통의 이동소요 시간의 설계 값이 2.26초이고 실측값이 2.24초로 잘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간조절장치는 조간조절량이 설계된 값의 $5%$이내 범주에서 잘 조절되고, 시스템으로도 안정적으로 나타나 식물공장용 조간조절장치로 체인컨베이어식 조간조절장치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량화 시스템에 적합한 유한체 $GF(2^m)$에서의 고속 역원기 (A Fast Inversion for Low-Complexity System over GF(2 $^{m}$))

  • 김소선;장남수;김창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2권9호
    • /
    • pp.51-60
    • /
    • 2005
  • 효율적인 암호 시스템의 설계는 환경에 적합한 유한체 연산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특히 유한체에서의 역원 연산은 다른 연산에 비해 가장 많은 수행시간을 소비하므로, 개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항식 기저를 기반으로 Extended binary god algorithm (EBGA)를 이용한 유한체 $GF(2^m)$에서의 고속 역원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역원 알고리즘은 EBGA보다 $18.8\%$, Montgomery inverse algorithm (MIA)보다 $45.9\%$ 적은 수행횟수를 가진다. 또한 기존에 제안된 시스톨릭 어레이 구조 (Systolic array structure)는 유한체 차수 m이 증가하는 경우 많은 하드웨어 리소스가 요구된다. 따라서 스마트 카드나 모바일 폰 등과 같은 경량화와 저전력이 요구되는 환경에는 적용하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경량화된 암호 시스템 환경을 바탕으로 공간복잡도가 적으면서 동기화된 연산을 수행하는 새로운 하드웨어 구조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하드웨어 구조는 유한체 $GF(2^m)$에서의 역원을 계산하기 위해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적은 덧셈 연산과 모듈러 감산 연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한체 $GF(2^m)$와 GF(p)에 적용이 가능한 통합된 역원기이다.

가상건설 활성화를 위한 BIM 재질 매핑 자동화 기술 (Automation of BIM Material Mapping to Activate Virtual Construction)

  • 서명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3호
    • /
    • pp.107-115
    • /
    • 2020
  • 최근 건설분야에 3차원 설계기술인 BIM이 의무화 되면서 다양한 활용사례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의 하나인 가상현실 기술과 BIM이 융합되면 사전 설계검토, 시공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가상현실 접목기술이 단순 프로토타입 수준이거나 모델하우스 정도에만 활용되고 있다. 또한 품질이 높은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관련 분야의 활성화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상건설분야 활용도 및 품질을 높이기 위해 BIM을 활용해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때 시간 소요가 많이 발생하는 재질 매핑 시간을 단축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BIM 모델시 재질 매핑 가능하도록 객체 속성을 부여하였고, 건설분야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재질을 구성하였으며, 속성과 재질을 자동으로 매핑해 주는 자동화 머터리얼 기능 개발과 최종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테스트를 위해서 10개의 모델을 활용해서 3회 반복 테스트를 하여 최종적으로 약 50.16%의 생산성 향상을 달성하였다. 향후에는 재질 매핑 자동화 기능 고도화를 포함하여 대용량 BIM 모델을 기반으로 물리적인 데이터 경량화를 포함하여 BIM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과 관련된 생산성 향상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A comparison of supplemental calcium soap of palm fatty acids versus tallow in a corn-based finishing diet for feedlot steers

  • Warner, Crystal M.;Hahm, Sahng-Wook;Archibeque, Shawn L.;Wagner, John J.;Engle, Terry E.;Roman-Muniz, Ivette N.;Woerner, Dale;Sponsler, Mark;Han, Hyungchu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7권6호
    • /
    • pp.25.1-25.7
    • /
    • 2015
  • Rumen bypass fat is commonly added to increase energy intake in dairy catt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dition of rumen bypass fat during finishing period on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grain fed steer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126 cross-bred steer calves (initial BW $471.5{\pm}7.5kg$) randomly assigned to pens with 9 steers/pen (n = 7 pens/treatment). Each pen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treatment groups; rumen bypass fat treatment (CCS, calcium soap of palm fatty acids) and control diet (CT, tallow). The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Animals were fed twice daily at 110 % of the previous daily ad libitum intake. Blood from each sample was taken from the jugular vein. Muscle and adipos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longissimus dorsi regions. Feedlot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To examine adipogenic gene expression, quantitative real-time PCR was completed. Steers fed the CT had a greater level of performance for most of the parameters measured. The CT group had greater DMI (P < 0.05) and tended to have greater ADG (P < 0.10). Marbling score (P < 0.05) and quality grade (P < 0.05) were greater for steers fed the CT diet than those fed CCS. The longissimus muscle area tended to be greater (P < 0.10) in steers fed CT ($87.60cm^2$) than those fed CCS (84.88 cm2). The leptin mRNA expression was down-regulated (P < 0.05) in adipose tissue of steers fed a CCS when compared to those fed CT. These data suggest that calcium soap of palm fatty acids can be added to finishing diets without significant reduction in final body weight, although there may be modest reductions in marbling and quality scores.

The recombination velocity at III-V compound heterojunctions with applications to Al/$_x$/Ga/$_1-x$/As-GaAs/$_1-y$/Sb/$_y$/ solar cells

  • 김정순
    • 전기의세계
    • /
    • 제28권4호
    • /
    • pp.53-63
    • /
    • 1979
  • Interface recombination velocity in $Al_{x}$G $a_{1-x}$ As-GaAs and $Al_{0.85}$, G $a_{0.15}$ As-GaA $s_{1-y}$S $b_{y}$ heterojunction systems is studied as a function of lattice mismatch. The results are applied to the design of highly efficient III-V heterojunction solar cells. A horizontal liquid-phase epitaxial growth system was used to prepare p-p-p and p-p-n $Al_{x}$G $a_{1-x}$ As-GaA $s_{1-y}$S $b_{y}$-A $l_{x}$G $a_{1-x}$ As double heterojunction test samples with specified values of x and y. Samples were grown at each composition, with different GaAs and GaAs Sb layer thicknesses. A method was developed to obtain the lattice mismatch and lattice constants in mixed single crystals grown on (100) and (111)B oriented GaAs substrates. In the AlGaAs system, elastic lattice deformation with effective Poisson ratios .mu.$_{eff}$ (100=0.312 and .mu.$_{eff}$ (111B) =0.190 was observed. The lattice constant $a_{0}$ (A $l_{x}$G $a_{1-x}$ As)=5.6532+0.0084x.angs. was obtained at 300K which is in good Agreement with Vegard's law. In the GaAsSb system, although elastic lattice deformation was observed in (111) B-oriented crystals, misfit dislocations reduced the Poisson ratio to zero in (100)-oriented samples. When $a_{0}$ (GaSb)=6.0959 .angs. was assumed at 300K, both (100) and (111)B oriented GaAsSb layers deviated only slightly from Vegard's law. Both (100) and (111)B zero-mismatch $Al_{0.85}$ G $a_{0.15}$As-GaA $s_{1-y}$S $b_{y}$ layers were grown from melts with a weight ratio of $W_{sb}$ / $W_{Ga}$ =0.13 and a growth temperature of 840 to 820 .deg.C. The corresponding Sb compositions were y=0.015 and 0.024 on (100) and (111)B orientations, respectively. This occurs because of a fortuitous in the Sb distribution coefficient with orientation. Interface recombination velocity was estimated from the dependence of the effective minority carrier lifetime on double-heterojunction spacing, using either optical phase-shift or electroluminescence timedecay techniques. The recombination velocity at a (100) interface was reduced from (2 to 3)*10$^{4}$ for y=0 to (6 to 7)*10$^{3}$ cm/sec for lattice-matched $Al_{0.85}$G $a_{0.15}$As-GaA $s_{0.985}$S $b_{0.015}$ Although this reduction is slightly less than that expected from the exponential relationship between interface recombination velocity and lattice mismatch as found in the AlGaAs-GaAs system, solar cells constructed from such a combination of materials should have an excellent spectral response to photons with energies over the full range from 1.4 to 2.6 eV. Similar measurements on a (111) B oriented lattice-matched heterojunction produced some-what larger interface recombination velocities.ities.ities.s.

  • PDF

토사구간 공용중 터널 포장부 균열 발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tunnel pavement in the soil under use)

  • 김낙영;이강현;조남훈;유광호;백승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749-760
    • /
    • 2017
  • 최근 들어 터널구조물이 도로 및 철도에서 차지하는 비율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유지관리상에서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균열 및 라이닝 국부적인 탈락 발생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터널유지관리에서 터널 콘크리트라이닝에 대한 유지관리는 유지관리 업무의 핵심으로 관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터널 주행자의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는 터널 포장부에 대한 유지관리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터널 설계 시 터널 하부 지반조건은 양호한 암반조건으로 설계되므로 과거에는 터널포장부에서 지반지지력 부족 등으로 균열들이 발생한 경우가 많지 않았다. 최근에 터널구조물 건설이 급증하고 터널길이가 장대화 되면서 국부적으로 터널하부에 지반조건이 파쇄가 심한 토사구간이 존재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지반조건에 포설된 터널포장은 장기간 시간 경과후 지하수 침투등으로 포장부 하부 지지력 감소로 인한 포장부 균열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용중인 터널 내 포장부에 균열이 발생한 사례를 대상으로 터널 내 포장 균열 발생 형태와 지지력 감소를 평가하기 위하여 터널 포장균열 발생구간의 ISM값과 동적지지력 특성, 특이구간 분포정도를 조사분석하였고 터널포장부에 대한 균열대책 보강방안을 분석하였다.

미숙아의 수유 프로토콜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Feeding Protocol for Preterm Infants)

  • 이재영;손현미;박경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20-29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를 위한 수유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미숙아 수유 프로토콜의 개발을 위해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고, 문헌고찰과 협의를 통해 작성된 프로토콜에 대해 내용타당도 검증과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확정하였다. 개발된 프로토콜은 비동등성대조군 전후시차설계로 B시의 P대학교병원에서 태어난 37주 미만의 미숙아 85명에게 적용되었다. 대조군(n=38)에게 2013년 1월부터 4월까지 일반적인 미숙아 수유관리가 시행되었고, 실험군(n=35)에게는 2013년 6월부터 9월까지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미숙아 수유 프로토콜이 적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 program을 통하여 t-test와 ${\chi}^2$-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첫 수유시간(t=2.22, p =.029)과 완전장관영양에 이르는 기간(t=2.28, p =.026)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의 생후 7일째 체중 감소율(t=-1.23, p =.222)과 합병증 발생률(p >.0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미숙아 수유 프로토콜 적용을 통하여 미숙아들의 첫 수유시간과 완전장관영양에 이르는 기간이 단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