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VR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6초

Rich User Experiences 콘텐츠 'Nurimaru Web VR' 제작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ch User Experiences contents 'Nurimaru Web VR')

  • 정성훈;이동훈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5-629
    • /
    • 2008
  • Web 패러다임의 변화속에서 Web VR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풍부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디자인 요소를 알아보고 이를 부산의 'Nurimaru APCE House' Web VR 콘텐츠 프로토타입 개발을 통해 서술하고자 한다.

  • PDF

가상현실 저작툴을 이용한 Web3D 구현 (Implementation of Web3D using VR Authoring Tool)

  • 김성태;김윤호;송학현;류광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239-242
    • /
    • 2003
  • 현재 대부분의 Web컨텐츠는 2D를 이용한 수동적인 인터페이스를 이루고 있지만, 네트워크 초고속인터넷망과 3D압축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점차 VR을 기반으로 한 Web3D가 보편화 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가상현실과 Web3D를 이해하고 최근 선보여지고 있는 가상현실 저작툴을 이용하여 Web3D를 구현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virtual reality platform API for virtual reality (VR) development

  • Lee, Byong-K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23-30
    • /
    • 2020
  •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면서 IoT, AI, Big Data, AR/VR/XR등 최신 기술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가상현실(VR) 기술 플랫폼 서비스 분야는 표준화 및 체계적인 지원이 없는 상태이다. 또한, 가상현실 관련 다양한 플랫폼 기술이 제시되어 개발에 선택해야 하는 API 선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개발을 위한 방법과 사용자 서비스되고 있는 가상현실(VR) 기술에 대하여 분석했다. 또한, 개발플랫폼별 장점 및 단점을 제시해 개발자가 효율적인 플랫폼을 선정할 수 있도록 기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가상현실에 사용되는 각종 HMD 기기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비교에서 개발자 관점에서 효과적인 장비와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선정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가상현실(VR) 개발환경시험은 Oculus 사의 제품을 사용했으며, 소프트웨어 개발환경으로 WebBased VR과 HMD 임베디드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시험을 했다.

VR 기반 문화유산 체험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R-based Cultural Heritage Experience on Visit Intention)

  • 유건우;황경화;권오병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5-122
    • /
    • 2021
  • 최근 COVID-19 팬데믹으로 비대면 사회가 되면서 가상현실(VR) 기반으로 문화유산을 체험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VR 콘텐츠 체험이 실제 문화유산이 있는 관광지에 대한 방문으로까지 이어지는지, VR 콘텐츠 체험 만족으로 인해 관광지 방문 의도가 감소하지는 않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VR 기반 문화유산 체험이 유적지 방문 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VR 기반 문화유산 체험이 Web 기반 문화유산 체험에 비하여 가지는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DeLone and McLean이 제안한 정보시스템 성공모델을 기반으로, 관광 콘텐츠 체험이 유적지 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콘텐츠 체험형태(VR vs. Web)에 따른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VR 기반 콘텐츠 체험 시에 시스템 품질의 편리성과 정보 품질의 실재감, 유용성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정보품질의 실재감과 만족도는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사용의도는 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만족도는 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Web을 통해 콘텐츠를 체험한 집단이 VR을 통해 콘텐츠를 체험한 집단보다 정보 품질의 유용성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광지에 대한 방문의도를 높이기 위한 VR 기반 관광 콘텐츠를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WEB VR 모델하우스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 (An Auslytic core Study on Web VR Model House)

  • 서정훈;김용성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4-75
    • /
    • 2000
  • 아파트 모델하우스가 전하는 정보의 내용은 소비자의 욕구와 선호도에 맞춰 소비자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현재의 모델하우스는 그러한 측면에서 현실의 제약성 때문에 변화하는 소비자 선호양상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web 모델하우스의 새로운 정보전달방법을 통한 내용의 다양화를 들 수 있다. (중략)

  • PDF

웹과 가상현실 통합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콘텐츠 개발 (Hybrid Content Technology for Web and VR Integrated Services)

  • 최나현;김효진;오소영;유보근;진은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75-578
    • /
    • 2020
  • 최근 교육부는 초등학교부터 중학교까지 정보통신기술(ICT)와 인공지능(AI)에 관한 소양을 길러주기 위해 AI, VR 등 최첨단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과학실'을 2024년까지 모든 학교에 구축할 방침이라고 한다. 하지만 국내 VR 교육은 학년별, 교과과정에 맞춘 콘텐츠가 부족하고, VR 교육 전용 LMS(학습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현실로 도입하기에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VR 교육 특성에 맞는 LMS 대안과 10분 내외의 VR 체험을 뒷받침할 맞춤 콘텐츠로서 'Web & VR Hybrid Content'를 제안한다.

사람 시각 특성을 활용한 가상현실 브라우저에서의 시각적 피로도 절감 기술 (Reducing Visual Discomfort for VR Browser based on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 김경태;김학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88-890
    • /
    • 2017
  • VR browser is one of the most popular applications for VR(Virtual Reality) environment. However, because most of the web contents are not designed considering the VR environment, scrolling the web pages in the VR browser causes much visual discomfort. We found it's because the angular velocity of the eye movement during scrolling increased because the viewing distance got closer compared with legacy devices. So we have developed a technology that regulates the scrolling to reduce the visual discomfort in the VR browser, in reference of the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visual system.

웹 기반의 가상현실 3D 국악 박물관 제작 (A Web-based 3D Virtual Reality Pavil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최지애;심재선;김윤상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65-68
    • /
    • 2008
  • In this paper, a web-based 3D virtual reality (VR) pavill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implemented. The VR pavillion is used for the virtual demonstration and experie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provides the information as well as multimedia experience on eight instruments to users through internet. It provides eight web-pages and one an audio-visual classroom on the instruments.

Web-Map 개발을 위한 VRML과 Java의 적용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3D web-map using VRML and java)

  • 양인태;김동문;박형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1-87
    • /
    • 2003
  • Web 기반 네트워크 환경에서 3차원의 실세계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그러나 최근의 시뮬레이션 도구들은 여러 가지 3차원 구현 기술들을 접목하여 제한된 2차원 화면 속에서 3차원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구현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많은 GIS 도구들이 3차원 자료 생성을 위한 훌륭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웹 환경에서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3차원 CIS의 설계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고가의 Map전용 프로그램의 지원 없이 웹상에서 원하는 방향, 시점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능동적 3차원 VR지도를 제작하기 위해 가상현실모델링언어를 이용하여 3차원 지형 Map을 구현하였으며, 이러한 3D Web-Map은 차세대 지도매체로서 그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X3DOM을 이용한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Using X3DOM)

  • 부띠에;류가애;정상권;이국환;류관희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1호
    • /
    • pp.165-170
    • /
    • 2017
  • 웹 3D 기술은 과학, 의료, 공학 그리고 멀티미디어 가시화의 경험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웹 환경에서 3D 가상현실은 운영체제 등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상현실은 3차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현실적인 영상, 음향과 다른 감각을 표현하고 사람들과의 사용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가상현실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몰임하여 객체를 조작할 수도 있고, 원하는 목표를 위해 단계별 행동을 실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웹 환경에서 3D 상호작용 콘텐츠를 정의한 ISO 국제표준인 X3D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공간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X3D 가상현실 공간에서 스테레오 렌더링을 논의하고, HMD VR을 위한 새로운 X3D 노드를 제안한다. 제안한 노드들은 X3D 웹 브라우저인 X3DOM에 의해 가시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