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Synchronizatio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4초

웹 기반의 협동작업을 위한 동기적 웹 브라우저 공유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ynchronous Web Browser Sharing System for Web-based Collaborative Computing)

  • 김문석;이성제;성미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227-229
    • /
    • 2000
  •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작업자들이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협력 연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협동작업 지원 도구인 화상회의, 전자칠판의 지원뿐만 아니라 동기적 웹 브라우저의 공유 또한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동기적 웹 브라우저의 공유 시스템에서는 협동 작업자들이 주소 동기화(URL Synchronization) 및 폼 동기화(Form Synchronization)를 통해서 워드 및 파워포인트와 같은 웹 문서와 웹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공유할 수 있고 브라우저의 내용이 길어질 경우에도 스크롤 동기화(Scroll Synchronization) 및 윈도우 크기 동기화(Window Size Synchronization)를 통해 문서내의 같은 부분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작업자들이 협동작업을 위해서 상용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문서와 웹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 PDF

온라인 교육을 위한 동영상과 가상현실 데이터의 동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chronization of Video and Virtual Reality Data for On-line Education)

  • 선복근;한광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89-39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VRML 컨텐츠간의 동기화 기술에 대해 연구한다. 미디어 동기화를 위한 HTML+TIME과 스크립트(Script), VRML 제 어를 위한 Java EAI 및 applet, VRML의 애니메이션을 조절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저작 템플릿을 만들어 온라인 교육시스템에 적용한다. 구현된 시스템의 애니메이션 제어성능 및 처리속도와 미디어간의 동기화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기존의 온라인 가상 교육 시스템의 동기화 성능보다 다소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을 통해 HTML+TIME 미디어 동기화 기술과 VRML Web3D 가상현실 저작 기술 그리고 자바를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동영상 미디어의 제어와 3D 애니메이션의 제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교육 시스템의 구축이 간단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적용 할 수 있는 미디어 동기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웹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의 동기화 오류 제어 시스템 (A Synchronization Error Control System for Web based Multimedia Collaboration Environment)

  • 고응남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1호
    • /
    • pp.45-5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ESS_WMCE를 제안한다. 이 논문은 ESS_WMCE상에서 실행되는 EDSS의 설계와 구축을 기술한다. EDSS는 웹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의 동기화 오류 제어 시스템이다. 훅킹 방법에 의하여 오류를 감지하고 오류 전단 기법은 응용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수정된 모델이다. 두레는 컴퓨터 지원 협동 작업을 위한 응용을 개발하기 위하여 지원되는 좋은 프레임워크 모델이다. 이 시스템은 기본적인 서비스 기능을 가지고 있고 기능들은 객체 지향 개념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것은 소프트웨어 기술을 사용하여 웹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 발생되는 소프트웨어 오류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공유시키는 데 적합하다. 본 논문은 공유되는 객체를 접근하기 위하여 URL 동기화뿐만 아니라 오류를 공유할 수 있다. 오류 발생 시에 오류 감지는 MS-Windows API에 있는 훅 킹(hooking) 방법을 이용한다. 감지된 오류는 공유되는 객체를 접근하기 위하여 오류공유가 가능하다.

웹 기반의 실시간 원격강의를 위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웹브라우저 동기화 (The Synchronization of WWW Browsers between Server and Client on Web-based Real-time Remote Lecture)

  • 이점숙;이부권;서영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8A권1호
    • /
    • pp.70-74
    • /
    • 2001
  • A general web-based remote lecture system uses video data and audio data to provide synchroniz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This system requires high bandwidth, high speed networking, television, compression and computing technologies between server and client for remote lecture over Internet. As a result, this system can decrease an efficiency for lecturing over current Internet. So, this paper proposes a new mechanism calling as ‘Synchronization of WWW browsers between server and client’to cope with above problems and finally pursues low cost needed for real-time remote lecture over Internet. The mechanism means that every browser of teacher and students displays the same page and the action of teacher is transferred to the browser of student. And, this can be implemented by Windows hooking APIs, Memory Mapping, and DLL (Dynamic Link Library) programming technology. This paper points to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AS (Lecture Assistant Server) and LAC (Lecture Assistant Client) to perform the synchroniza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 PDF

교수와 학습자간의 행동 동기화를 이용한 웹 기반의 실시간 원격 강의 시스템 (A Web-based Remote Instruction System on Real-time using Action Synchroniza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Learners)

  • 이부권;박규석;서영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3권6호
    • /
    • pp.611-616
    • /
    • 2000
  • 일반적으로 강의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 전달 매체는 음성이며 다음으로 도큐먼트이다. 실제로 많은 원격 강의 기법에서 동영상을 제공하려고 하지만 네트워크 대역폭의 제한으로 인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특별한 브라우저를 사용하지 않고 웹 상에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접근하도록 하기위해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같이 동영상이나 음성과 같은 연속 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의 제한으로 인하여 만족스럽지 못한 강의 내용을 제공하고 있으며,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게 되면 대체로 도큐먼트(웹 페이지) 위주의 강의 자료를 제공할 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 전달 매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음성과 도큐먼트를 이용하여 웹 상에서 실시간 원격 강의 시스템을 제안한다. 여기에 사용된 부가기법으로는 교수와 학습자간의 웹 브라우저 동기화와 펜을 이용하며, 교수자는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도큐먼트를 보면서 강의하고, 학습자는 교수자가 보고 있는 도큐먼트와 같은 것을 보면서 강의를 듣게 된다

  • PDF

레코드 단위의 동기화를 지원하는 개별 클라우드 구현 기법 (Implementations of Record_Level Synchronized Safe Personal Cloud)

  • 홍동권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39-244
    • /
    • 2014
  •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환경의 중요성, 편리성이 점점 커지면서 개인 정보 (프라이버시, privacy)에 대한 염려도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인 정보의 보호에 대한 연구와 노력은 계속 지속되고 있지만 개인 정보의 침해에 대한 염려는 항상 존재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클라우드 환경이 제공하는 파일 단위의 단순화된 동기화 기법은 파일의 부분 변경을 어렵게 한다. 특히 파일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SQLite와 같은 내장형 DBMS를 사용하는 데이터 중심 앱에서 단순한 파일 단위의 동기화는 많은 정보를 잃어버릴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에서 데스크탑 컴퓨터를 이용하여 레코드 단위의 세밀한 동기화를 지원하는 개별 클라우드를 구축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데모 시스템을 구축하여 그 기능을 확인한다. 데모 시스템은 데스크탑 컴퓨터에 RESTFul 웹 서비스 기능을 구현한 후 모바일 기기의 스키마와 동일한 스키마를 클라우드 저장소인 데스크탑 컴퓨터에 구현하고, 낙관적 방식의 레코드 단위의 동기화를 지원하게 한다.

동기적 웹 브라우저 공유를 지원하는 협동작업 시스템 (A Collaborative System Supporting the Synchronous Web Browser Sharing)

  • 김문석;성미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8B권3호
    • /
    • pp.283-287
    • /
    • 2001
  • 컴퓨터를 이용한 협동작업은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작업자들이 동기적 EH는 비동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최근의 협동작업 분야의 급속한 발전은 이제 더 이상 웹 상에서의 협동작업 도구를 메일, 채팅, 화이트보드, 화상회의 등에 한정하지 않고 웹 응용 프로그램들을 협동작업 도구에 포함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작업자들이 상용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문서와 웹 데이터베이스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협동작업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시스템은 주소 동기화(URL Synchronization), 스크롤 동기화(Scroll Synchronization) 및 윈도우 크기 동기화(Window Size Synchronization)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터미널에서 웹 브라우저를 동기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주소 동기화는 인터넷 브라우징의 이동과 방향을 동기적으로 제어해주고, 폼 동기화는 웹 페이지 입력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스크롤 동기화는 웹 페이지의 스크롤을 동기적으로 제어하여 웹 브라우저의 출력 내용이 길어질 경우에도 문서 안의 같은 부분을 공유 할 수 있게 하며 윈도우 크기 동기화는 윈도우의 길이와 넓이를 맞춰준다.

  • PDF

이동 단말을 위한 SyncML 기반 응용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yncML based Appl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Devices)

  • 박지은;김상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1호
    • /
    • pp.62-70
    • /
    • 2002
  • 본 논문의 목적은 웹에 게시되는 이동 단말 전용 소프트웨어 정보 검색 과정을 자동화하고, 해당 소프트웨어를 단말에 설치하는 과정을 자동화하여, 이를 한 단계로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단말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응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자동 배포를 위한 권고안인 OSD(Open Software Description)를 따르는 웹 에이전트를 구현함으로써 웹 모니터링 및 소프트웨어 다운로딩 작업을 자동화하였다. 또한,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타 동기화 권고안인 SyncML(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서버와 단말간 소프트웨어 설치 작업을 자동화하였다. 표준 권고안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자동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뿐 만 아니라, 기존의 다양한 이동 단말, 서로 다른 운영체제, 그리고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 다운로딩 사이트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CoSpace: 공유작업공간을 지원하는 웹 기반 공동작업환경 (CoSpace: A Web-based Collaborative Environment Supporting Shared Workspaces)

  • 정수권;김규완;김인호;정재훈;이명준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11S호
    • /
    • pp.3420-3433
    • /
    • 1999
  • Since most of CSCW(Computer-Supported Cooperative Work) systems have been developed for particular computing platforms, they are usable only within the specific organizations supporting those particular platforms. Recently, according to the rapid growth and continuing success of the World-Wide Web(WWW or Web) which offers a globally accessible platform-independent infrastructure, many CSCW systems has been constructed and is being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Web. As one of such CSCW system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oSpace system. The CoSpace system provides shared workspaces, which enable members of a work group easily share information for collaborative work through their Web Browsers. The shared workspaces support information sharing and management between users, and also support event monitoring and synchronization between collaborative works.

  • PDF

WebInfoSync: 데이타 동기화를 이용한 Web환경의 확장형 Mobile 정보검색 시스템 (WebInfoSync : Using Data Synchronization, Extensible Mobile Information Searching System on Web Environment)

  • 신성수;국윤규;김운용;최영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607-1610
    • /
    • 2002
  • 모바일 디바이스의 급속한 보급과 사용자층의 증가는 보다 효율적인 정보의 활용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정보의 활용능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기준의 웹정보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 활용방법을 들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기존의 정보 구축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 맞는 정보를 새롭게 구축하고 서비스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모바일 환경에 적합하도록 정보를 변환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웹정보를 효율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법은 웹 정보의 자동 변환과 데이터 동기화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정보의 재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활용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