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ather Buoy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19초

연근해용 소형기상관측부이의 개발 (Development of Mini-Weather Buoy)

  • 이동규;오재호;서영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2호
    • /
    • pp.155-159
    • /
    • 1999
  • 수중음향을 이용한 풍속 측정(Weather Observation Through Ambient Noise: WOTAN) 기술을 이용하여 소형 기상관측부이를 개발하였다. 소형기상관측부이는 지상자료 수선소와 기상부이 간의 통신수단으로 휴대전화망을 채택하였다. 제작된 소형기상관측부이를 부산시 기장군 시랑리 부근 해역에 계류하여 부근에 위치한 국립수산진흥원에 설치한 지상기상관측기기에서 관측된 결과와 비교하였다. 수중음향을 이용하여 추정된 풍속을 지상에서 관측한 풍속과 비교한 결과 좋은 결과를 얻었다. 즉 풍속계에 의한 풍속과 수중음향에 의해 추정된 풍속의 rms 오차가 1 m/s 내외로 나타났다. 이 소형기상관측부이의 한가지 단점은 휴대전화의 통달거리가 짧아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는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점인데, 현재 전 세계 대양에서 통화가 가능한 위성 휴대전화망이 상용화되기 시작하여 위성 휴대전화를 이용하면 이 문제는 쉽게 해결될 수 있다고 본다.

  • PDF

해양환경모니터링을 위한 표류부이 개발 (Development of a Floating Buoy for Monitoring Ocean Environments)

  • 유영호;강용수;이원부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3권5호
    • /
    • pp.705-712
    • /
    • 2009
  • The state changes of ocean covered over 70% of earth surface are one of the greatest factor of weather catastrophe. Recently weather extraordinary events are followed by steep increase of sea water temperature and scientists in various fields are studying and warning the weather changes. In this paper, floating buoy is developed to monitor ocean environments via Orbcomm satellite and a method is proposed to increase measurement accuracy of sea water temperature with common low price temperature sensor.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us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system. A web-based real time monitoring system is built to monitor ocean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sea and air temperature, salinit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buoy through the internet for user convenience.

LL-26(M) 등부표의 해역별 동적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 Areas Dynamic Stability of LL-26(M) Light Buoy)

  • 문범식;국승기;김태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66-173
    • /
    • 2020
  • 항로표지사고는 통항선박의 항행위험을 초래하고, 항로표지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해상에 가장 많이 설치·운영되고 있는 등부표는 바람, 조류, 파도 등 해양기상의 영향으로 인한 사고율이 가장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 등부표 설치해역별 해양기상조건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등부표의 동적안정성 계산에 있어 전 해역에 일류적인 극한조건만을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등부표 중 해상에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LL-26(M) 등부표의 동적안정성을 분석하여, LL-26(M) 등부표의 안정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등부표와 관련한 선행연구의 해역별 기상을 분석한 후, 해양기상에 의한 사고발생 횟수가 많은 해역별 대표 등부표에 적용하여 동적안정성(경사각)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각 해역별 LL-26(M) 등부표의 경사각은 상이하였다. 즉, 바람에 의한 경사각은 10.329°~36.868°이고, 조류에 의한 경사각은 0.123°~18.834°이며, 파도에 의한 경사각은 4.777°~20.695°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LL-26(M) 등부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해역별 설치기준 마련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해양기상부표의 센서 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Improvement of Sensor Data Quality from Weather Buoys)

  • 이주용;이재영;이지우;신상문;장준혁;한준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86-197
    • /
    • 2023
  •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improvement of data quality transmitted from a weather buoy that guides a route of ships. The buoy has an Internet-of-Thing (IoT) including sensors to collect meteorological data and the buoy's status, and it also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send them to the central database in a ground control center and ships nearby. The time interval of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is irregular, and fault data is often detected.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to improve data quality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The normal data pattern is trained by machine learning models, and the trained models detect the fault data from the collected data set of the sensor and adjust them. For determining fault data, interquartile range (IQR) removes the value outside the outlier, and an NGBoost algorithm removes the data above the upper bound and below the lower bound. The removed data is interpolated using NGBoost or long-short term memory (LSTM) algorithm. Th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process is evaluated by actual weather buoy data from Korea to improve the quality of 'AIR_TEMPERATURE' data by using other data from the same buoy.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d framework has been validated through computational experiments based on real-world data, confirming its suitability for practical applications in real-world scenarios.

Different Approaches to Design a Meteorological Buoy for Weather Monitoring Purposes

  • Lee, Chee-Cheong;Park, Soo-Ho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3호
    • /
    • pp.301-306
    • /
    • 2010
  • This project is to study and design a meteorological buoy. It mainly covers and compares two approaches to design a meteorological buoy where their functions are same. The comparison will be made between mechanical structure, type of sensors, and electronics system design and power consumption issues.

기상관측 부이용 전자통신시스템 설계 (Electronics System Design of a Generic Meteorological Buoy)

  • 박수홍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51-57
    • /
    • 2010
  • 본 논문은 일반적인 기상관측 부이시스템에서의 전자시스템설계에 관한 것이다. 주로 기지국, 데이터처리, 파워시스템설계 등의 기상관축 부이용 전자통신시스템 설계에 관한 것이다. 연구결과 시스템 설계가 기지국에서 부이를 통하여 배터리 사용시간을 확인하였고, 추가적인 파워의 소비 없이 자체적으로 부이에서의 작용함을 알 수 있다.

해상 브이용 무선 통신체계 (The Wireless Communication for Marine Buoy)

  • 오진석;전중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140-2146
    • /
    • 2014
  • 해상에 설치되는 브이는 선박의 안전항해 및 다양한 해양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브이는 선박과의 충돌이나 해상 기상상태로 인한 브이의 피해가 자주 발생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브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전에 정의한 데이터의 형식에 맞춰 브이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실험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무선 신호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무선 원격 제어 보드를 통하여 실험한 결과 육상에서 3분 간격으로 해상 브이에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획득한 데이터의 종류는 브이가 적용되는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사전에 변경 할 수 있다. 이를 해상에 적용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 안정성을 실험하였고, 더불어 무선 통신망의 가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험하였다.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태양광, 풍력, 파력 발전에 대하여 각각 최대 50 W, 20 W, 40 W의 발전량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검증된 통신체계는 해상 브이뿐만 아니라 다른 해양구조물에도 적용 가능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반도 남서해안의 기후학적 연안지대의 경계와 특징 (Climatological Boundary and Characteristics of Coastal Zone over the Southwestern Korean peninsula)

  • 이영선;하경자;전은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3호
    • /
    • pp.137-152
    • /
    • 2004
  • 한반도 남서해안에서 연안지대의 기후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AWS(automatic weather system)와 4개 지점의 부이자료를 사용하였다. 연안지대를 기후학적으로 정의하였는데 해안선을 가로지르는 풍속과 온도의 기울기에 있어서 뚜렷이 대비가 나타나는 지대로 정의하였고, 연안지대가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종관풍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한반도의 남해와 서해에서 부이와 나란한 AWS지점으로 구성된 4개의 단면도선을 거제도부이라인, 거문도부이라인, 칠발도부이라인, 덕적도부이라인으로 선택하였다. 일주기와 월변동의 분석에서 월별평균과 극값, 부이와 각 지점간의 온도경도와 풍속의 누적빈도수가 연안의 범위와 특징을 조사하는데 응용되었다. 그 결과 연안지대의 최대범위는 거제도부이라인은 offshore에서 생림(해안선에서 약 34 km), 거문도부이라인은 순천(약 52 km), 칠발도부이라인은 자은도(약 27 km), 덕적도부이라인은 용인(약 65 km)으로 분석되었다. 종관풍에 따른 연안지대의 변동을 onshore, offshore, calm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onshore 일 때 연안지대의 범위는 65∼90 km로 변화한다. 더욱 우리는 태풍(MAEMI)에 의해 영향을 받은 2003년 9월 12일∼13일 동안에 거제도부이라인에 대한 풍속과 온도의 변화와 해상과 육상의 풍속비를 알기 위해 조사하였다.

솔레노이드 장치를 이용한 양식용 부자 LED 전원공급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for auto lightening buoy system using solenoid)

  • 차봉진;배봉성;김현영;조삼광;이건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2권1호
    • /
    • pp.17-23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lightening buoy that can indicate an aquaculture cage at night or in rough weather. The energy for the light is generated by the linear motion of a magnet along with a coil inside the buoy as the waves cause the buoy to oscillate up and down. The principle of the magnet motion is different between the magnet and body of the buoy because the movement of the latter is dependent on the surface wave, while the former is affected by the damper. To obtain a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buoy, the voltage as well as up and down motion produced by several waves were measured in the wave tank. A shorter wave period, i.e., faster motion, of the magnet produced a brighter ligh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aid in deciding the optimum design of a buoy capable of producing a bright light at any aquaculture site affected by sea or fresh water waves.

악천후 유류유출사고시 초동대응한계의 축소를 위한 네트형 유류확산추적부이 (NOST-Buoy) 개발연구의 필요성 (Study on Need for Development of Net-shaped Oil Spread Tracking Buoy(NOST-Buoy) for Reduction of Early Response Limitation in Extreme Weather Oil Spill Accident)

  • 문정환;윤종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7-128
    • /
    • 2009
  • 대형 유조선에서 기인된 1995년 Sea Prince호 및 2007년 Hebei Spirit호 사고 등 대다수의 재난적 유류유출사고는 많은 변수 중 "악천후"라는 기상적 어려움으로 초동방제활동 및 피해규모의 축소가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정작 사고선박에서는 방제활동 주도기관의 개업이 있기 전까지 적극적인 방제활동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고선박에서 유출되는 유류의 확산범위 및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는 추후에 예정된 방제활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중요한 정보의 획득을 위해 사고선박에서 설치가 가능하며, 이후 방제활동에 중요한 유출유의 확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유류확산 추적부이 (NOST-Buoy)의 개발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