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soluble isoflavon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Microencapsulation of Water-Soluble Isoflavone and Physico-Chemical Property in Milk

  • Seok, Jin-Seok;Kim, Jae-Soon;Kwak, Hae-S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5호
    • /
    • pp.426-431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ddition of water-soluble isoflavone into milk by means of microencapsulation technique. The yield of microencapsulation, sensory attributes, and capsule stability of water-soluble isoflavone microcapsules in milk were measured. Coating materials used was polyglycerol monostearate (PGMS), and core material was water-soluble isoflavone. The encapsulation yield of water-soluble isoflavone with PGMS was 67.2% when the ratio of coating material to core material was 15 : 1. The rate of water-soluble isoflavone release from capsules was 18, 19, and 25% when stored at 4,20, and $30^{\circ}C$ for 12 days in milk, respectively. In sensory evaluation, beany flavor and color of microencapsuled water-soluble isoflavone added mil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uncapsuled water-soluble isoflavone added milk, however, bitter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vitro study, micro-capsules of water-soluble isoflavone in simulated gastric fluid with the range of 3 to 6 pHs were released 3.0∼15.0%, however, the capsules in simulated intestinal fluid with pH 7 were released 95.7% for 40 min incubation time.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at PGMS as coating materials was suitable for the microencapsulation of water-soluble isoflavone, and the capsule containing milk was almost not affected with sensory attribute.

Application of Microencapsulated Isoflavone into Milk

  • Jeon, Byung-Ju;Kim, Nam-Chul;Han, Eun-Mi;Kwak, Hae-S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7호
    • /
    • pp.859-865
    • /
    • 200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microencapsulated, water-soluble isoflavone for application into milk and to examine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such a milk product in a rat diet. The coating material was medium-chain triglyceride (MCT) and the core material was watersoluble isoflavone. The microencapsulation efficiency was 70.2% when the ratio (w/w) of coating material to core material was 15:1. The isoflavone release from the microcapsules was 8% after 3-day storage at $4^{\circ}C$. In in vitro study, 4.0-9.3% of water-soluble isoflavone in simulated gastric fluid was released in the pH range of 2 to 5 after 60 min incubation; however, in simulated intestinal fluid at pH 8, 87.6% of isoflavone was released from the capsules after 40 min incubation time. In sensory analysis, the scores of bitterness, astringency, and off-taste in the encapsulated isoflavone-added milk were slightly,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uncapsulated, isoflavone-added milk. In blood analysis,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isoflavone-added group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after 6-week feeding.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e acceptability of MCT as a coating material in the microencapsulation of water-soluble isoflavone for application into milk, although a slight adverse effect was found in terms of sensory attributes. In addition, blood total cholesterol was lowered in rats which had been fed a cholesterol-reduced and microencapsulated, isoflavoneadded milk for 6 weeks.

콩, 두부 및 두부부산물중의 Isoflavone함량 및 항산화효과 (Isoflavone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s, Soybean Curd and their By-Products)

  • 배은아;권태완;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71-375
    • /
    • 1997
  • The content of genistein and daidzein which were known to be major antioxidative compounds in soybeans were detected by $C_{18}$ reverse phase HPLC. Most of isoflavones in soybeans were detected in the methanol extract but much less amount of isoflavones in the water extract. Among the four different kind of soybeans, the isoflavone content was highest in brown soybean, followed by yellow, small black and black soybean, in the order. These isoflavones were known to be soluble in hot water, which means transfer of isoflavone content was highest in brown soybean, followed by yellow, small black and black soybean, in the order. These isoflavones were known to be soluble in hot water, which means transfer of isoflavones in soy curd into whey during soy curd processing. To identify the change of isoflavone content during processing of soybean curd, soybean curd were made from yellow, brown and black soybean and isoflavone content were determined in each soybean curd, curd residue and whey. Most of soflavones were remained in the whey, it means most of useful antioxidative compounds were waste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technology to collect these isoflavones lost during soybean curd processing.

  • PDF

블랙푸드가 첨가된 약콩청국장분말의 영양소 및 생리활성물질 분석 (Analysis of Nutrition and Antioxidants of Yak-Kong Chungkukjang Powder Added Black Foods)

  • 공현주;박현숙;김태훈;신승렬;홍주연;양경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27-1735
    • /
    • 2013
  • 본 연구는 대두청국장분말, 약콩청국장분말, 그리고 흑미, 흑임자, 다시마와 같은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분말의 일반성분과 영양소 및 항산화 물질을 분석 비교하여 향후 알츠하이머성 치매관리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블랙푸드가 첨가된 청국장분말의 in vivo 실험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두와 약콩청국장에 비해서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 수분함량이 높았으며, 유리당 중 sucrose, fructose, glucose, maltose 함량이 높았다. 또한 수용성과 조단백질 함량은 P<0.05 수준에서 약콩청국장과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 높았다.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대두청국장에 비해서 약콩청국장과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 높았다. 무기질 함량은 대두청국장이 가장 높았으나 약콩청국장에서는 Zn, Cr, Mn이,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는 Fe의 함량이 높았다. Isoflavone 중 diadzein 함량은 약콩청국장에서 가장 높았으나, genistein과 anthocyanin 함량은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및 영양적 특성에서 대두청국장에 비해서 블랙푸드로 만든 청국장분말이 유리당과 뇌조직의 구성과 기능에 필요한 수용성 및 단백질 함량과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항산화력으로 보고되고 있는 diadzein, genistein 그리고 anthocyanin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향후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 및 치료기전으로 보고되고 있는 산화적 스트레스조절에 대한 in vivo 실험에 블랙푸드청국장분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발아약콩가루를 첨가한 생면의 제조 및 특성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et Noodle Containing Germinated Small Black Bean Flour)

  • 한성미;한정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97-602
    • /
    • 2011
  • 약콩을 재료로 가장 높은 이소플라본 함량을 갖는 발아조건을 찾고(본 연구에서는 48시간), 발아시킨 약콩을 열처리 하지 않은 군과 20분 끓이기 처리를 한 군으로 나누어 밀가루양의 각 15%, 20%를 대체하여 면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은 수분흡수량이나 부피증가율 및 조리 후 당용출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나 발아콩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수치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았다. 특히 끓인 발아콩가루 15% 첨가군은 당용출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조직감 특성에 있어서, 대조군은 가장 높은 견고성을 나타내었으며 조리 후 1시간 까지 크게 증가함을 보였다. 발아콩 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끓인 콩의 경우 동일비율의 열처리 하지 않은 콩에 비해 상대적으로 견고성의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특히 열처리한 발아콩가루를 15% 수준으로 첨가했을 때 경도는 대조군보다 낮았으나, 탄력성은 대조군보다 높게, 점착성은 대조군보다 낮게 측정되어 바람직한 제면의 특성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15% 발아콩가루 첨가면은 외관상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20% 첨가 면은 색이 짙고 열처리하지 않은 콩가루 첨가면은 콩비린내가 감지되었기 때문에 appearance 와 flavor면에서 낮게 측정되었다.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밀가루만으로 만든 국수보다는 발아콩가루를 넣은 면이 외관, 조직감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선호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특히 열처리한 콩가루 15% 첨가면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X VIII) -다릅나무(Maackia amurensis) 수피의 추출성분의 분리 및 항산화 활성-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 (X VIII) -Isol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emical Constituents from Maackia amurensis-)

  • 김우진;이학주;이상극;강하영;최돈하;최태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35-144
    • /
    • 2007
  • 다릅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95% 에탄올로 추출하고 석유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동결건조시켰다. 디클로로메탄 가용부 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를 Sephadex LH-20과 silica gel 6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TLC로 확인한 후 $^1H-$, $^{13}C-NMR$, COSY, NOESY, HMQC, HMBC 등의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한 구조를 구명하였고, FAB 및 EI-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기기분석 결과, 7-O-$\beta$-D-glucopyranosyl-4'-methoxyisoflavone, 7-O-$\beta$-glucopyranosyl(1'''->6'')-$\beta$-D-glucopyranosyl-4'-methoxyisoflavone, 7-O-$\beta$-D-glucopyranosyl(1''''->6''')-$\beta$-D-glucopyranosyl(1'''->6'')-$\beta$-D-glucopyransoyl-4'-methoxyisoflavone, 7-O-$\beta$-D-glucopyranosyl-4', 6-dimethoxyisoflavone으로 각각 동정하였다. 단리 물질의 항산화 활성은 DPPH법에 의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alpha$-tocopherol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BHT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1O_2$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있어서 대두의 아이소플라본인 제니스테인의 보호작용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 박수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10-518
    • /
    • 2003
  •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세포 구성 성분들을 손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피부 광노화 및 발암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두(Glycine max MERRILL)의 성분인 genistein(4',5,7-trihydroxyisoflavone)을 포함하는 몇 가지 천연 황산화제들에 대하여 로즈벵갈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Genistein$(10-100\;{\mu}M)$은 농도-의존적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그리고 지질 과산화 연쇄반응의 차단제인 ${\alpha}$-tocopherol보다도 더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Genitein의 배당체인 genistin, 소용성 항산화제인 L-ascorbate, 철-킬레이트제인 sodium phytate는 광용혈에 대하여 보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오히려 보다 높은 농도$(500\;{\mu}M)$에서는 L-ascorbate와 sodium phytate 모두 광용혈을 촉진시켰다. 반면, $^1O_2$ 소광제로 알려진, ${\alpha}$-carotene 3,3'-diol은 현저한 보호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로즈벵갈로 증감된 광용혈에 있어서 $^1O_2$이 중요함을 가리킨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하여,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ROS에 대한 몇가지 천연 항산화제들의 ROS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활성 산소 소거활성$(OSC_{50})$의 크기는 sodium phytate > L-ascorbate>${\alpha}$-tocopherol > genistein > genistin순이었다. Gnistein, genistin, ${\alpha}$-tocopherol, L-ascorbate 및 sodium phytate의 활성산소 소거활성$(OSC_{50})$은 각각 41.0, 109.0, 9.0, 5.2, 및 $0.56{\mu}M$이었다. Free radical 소거활성$(FSC_{50})$의 크기는 L-ascorbate > ${\alpha}$-tocopherol > genistein > genistin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genistein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