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soluble anio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5초

유기성슬러지 먹이공급에 따른 붉은줄지렁이 사육상의 pH, EC, 수용성 이온 농도변화 (Chages in pH, EC and Water Soluble Ions in the Rearing Beds of Eisenia andrei (Ennelida; Oligochaeta) in Relation to the Amount of Sludges Supplied to the Earthworm Populations)

  • 박광일;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3호
    • /
    • pp.79-89
    • /
    • 2017
  • 경기도 포천시 관내 하수 및 인분 처리장들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슬러지를 지렁이 먹이로 공급하였을 때, 지렁이 사육상의 수용성 양이온, 음이온 농도 및 pH, 전기전도도 등의 이화학 성상 변화를 추적하였다. 먹이로 공급된 슬러지의 pH, 전기전도도, 유기물 함량 및 함수율은 지렁이의 단기적 섭식이 가능한 범위였으나, 슬러지의 공급량이 늘어감에 따라 섭식속도가 느려지고 결국 지렁이 사멸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슬러지 공급량이 늘어감에 따라 지렁이 사육상이 산성화되었고, 전기전도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염류집적 현상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동시에 사육상의 수용성 음이온 및 양이온 농도가 높아졌다. 특히 수용성 이온 중 ${NO_3}^-$의 농도 집적이 두드러졌다.

唐津과 安眠島地域 降水 成分의 變化特性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Components in Dangjin and Anmyon-do Area)

  • 정진도;이천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93-601
    • /
    • 2004
  •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compar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cipitation that falls in the Dangjin and Anmyon-do areas by analyzing the water soluble components (anion and cation). We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seasonal change and regional difference in those data sets. The [$NO_3\;^- \;+\;SO_4\;^{2-}$] at 49.2${\mu}$eq/l is 67% of the total anion of 73.1${\mu}$eq/l, while that of [$NH_4\;^+\;+\;Ca^{2+}$] at 37.7${\mu}$eq/l is 62% of the cation in Dangjin area. Also, the [$NO_3\;^-\;+\;SO_4\;^{2-}$] concentration of 151.8 (${\mu}$eq/l) is 62% for the total anion of 143.5 (${\mu}$eq/l), and the [$NH_4\;^+\;+\;Ca^{2+}$] concentration of 119.7 (${\mu}$eq/l) is 47% for the cation of 254.3 (${\mu}$eq/l) in Anmyon-do area. The ion composition ratio is shown for the order by 22% of $SO_4\;^{2-}$, 20.8% of $NH_4\;^+$ and 15.4% of $Cl^-$ that is the sum of 58.7% for the total ion composition in Dangjin area, and is the order by 33.8% of $NH_4\;^+$, 16.3% of $SO_4\;^{2-}$ and 11.1% of $Cl^-$ in Anmyon-do area. Furthermore, We predicted that even areas which were previously clean will get acid rain if there is large scale construction there or nearby.

광 조사 및 차단 조건에서의 고기모형 유화물의 지방산화에 미치는 수용성 단백질의 효과 (Effects of Light and Water Soluble Proteins on the Lipid Oxidation of Meat Emulsion Model System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박형일;정명섭;이무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5-399
    • /
    • 1997
  • 본 연구는 염용성단백질과 대두유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기모형유화물의 지방의 산화에 대한 수용성단백질과 빛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5^{\circ}C$에서 8일간 광선의 조사조건 및 광차단 조건하에서 저장하여 POV와 TBA가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유화물 시험구는 모두 네가지로서 염용성단백질로만 제조한 대조구와, 염용성단백질에 수용성단백을 첨가한 WSP시험구, 염용성단백질에 BHA를 첨가한 BHA시험구, 그리고 염용성단백질에 수용성단백질, BHA를 모두 첨가한 BHA+WSP 시험구이었다. 광선 조사 조건하에서 대조구와 BHA를 첨가한 시험구(BHA)간에는 저장 2일째를 제외하고는 저장기간 동안 과산화물가의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BA가는 저장 4일째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BHA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저장 4일째와 8일째부터는 WSP시험구와 WSP+BHA 시험구는 대조구나 BHA 처리구 보다 높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냈다. 이러한 경향은 TBA가 측정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육색소인 myoglobin을 함유하고 있는 수용성단백질이 산화를 촉진하였으나 BHA를 첨가해도 산화를 억제하지 못하였다. 수용성단백질과 BHA를 첨가한 고기모형유화물을 형광 조사가 없는 상태에서 냉장 저장하여 측정한 POV값과 TBA가는 형광 조사 시험구들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광감체나 빛의 조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1}O_{2}$의 생성보다는 육색소가 주요성분인 수용성단백질에 의해 superoxide anion과 같은 활성산소가 생성되어 POV값이나 TBA가를 증가시키는데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냉장저장중 고기모형유화물에서 활성산소의 생성에 관한 연구 (Formation of Active Oxygen in Meat Emulsion System)

  • 박형일;정명섭;이무하;이성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
    • /
    • 2001
  • 수용성 단백질을 첨가한 유화물을 형광 조명하에서 $5^{\circ}C$에서 8일간 저장하였을 때 POV(Peroxide value) 값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저장 초기에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고 TBA(Thiobarbituric acid) 값의 변화에서도 저장 4일까지 상당량의 카르보닐 화합물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일반적인 지방의 자동산화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고 대두유 같은 유지에서 저장 초기에 나타나는 변향의 발생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육색소인 myoglobin에 의한 산화로 사료되며 superoxide anion보다는 일중항 산소에 의한 산화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빛을 차단하였을 때에도 전체적인 양상을 비슷했지만 산화생성물의 생성량이 빛을 쪼였을 때보다 약간 적었고 일중항 산소의 효과도 두드러지지 않았으며 유화물 제조과정 중에 생성된 일중항 산소가 저장 초기의 변향에 관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용성 단백질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과산화물의 생성량이 지속적인 증가를 나타내서 수용성 단백질 처리구와 차이를 보였는데 과산화물의 분해속도가 수용성 단백질 처리구에 비해 작은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저장 4일 이후에 카르보닐 화합물의 생성속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중에 일중항 산소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두유의 탈색과정에서 잔존하였을 식물성 감광체가 원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빛을 차단하였을 때에는 저장 초기의 산화생성물 발생량이 빛을 쪼였을 때보다 미미했고 소거제 처리에 대한 효과도 드러나지 않아서 지질의 산화에 대한 빛의 촉진효과를 나타내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an Automated Diffusion Scrubber-Conductometry System for Measuring Atmospheric Ammonia

  • Lee, Bo-Kyoung;Lee, Chong-Keun;Lee, Dong-S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6호
    • /
    • pp.2039-2044
    • /
    • 2011
  • A semi-continuous and automated method for quantifying atmospheric ammonia at the parts per billion level has been developed. The instrument consists of a high efficiency diffusion scrubber, an electrolytic on-line anion exchange device, and a conductivity detector. Water soluble gases in sampled air diffuse through the porous membrane and are absorbed in an absorbing solution. Interferences are eliminated by using an anion exchange devise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olution is measured without chromatographic separation. The collection efficiency was over 99%. Over the 0-200 ppbv concentration range, the calibration was linear with $r^2$ = 0.99. The lower limit of detection was 0.09 ppbv. A parallel analysis of Seoul air over several days using this method and a diffusion scrubber coupled to an ion chromatography system showed acceptable agreement, $r^2$ = 0.940 (n = 686). This method can be applied for ambient air monitoring of ammonia.

Novel Synthesis of Hydrophilic Dipolar Chromophores using Dendronized Sulfonates

  • Kim, Mi-Rae;Maheswara, Muchchintala;Do, Jung-Y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2호
    • /
    • pp.664-672
    • /
    • 2011
  • A series of hydrophilic chromophores was synthesized through introduction of dendritic sulfonate anions using click chemistry. A dendron structure bearing several sulfonate groups enhances hydrophilicity of attached chromophores. A click triazole formation connects chromophores with hydrophilic groups. A neutral trichloroethyl sulfonate has versatile features such as easy introduction, chemical endurance for isolation or storage, and convenient transformation to a hydrophilic anion. Zinc and OH mediated cleavage of trichloroethyl group from the neutral sulfonate undergoes to generate a water-soluble sulfonate anion. The solubility was examined with different counter cations and in different pH media and thus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attached sulfonate ion. Two hydrophilic chromophores of stilbene-derived and azobenzene-derived dipolar structures exhibit clear negative and positive solvatochromism in protic solvents, respectively.

Quantification of Inulo-oligosaccharides Using High pH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with Pulsed Amperometric Detector (HPAEC-PAD)

  • Kang, Su-Il;Chang, Yung-Jin;Kim, Kyoung-Yun;Kim, Su-Il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166-168
    • /
    • 1999
  • Inulo-oligosaccharides (IOS, $F_n$, n=2-6) were purified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water-soluble extract of Jerusalem artichoke tubers. Quantification of inulo-oligosaccharides was done using high pH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with pulsed amperometric detector (HPAEC-PAD) at the concentration range of 10-100 mg/L, which was compared with that of fructo-oligosaccharides (FOS, $GF_n$, n=1-7). Peak areas per mg IOS were higher than FOS at the same degree of polymerization (DP). Specific peak areas of IOS increased proportionally as DP increased up to six, in contrast to FOS showing no linearity.

  • PDF

부산 지역 연무 발생일의 미세먼지 중 금속과 이온 성분 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Metallic and Ionic Concentration in Fine Particle during Haze Days in Busan)

  • 전병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67-778
    • /
    • 2017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metallic and ionic elements in $PM_{10}$ and $PM_{2.5}$ on haze day and non-haze day in Busan. $PM_{10}$ concentration on haze day and non-haze day were 85.75 and $33.52{\mu}g/m^3$, respectively, and $PM_{2.5}$ on haze day and non-haze day were 68.24 and $23.86{\mu}g/m^3$, respectively. Contribution rate of total inorganic water-soluble ion to $PM_{10}$ mass on haze day and non haze day were 58.2% and 61.5%, respectively, and contribution rate of total water-soluble ion to $PM_{2.5}$ mass on haze day and non haze day were 58.7% and 64.7%, respectively. Also, contribution rate of secondary ion to $PM_{10}$ mass on haze day and non haze day were 52.1% and 47.5%, respectively, and contribution rate of secondary ion to $PM_{2.5}$ mass on haze day and non haze day were 54.4% and 53.6%, respectively. AC (anion equivalents)/CE (cation equivalents) ratio of $PM_{10}$ mass on haze day and non haze day were 1.09 and 1.0, respectively, and AC/CE ratios of $PM_{2.5}$ mass on haze day and non haze day were 1.12 and 1.04, respectively. Also, SOR (Sulfur Oxidation Ratio) of $PM_{10}$ mass on haze day and non haze day were 0.32 and 0.17, respectively, and SOR of $PM_{2.5}$ on haze day and non haze day were 0.30 and 0.15, respectively. Lastly, NOR (Nitrogen Oxidation Ratio) of $PM_{10}$ on haze day and non haze day were 0.17 and 0.08, respectively, and NOR of $PM_{2.5}$ on haze day and non haze day were 0.13 and 0.06, respectively.

우분퇴비 처리에 따른 다층구조 토양내 음이온의 용출특성 변화 (Elution Patterns of Anions in Multi-layered Soils amended with Cow Manure Compost)

  • 김필주;정덕영;이병열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5-33
    • /
    • 1997
  • 비점오염원으로 토양과 수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우분퇴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에 연결한 다층토양칼럼을 가지고 음이온의 토양으로부터 용출경향을 조사하였다. 상부 칼럼은 건조 우분 퇴비를 0, 2,4, 6%의 비율로 Ap토양에 처리한후 균일하게 채웠고 하부칼럼은 15, 30, 45cm의 길이의 아크릴칼럼에 B층 토양을 용적비중 1.3g/$\textrm{cm}^3$으로 채운 후 결합하였다. 이렇게 조합된 칼럼을 충분히 포화시킨 후 증류수를 칼럼의 상부에서 일정 수두높이를 유지하면서 칼럼의 하부에서 수집되는 용출수의 수리전도도와 용출된 음이온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상부와 하부의 각각의 수리전도도는 3$\times$$10^{-4}$cm/sec 와 1.6$\times$$10^{-3}$cm/sec 이었고 비특정흡착특성을 지니는 대부분의 수용성 염소와 황산이온은 90%가 0.2 공극수량에서 그리고 대부분의 음이온은 1 공극수량이내에 용출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이들 이온이 토양에 가해진 유기물에 의해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이들 음이온이 통과하는 토양의 깊이도 이들 음이온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특정과 특정 모두의 흡착특성을 가지는 황산이온의 경우 용출곡선이 오른쪽으로 약간 이동하여 용출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인산이온의 경우 조사된 5 공극수량 이내에서 전혀 용출되지 않았다.

  • PDF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atic Digests from Fresh Water Microalgae, Pediastrum duplex and Dactylococcopsis fascicularis

  • Lee, Seung-Hong;Kim, Areum-Daseul;Kang, Min-Cheol;Lee, Joon-Baek;Jeon, You-Jin
    • ALGAE
    • /
    • 제24권3호
    • /
    • pp.169-177
    • /
    • 2009
  • In this study, we focused on natural water-soluble antioxidants from fresh water microalgae, Pediastrum duplex and Dactylococcopsis fascicularis from Jeju Island, Korea. They were prepared by enzymatic digestion using five carbohydrases (Viscozyme, Celluclast, AMG, Termamyl and Ultraflo) and five proteases (Protamex, Kojizyme, Neutrase, Flavourzyme and Alcalase), and the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y of each was assessed. All enzymatic digests from P. duplex showed significant DPPH scavenging effects. Termamyl (60.6%) digest from P. duplex possessed the highest effects on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Celluclast (58.1%) and Kojizyme digests (56.9%) from D. fascicularis possessed higher effects on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ll enzymatic digests exhibite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NO· scavenging and metal chelating. Lipid peroxidation was significantly in inhibited Viscozyme, Termamyl and Kojizyme digests from P. duplex and Ultraflo, Protamex, Kojizyme and Alcalase digests from D. fascicularis. These data suggest that enzymatic digests of the fresh water microalgae, P. duplex and D. fascicularis might be valuable sources of antioxidant which can be applied in food and pharmaceutical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