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ater-2-butanol

Search Result 49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청갓과 청갓김치의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Fractions Extracted from Mustard Leaf (Brassica juncea) and Their Kimchi)

  • Kim, Jae-I;Park, Jae-Sue;Kim, Woo-Seong;Woo, Kang-Lyung;Jeon, Jung-Tae;Min, Byung-Tae;Cheigh, Hong-Sik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86-290
    • /
    • 2004
  • 동결건조한 청갓과 담금당일 청갓김치, 15$^{\circ}C$에서 5일간 발효시킨 청갓 김치로부터 극성이 다른 용매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고 methanol(MeOH), hexane(C$_{6}$ $H_{14}$), dichlorometane(C $H_2$Cl$_2$), ethyl acetate(EtOAc), butanol(BuOH), water($H_2O$)의 각각의 용매분획별(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ssay에 의한 항산화성을 측정하였고 항산화효과를 상호 비교하였다. 청갓과 담금당일 청갓 김치에서 EtOAc와 n-BuOH에서 얻은 분획층이 다른 분획층보다 항상화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15$^{\circ}C$ 5일간 발효시킨 청갓 김치에서는 C $H_2$Cl$_2$와 EtOAc분획층이 다른 분획층에 비하여 radical scavenger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의 차이는 다양한 재료에 의한 발효공정에 기인된다고 판단된다.

왕산방풍의 잎과 뿌리의 유기용매 분획물에서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Organic Solvent Fractions of Leaf and Root Extracts of Peucedanum insolens Kitagawa)

  • 오명석;나란투야 난딘셋세그;박찬주;남길수;조식제;문자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8-148
    • /
    • 2023
  • 본 연구는 Peucedanum insolens Kitagawa의 잎과 뿌리에서 추출한 용매 분획물들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P. insolens Kitagawa의 건조된 잎과 뿌리를 각각 70% 에탄올로 먼저 추출한 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물의 순서로 분획하였다. 실험 결과 유기용매 분획별 총 폴리페놀 함량은 P. insolens Kitagawa의 잎과 뿌리 모두에서 동일한 분포 양상을 보였다. 유기용매 분획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101.1±1.0 ㎍ vs 128.8±15.6 ㎍ GAE/m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헥산 분획에서 가장 낮은 함량(9.51±0.2 ㎍ vs 6.8±0.8 ㎍ GAE/mg)을 보였다. P. insolens Kitagawa의 잎과 뿌리 모두에서 유기용매 분획에 의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포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P. insolens Kitagawa 잎과 뿌리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DPPH, ABTS, FRAP assay를 통해 활성산소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잎과 뿌리 추출물에서도 동일한 패턴으로 활성산소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유기용매 분획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가장 높은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P. insolens Kitagawa의 잎과 뿌리의 유기용매 분획물에서 총 페놀 함량과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사이에 유의한 상관 관계(R=0.903, p<0.0001, DPPH 라디칼, R=0.891, p<0.001, ABTS 라디칼, R=0.745, p<0.05, FRAP 라디칼)와 P. insolens Kitagawa의 잎 또는 뿌리의 용매 분획물에서 DPPH, ABTS 및 FRAP assay들 사이에서도 중요한 상관관계(R=0.867, p<0.001, DPPH vs ABTS 라디칼, R=0.882, p<0.0001, DPPH vs FRAP 라디칼, R=0.973, p<0.0001, ABTS vs FRAP 라디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얻은 결론은 왕산방풍 식물의 뿌리에서와 마찬가지로 왕산방풍의 잎에서도 강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잎을 주요 항산화 물질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일당귀 n-hexane분획이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의 항산화계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Hexane Fraction of Angelica acutiloba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i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of rats)

  • 추명희;최현숙;서영남;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64-372
    • /
    • 2004
  • 일당귀의 n-hexane분획이 횐쥐에서 에탄올투여로 생성된oxygen free radical대사와 지질과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을검토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정상군, 일당귀 n-hexane 분획70 mg/kg투여군, 알코올투여군(35$\%$ ethanol 10 mL/kg, b.w./day), 알코올(35$\%$ ethanol 10 mL/kg, b.w./day) 및 일당귀 n-hexane 분획 70 mg/kg 병합투여군과 알코올(35$\%$ ethanol 10mL/kg, b.w./day) 및 일당귀 n-hexane 분획 140 mL/kg 병합투여군의 5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여 체중증가율, 식이효율 및 혈청중 ALT, AST 측정과 간손상 억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간조직중 유리기 생성계 효소인 XO활성, 유리기해독계 효소인 SOD, calaase 및 GSH-Px활성과 지질과산화물인 TBARS 및 GSH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분획의 항산화력은 n-hexane, ethylacetate, chloroform,n-butanol 및 water 분획순으로, n-hexane 분획의 항산화력이가장 우수하였다. 6주간의 체중증가율과 식이효율은 알코올투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저하되었으나 일당귀 n-hexane 분획투여로 정상군에 근접하게 상승되었고, 알코올투여로 상승된ALT 및 AST활성도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간 조직중 XO활성은 알코올투여로 정상군보다 상승되었으며 일당귀 n-hexane 분획 투여로 저하는 되었지만 유의성 있는 변화는 아니었다. 알코을 투여로 상승된 SOD활성은일당귀 n-hexane 분획 투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나 catalase와 GSH-Px활성은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TBA 반응성 산물량은 정상군과 일당귀 n-hexane 분획 투여군간에 차이는 없었고 알코올투여로 정상군보다 많은 증가를 나타냈으나 일당귀 n-hexane 분획투여로 정상군에 근접하게 감소되었다. 알코올투여로 감소된 GSH 함량은 일당귀 n-hexane분획을 투여하여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일당귀의 항산화작용은 유리기 해독계 효소인 SOD활성억제와 비효소적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GSH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지질과산화물에 대한 방어력이 증강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어지며, 또한 혈청중 ALT 및AST활성을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므로써 일당귀가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농용(農用) 디이젤 엔진 연료(燃料)로서의 에타놀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Technical Feasibility of Ethanol as a Fuel for Farm Diesel Engines)

  • 유관희;배영환;유수남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6권2호
    • /
    • pp.1-8
    • /
    • 198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technical feasibility of ethanol-diesel fuel blends as a diesel engine fuel. Fuel properties essential to the proper operation of a diesel engine were determined for blends containing several concentrations of ethanol in No. 2 diesel fuel. A single-cylinder diesel engine for a power tiller was used for the engine tests, in which load, speed and fuel consumption rate were measured. The fuels used in tests were No. 2 diesel fuel and a blend containing 10-percent ethanol and 90-percent No. 2 diesel fu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not possible to blend ethanol and No. 2 diesel fuel as a homogeneous solution even though anhydrous ethanol was used. The problem of blending ethanol in No. 2 diesel fuel could be solved by adding butanol about 5% of the amount of ethanol in the blends. 2. Because ethanol had a much lower boiling point ($78.3^{\circ}C$ under atmospheric pressure) than a diesel fuel, it was necessary to store ethanol-diesel fuel blends airtight in order to prevent them from evaporation losses of ethanol. 3. The addition of ethanol to No. 2 diesel fuel lowered the fuel viscosity and the cetane rating, but a blend of 10% ethanol and 90% diesel fuel had a viscosity and a cetane rating well above the KS minimum values for No. 2 diesel fuel. 4. At the rated speed, the specific fuel consumption of No.2 diesel fuel was lower than that of the 10% ethanol blend for the almost entire range of load. However, under the overload condition the specific fuel consumption was lower for the 10% ethanol blend. 5. Under the variable-speed full-load tests, both fuels produced approximately the same torque and power. At the speeds of 1600rpm or below, the specific fuel consumption of No. 2 diesel fuel was lower than that of the 10% ethanol blend. At the speeds of 1600rpm or above, however, the specific fuel consumption was lower for the 10% ethanol blend. 6. At the ambient temperature above $15^{\circ}C$, the use of the 10% ethanol blend in the engine created a vapor lock in the fuel injection pump and stalled the engine. The vapor locking problem was overcome by chilling the surroundings of the fuel injection pump and the cylinder head with water.

  • PDF

홍경천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Extract)

  • 최승필;이득식;함승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1-216
    • /
    • 2003
  • 홍경천 뿌리의 에탄을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14.3 $\mu\textrm{g}$/DL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직접 변이원인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홍경천 뿌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2000g/p1ale)에서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89.1%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NQO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S. typhimurium TA98 균주와 TA100균주에 대해서 동일 시료농도에서 각각 89.7%와 91.5% 로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B( u )P에 대한 억 제효과에서는 TA98, TA100 두 균주에 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각각 94.2%와 95.7%로 다른 분획물 보다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n-P-1에 대해서 는 두 균주가 각각 92.3%와 93.8%로 다른 분획물 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억 제 효과를 검토한 실험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농도의 증가와 함께 억제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시료농도 1 mg/CL에서 A549가 90.5%, HepG2가 81.5%, AGS가 92..2% 그리고 MCF-7이 82.6%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Meloidogyne incognita에 살선충활성을 보이는 신규 Streptomyces netropsis의 살선충 특성 규명 (Characterization of Streptomyces netropsis Showing a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 장자영;최용호;주윤정;김헌;최경자;장경수;김창진;차병진;박해웅;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21권2호
    • /
    • pp.50-57
    • /
    • 2015
  • 효과적으로 선충 방제에 사용되던 토양훈증제 methyl bromide와 비훈중제 농약이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사용이 금지됨에 따라 선충의 방제는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생물 기반의 살선충제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화학적 농약의 대안으로서 방선균을 이용한 살선충제 개발을 목적으로 2,700개의 토양방선균 배양액의 50% 메탄올 추출액의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스크리닝하였다. AN110065 균주는 배양액 10%에 해당하는 50% 메탄올 추출액 20% 처리 1일 후 78.9%의 치사 활성을 보였으며, 처리 3일 후 94.1%의 살선충 활성을 보였다. 선발 균주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위해 16S rRNA sequencing 분석을 수행한 결과 S. netropsis와 99.78%의 상동성을 보였다. S. netropsis AN110065 배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하여 용매 분획하여 에틸 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물 추출물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조사한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의 $1000{\mu}g/ml$농도에서 83.5%로서 가장 우수한 살선충 활성을 보였다. AN110065 배양액의 토마토작물에 대한 뿌리혹선충병 방제 활성을 조사한 결과 10배 희석액 처리구에서 눈에 띄게 뿌리혹형성을 저해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AN110065 균주는 유기농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 제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등골나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Eupatorium japonicum)

  • 이한나;임도영;임순성;김종대;윤정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5-71
    • /
    • 2011
  • 등골나물(Eupatorium japonicum)은 식용으로 이용되어온 식물이지만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등골나물 에탄올추출물이 쥐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 LPS로 유도된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등골나물 꽃 부분에 70% 에탄올을 가하여 얻은 등골나물 에탄올추출물(EJE)을 Raw264.7 세포에 LPS와 함께 0, 1, 2.5, 5, 10 mg/L로 처리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LPS에 의해 생성된 NO 및 $PGE_2$ 분비는 EJE를 처리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이 결과는 EJE의 독성에 의한 것이 아님이 증명되었다. Raw264.7 세포에 LPS에 의해 생성된 iNOS, COX-2의 단백질과 mRNA의 발현이 EJE의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으며, 염증 반응시 생성되는 IL-6, IL-${\beta}$, TNF-${\alpha}$의 mRNA 발현도 등골나물 추출물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더욱이 EJE의 분획물 중 EA와 MC 분획물이 독성이 적으면서 효과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O 생성 억제효과가 뛰어난 이들 분획물 내의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등골나물 꽃을 추출물로 항염증효과를 연구한 논문이 없고 다른 식용 가능한 천연재료들의 항염증효과와 비교하여(data not shown) EJE 분획물의 항염증효과가 낮은 농도에서 탁월한 점을 미루어 볼 때, 등골나물 추출물은 상당히 낮은 농도에서 뛰어난 항염증 물질을 가진 단일물질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위의 결과는 등골나물 추출물이 독성과 부작용이 적은 염증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을 제시한다.

쌀보리의 전분지방질에 관한 연구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tarch-Lipid in Naked Barley)

  • 김혜경;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5-520
    • /
    • 1989
  • 쌀보리 전분에서 유리 및 결합지방질을 추출하여 이들을 중성 당 인지방질 등으로 분획, 정량하고 다시 이 분획된 성분들의 구성지방질들을 분별 정량한 다음 각 지방질들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유리지방질에서는 중성 당 인지방질의 함량이 각각 69.9%, 27.3%, 2.8%였고, 결합지방질에서는 $34.9{\sim}54.6%,\;30.0{\sim}45.5%,\;15.4{\sim}19.6%$였다. 중성지방질 성분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트리글리세리드$(70.4{\sim}82.4%)$이었고 이외 유리지방산$(8.4{\sim}26.2%)$ 그리고 소량의 esterified sterol과 free sterol로 구성되어 있었다. 당지방질에서는 $87{\sim}91%$의 monogalactosyl-diglycerides가 주요 성분이었으며 그외 소량의 digalactosyl-diglycerides $(0.8{\sim}4.2%)$, corebrosides$(1.8{\sim}4.4%)$, steryl glycosides$(3.1{\sim}5.9%)$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인지방질 성분에서는 유리, 결합지방질 모두 lysophosphatidyl choline $(26.8{\sim}30.8%)$과 diphosphatidyl glycerols $(33.6{\sim}40.4%)$의 함량이 많았으며, 그외 $12.1{\sim}21.2%$의 phosphatidyl choline & phosphatidyl serine, $7.1{\sim}9.9%$의 phosphatidyl glycerol로 구성되어 있었다. 중성지방질의 주요 지방산은 팔미트산$(15.2{\sim}47.3%)$, 리놀레산$(23.0{\sim}68.3%)$였으며 당지방질에서도 대부분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팔미트산$(22.7{\sim}39.8%)$과 리놀레산$(30.2{\sim}63.1%)$이었다. 특히 당지방질의 유리지방질에서는 결합지방질에 비해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의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인지방질의 지방산 조성도 함량면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대부분 팔미트산과 리놀레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큰포식세포에서 퉁퉁마디 추출물의 아라키돈산 대사효소조절 및 항염증 활성 (Modulation of arachidonic acid metabolism and inflammatory process in macrophages by different solvent fraction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

  • 강스미;최유미;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71-679
    • /
    • 2018
  • 퉁퉁마디는 식용 염생식물로서 이에 대한 유용 기능성 탐색 및 생리활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 70% 메탄올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분획하여 얻은 Fr.H, Fr.E, Fr.EA, Fr.B 및 Fr.W의 5분획의 NO제거 및 iNOS 발현, 아라키돈산 대사에 관련된 효소 $cPLA_2$, COX-2, 5-LOX 등의 발현과 활성화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항염작용과 메커니즘을 검토하였다. 이 중 Fr.EA가 가장 높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을 나타내었고 nitrite/아질산의 제거에 있어서도 가장 뛰어난 활성을 보였다. 하지만 LPS로 자극한 RAW264.7 큰포식세포 배양계에서는 Fr.E가 가장 우수한 NO 제거활성과 iNOS발현억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어 Fr.H와 Fr.EA의 활성 순을 나타냈다. Fr.E는 또한 LPS로 자극한 RAW264.7 배양 세포계에서 $cPLA_2$와 COX-2의 발현억제에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억제를 위한 $IC_{50}$는 각각 33.4과 $27.9{\mu}g/mL$로 나타났다. Fr.E는 $cPLA_2$의 활성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ERK1/2의 인산화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Fr.H와 Fr.EA도 $80{\mu}g/mL$ 이하 농도에서 iNOS와 아라키돈산 대사효소들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하지만 가장 극성 분획인 Fr.W는 모든 활성평가 시스템에서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퉁퉁마디가 iNOS와 아라키돈산 대사효소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항염증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으며, 특히 Fr.E와 Fr.H와 같은 소수성 분획들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어 향후 이를 타깃으로 하는 관련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올벚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효능 및 유효성분 규명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s of Prunus pendula for. ascendens (Makino) Ohwi Leaves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Constituents)

  • 홍혜진;고하나;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7-129
    • /
    • 2019
  • 올벚나무 잎 추출물을 제조하고 LPS로 자극시킨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항염 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물 및 분획물(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및 water)에 대하여 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100{\mu}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이 세포독성 없이 76.3%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EtOAc 분획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항염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기전 연구를 진행한 결과, EtOAc 분획물이 $PGE_2$, $IL-1{\beta}$ 및 IL-6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EtOAc분획물에서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진행하였으며 5개의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ursolic acid (1), prunasin (2), methyl p-coumarate (3), kaempferol (4), astragalin (5). 분리된 compound 1 - 5는 모두 올벚나무 잎에서 처음 분리된 물질이다. 분리된 화합물을 대상으로 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플라보노이드 compound 4와 5가 NO 생성을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플라보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올벚나무 잎은 항염 효과를 갖는 천연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