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surface fluctuation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7초

Nonlinear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of the Korea Precipitaiton with Sea Surface Temperature near East Asia

  • 김광섭;순밍동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20-1624
    • /
    • 2010
  • The NLCCA has been applied to analyze the East Asia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Korea monthly precipitation, where the eight leading PCs of the SST and the eight PCs of the precipitation during 1973-2007 were inputs to an NLCCA model. The first NLCCA mode is plotted in the PC spaces of the Korea precipitation and the world SST present a curve linking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hree leading PCs of Korea precipitation and world SST forthrigh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anonical variate time series u and v is 0.8538 for the first NLCCA mode. And there are some areas' climate variability have higher relationship with Korea precipitation, especially focus on the north of East Sea' climate variability have represented the higher canonical correlation with Korea precipitation,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0.871 and 0.838. Likewise in Korea, most stations display similarly uniform distributing characteristic and less difference, in particular the inshore stations have display identical distributing characteristic. In correlation variables' scores, the fluctuation and variation trend are also seasonal oscillation with high frequency.

  • PDF

취수문비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of Intake gate in a Dam)

  • 곽영균;고성호;강민구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46-51
    • /
    • 2008
  • A stability analysis has been made for a newly designed gate of intake tower of reservoir. The analysis is composed of finding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gate and the frequency induced by water flowing over and through the gate. ANSYS is employed to calculate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gate and SC/Tetra is utilized for calculating flow field around the gate, which in turn gives the frequency of pressure force fluctuation on the gate. In addition to the safety analysis, the present study presents how the gate selectively intakes a muddy water layer located in the middle depth of reservoir.

Water-spliting on ultrathin MgO(100) film on Ag(100)

  • 조성범;조준형;정용재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17-317
    • /
    • 2011
  • Water dissociation on oxide surface has been researched in many fields because of its importance as fundamental phenomenas. MgO(001) is a good model system to understand heterogeneous catalysis, gas sensors, ground-water contaminants, and atmosphere chemistry. Over decades, ultrathin film of MgO on Ag(100) have attracted research activities thanks to its enhanced catalytic property. Correlation of the oxide and the metal, potential screening, charge fluctuation from interface reconstruction makes different energetics of hydroxylation of waters on film. We calculate the water-spliting energetics under the vacuum system.

  • PDF

Field investigations on port non-tranquility caused by infra-gravity water waves

  • Najafi-Jilani, A.;Rahimi-Maleki, D.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2권1호
    • /
    • pp.34-38
    • /
    • 2010
  • Field investigations have been carried out in two 60-day stages on the surf beat low frequency waves in Anzali port, one of the main commercial ports in Iran, located in southwest coast of the Caspian Sea. The characteristics of significant water waves were measured at three metering stations in the sea, one at the entrance of the port and three in the basin. The measured data were inspected to investigate the surf beat negative effects on the tranquility of the port. Using field measurements and complementary numerical modeling, the response of the basin to the infra-gravity long waves was inspected for a range of wave frequencies. It was concluded that the water surface fluctuations in the port is strongly related to the incident wave period. The long waves with periods of about 45s were recognized as the worst cases for water surfaceperturbation in the port. For wave periods higher than the mentioned range, the order of fluctuation was generally low.

금강-보령댐 도수터널 운영에 따른 금강 본류 내 수위 영향 분석 연구 (Impacts on Water Surface Level of the Geum River with the Diversion Tunnel Operation for Low Flow Augmentation of the Boryong Dam)

  • 장석환;오경두;오지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31-1043
    • /
    • 2017
  • Recently severe drought caused the water shortage around the western part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South Korea. A Diversion tunnel from the Geum river to the Boryong dam, which is the water supply dam for these areas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examined hydraulic impacts on the Geum river associated with the diversion plan assuming the severe drought condition of 2015 would persist for the simulation period of 2016. The hydraulic simulation model was verified using hydrologic and hydraulic data including hourly discharges of the Geum river and its 8 tributaries, fluctuation of tidal level at the mouth of the river, withdrawals and return flows and operation records of the Geum river barrage since Feb. 1, 2015 through May 31, 2015. For the upstream boundary condition of the Geum river predicted inflow series using the nonlinear regression equation for 2015 discharge data was used.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s of uncertainty in inflow prediction to the results total four inflow series consisting of upper limit flow, expected flow, lower limit flow and instream flow were used to examine hydraulic impacts of the diversion plan. The simulation showed that in cases of upper limit and expected flows there would be no problem in taking water from the Geum river mouth with a minimum water surface level of EL(+) 1.44 m. Meanwhile, the simulation also showed that in cases of lower limit flow and instream flow there would be some problems not only in taking water for water supply from the mouth of the Geum river but also operating the diversion facility itself with minimum water surface levels of EL(+) 0.94, 0.72, 0.43, and 0.14 m for the lower limit flow without/with diversion and the instream flow without/with diversion, respectively.

우리나라 남부해안 기후의 특성과 해면수온과의 관계 (Sea Surface Temperatur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Coastal Climat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한영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7권2호
    • /
    • pp.65-69
    • /
    • 1981
  • 우리나라 남부해안기후의 특성과 수온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해안지방인 부산, 여수, 목포를 준표준 내륙지방으로 광주와 대구, 인근 해양의 가덕도, 소리도, 홍도의 수온을 선정하여 20년 간(1960~1979)의 관측자료로서 기온, 습도, 강수량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해안지방(부산, 여수, 목포)은 해양의 영향으로 내륙지방(대구, 광주)보다 기온의 연교차가 적고 기온이 수온보다 높을 때는 내륙지방이 해안지방의 기온보다 높고, 수온이 기온보다 높을 때는 내륙지방이 해안지방보다 낮다. 2) 수온과 기온의 차에 따라서 내륙지방과 해안지방의 기온차가 결정되며(상관계수 0.9이상) 그 양적 예측도 상관관계식을 활용함으로써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3)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의 습도의 차이도 기온의 경우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목포는 지형적인 영향으로 다른 해안지방과 다르게 나타났다. 4) 수온과 기온의 차이에 따라서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의 습도의 차이가 결정된다(상관계수 0.9이상, 목포제외), 그러므로 그 양적 해석도 가능하다. 5) 남해안지방의 강수량은 내륙지방과 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 PDF

해안대수층에서 지하수-지표수 상호작용에 의한 지하수위 변화 (Water-Level Fluctuation due to Groundwater-Surface Water Interaction in Coastal Aquifers)

  • 김구영;이철우;김용제;김태희;우남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4호
    • /
    • pp.32-41
    • /
    • 2004
  • 조석의 효과가 대수층에 미치는 해안대수층에서 지하수-지표수 상호작용에 관한 모사를 위해 수치모델링을 이용하였다. 모사에 사용한 모델은 하천경계와 해안경계가 서로 직교하며 하천은 대수층을 부분관통하고 있다. 해안경계와 하천경계에 의한 영향을 각각 살펴보고 두 경계조건에 의한 동시효과를 함께 모사하였다. 모사기간동안 해안경계에 의한 영향은 일정한 범위까지만 나타났으나, 하천경계에 의한 영향은 시간의 증가에 따라 영향범위가 넓어졌다. 하천경계와 해안경계조건이 만나는 부근에서는 해안경계에 의한 지하수위의 반복적인 상승과 하강으로 인해 두 경계조건에 의한 지하수위가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키기도 하고 상호 상쇄되어 지하수위의 변화가 없는 영역이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하천과 해안경계조건이 상호 교차하는 주변 대수층에서의 수위를 측정하여 해안대수층에서의 수리상수를 추정하면 수리확산계수를 과대 혹은 과소평가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하천바닥의 컨덕턴스(conductance)와 하천의 폭이 주변 대수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입력인자를 변화시키며 모사한 결과, 하천폭의 증가에 의한 주변 대수층에서의 지하수위 변화는 하천바닥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하천바닥 전체에서 대수층으로 유동하는 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제주도 한림 연안 정치망어장의 환경특성과 어획량변동에 관한 연구 I. 수온 및 염분특성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Catch Fluctuations of Set Net Ground in the Coastal Water of Hanlim in Cheju Island I. Propertie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 김준택;정동근;노홍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59-868
    • /
    • 1998
  • 제주도 서부 연안역인 한림 정치망어장의 해황특성 (수온 및 염분분포)을 규명하기 위해 1995년과 1996년에 실시한 정선조사의 수온 및 염분자료를 검토$\cdot$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주도 서부연안역중 해안에서 2$\~$3mile 떨어진 외측 (Sta. 1, 2)은 11월부터 익년 5월까지는 제주도 서쪽해역에 출현하는 대마난류수의 주류부가 통과하여 $14^{\circ}C$ 이상의 고수온과 $34.40\%_{\circ}\~34.60\%_{\circ}$의 고염분이 표층부터 저층까지 균질하게 분포하지만 6월부터 10월까지는 제주해역에 저염분수인 중국대륙연안수가 출현하여 표층은 고수은, 저염분수가 되고 중$\cdot$저층은 $11^{\circ}C\~14^{\circ}C$의 저수온, $33.50\%_{\circ}$ 이상의 고염분이 유지되므로 심한 수온 및 염분약층이 나타는데 반해 이 해역은 해쳐 중앙역보다 표층은 수온이 낮고 염분은 높으며 저층은 수온이 높고 염분이 낮은 조석전선역의 수온 및 염분분포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년중 표층수온은 $14^{\circ}C\~23^{\circ}C$ 염분은 $36.60\%_{\circ}\~34.60\%_{\circ}$로 수온의 년교차는 $9^{\circ}C$, 염분의 년교차는 $4.00\%_{\circ}$ 정도로 연안역임에도 불구하고 제주해협 중앙부의 년교차($14^{\circ}C\~20^{\circ}C$, $4.00\%_{\circ}\~10.40\%_{\circ}$)보다 매우 작다. 저층수온은 년중 $14^{\circ}C\~20^{\circ}C$의 범위로 수온 변화폭이 작고 제주해협 서쪽입구에 출현하는 $11^{\circ}C\~13^{\circ}C$의 저온수도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저층 염분은 1995년에 $33.60\%_{\circ}\~34.40\%_{\circ}$이지만 1996년의 경우는 6월부터 표$\cdot$저층 모두 현저하게 염분이 저하하여 전층이 $32.00\%_{\circ}$ 이하의 저염분수가 출현하고 있어 이 해역의 동계의 해황은 년별 변화가 적지만 하계에는 중국대륙연안수의 영향, 즉 양자강수의 년별 유출량 변화에 따라 해황의 년별 변화가 심한 해역이 다. 2. 해안에서 2mile 이내의 제주도 서부 연안역은 하계의 경우 조류에 의한 연직혼합으로 표층 저온수, 국지적인 와, 수온, 염분전선 등이 나타나 비교적 복잡한 해황이 출현하며, 특히 비양도 주변 해역의 저층수는 수심변화와 더불어 수온$\cdot$염분이 변해 10m미만의 천소에서 50m의 심소 사이에는 심한 수온$\cdot$염분전선이 형성되고, 월령리와 금릉리 사이에는 고온$\cdot$저염분수인 외측의 표층수가 연안 가까이까지 침입하므로 이 연안에서 비양도를 잇는 선을 중심으로 수온$\cdot$염분전선이 형성된다. 또, 수심 l0m이하의 연안 천소라 할지 라도 저층수는 표층수보다 수온은 $2^{\circ}C\~4^{\circ}C$ 낮고 염분은 $0.02\%_{\circ}\~0.08\%_{\circ}$정도 높다.

  • PDF

여수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항 변동에 관한 연구 (Environmental Factors and Catch Fluctuation of Set-Net Ground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 김동수;노홍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9권1호
    • /
    • pp.1-10
    • /
    • 1993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of set net grounds loc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oceanographic observations on the fishing grounds were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of Yeosu Fisheries University from Jun. 1988 to Dec. 1990. The resulte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water mass in the fishing grounds were divided into the inner water (29.50-31.00$\textperthousand$), the mixed water (31.10-32.70$\textperthousand$) and the offshore water (32.70-34.30$\textperthousan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alinity from T-S diagram plotted all salinity data observed from Jun. 1988 to Dec. 1990. In spring the mixing water prevailed and in summer the inner and mixing water. But in autumn and winter the mixing and offshore waters prevailed. 2) The inner water which was formed by land water from the river of Somjin and the precipitation in the Yeosu district flowed southerly along the coast of Dolsando and spread south-easterly in the vicinity of Kumodo. The inner water and offshore water which supplied from the vicinity of Sorido and Yokchido formed the thermal front and halofront. 3) As the mixing water flowing from the western sea of Cheju to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as low in temperature, the water mass of low temperature which appeared at the offshore bottom of Sorido in summer was considered not to be the Tsushima warm current. 4) As vertical mixing was made frequently in spring, autumn and winter, the differences in temperature and salinity between surface and bottom was respectively small. In summer, however, the mixing was not made because of the inner water expanded offshore through the space between surface and 10m layer and so a thermocline of $2.0^{\circ}C$/10m and halocline of 4.0$\textperthousand$/10m respectively in vertical gradient was formed. 5) In the vicinity of Dolsando and Kum a water low in salinity prevailed, but in the vicinity of Namhaedo and YoKchido the reverse took place. The inner and mixing waters formed at these arease was limited to the observation area not to spread widely.

  • PDF

물수지 방정식의 안정상태간의 평균 천이시간 및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mean Transition Time and Its Uncertainty Between the Stable Modes of Water Balance Model)

  • 이재수
    • 물과 미래
    • /
    • 제27권2호
    • /
    • pp.129-137
    • /
    • 1994
  • 넓은 지역의 지표면 수문은 추계학적 변동에 의해 야기되는 안정된 상태간의 천이와 함께 몇 개의 선호되는 안정된 상태의 영향을 받기가 쉬운데 그 이유는 지표면과 대기 상호관계의 밀접한 조합과도 관계가 있다. 흥미있고 중요한 과제가 각 안정상태에서의 체류기간 즉 가뭄기나 홍수기의 지속기간이라 할 수 있는데 안정상태의 평균 천이시간이 다른 모델 변수나 기후 형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여준 기후 상황에 대해 미분 방정식의 해는 함수비 상태가 두 개의 최빈수를 갖는 확률 분포를 보여 주고 있다. 모델 변수와 관련하여 불확실성 분석을 Monte-Carlo 모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방법은 넓은 지역에 대한 토양 수분이나 강우 특히 매우 다양한 지속 시간을 보이는 토양 수분이나 강우에 있어서의 급격한 변화와 관련된 중요한 특성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