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exit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2초

드렌처 헤드의 형상에 따른 수막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hape of a Drencher Hea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Water Curtain)

  • 이승철;김봉준;이재오;박충화;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86-93
    • /
    • 2016
  • 드렌처 헤드의 형상이 화재확산 차단을 위한 수막의 유동특성 및 복사 감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헤드의 형상인자로서 오리피스 출구와 반사판의 거리(h) 그리고 반사판의 직경(D)이 변화되었으며, 오리피스의 직경(d)은 고정되었다. 주요 결과로서, h의 증가는 방수량과 분사각의 증가를 가져오지만, D의 증가에 따라 분사각의 변화는 감소한다. D의 증가는 방수량 증가에 매우 작은 영향을 미치며, 분사각의 큰 감소를 초래한다. 또한 D의 증가는 보다 편평한 수막 패턴을 생성시킬 수 있지만, 분사각 내의 더 낮은 액적 균일도를 가져온다. 작동압력의 증가에 따라 평균 액적직경은 크게 감소하지만, 일정한 압력 조건 하에서 헤드 형상변화는 액적직경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일정한 작동압력의 조건에서 드렌처 헤드의 복사 감쇠효과는 h 및 D의 변화에 따른 방수량과 액적 균일도에 의해 각각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강을 원수로 하는 오존/과산화수소 고도정수처리공정에서의 MIB제거 및 잔류오존 농도에 관한 연구 (Use of Hydrogen Peroxide with Ozone to Simultaneously Reduce MIB and Quench Ozone Residual in Existing Water Treatment Plants Sourcing Water from the Han River)

  • ;구본진;장명훈;이성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04-716
    • /
    • 2012
  • 본 논문은 California의 South Lake Tahoe, 서울 뚝섬정수장 그리고 성남 복정정수장에서 2010년 2월에서 2012년 2월까지 수행된 파일럿 실험에 대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작성되었다. 본 실험의 목적은 첫째, 한강을 원수로 하는 모래여과 처리수에 대한 오존 및 과산화수소(Peroxone)의 반응특성을 파악하고, 둘째는 AOP(고도산화공정)을 통해 맛 냄새 유발물질인 2-methylisoborneol(MIB)를 제거하기위한 경험적인 오존 및 과산화수소의 투입량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셋째로, 처리공정이후 인체에 안전한 잔류오존농도로 감소시키기 위한 최적 투입량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은 계절의 기온변화에 따라 저수온 및 고수온의 조건하에서 실시간으로 수행되었다. 본 실험을 통해 오존의 분해속도는 온도와 pH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원수로 모래여과수에 MIB를 40~50ng/L의 농도로 투입하였으며, 모든 경우에서 7ng/L 이하로 처리되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서 검출(ND)되지 않았다. Peroxone은 MIB을 제거할 뿐아니라 오존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오존+과산화수소 동시에 투입한 경우에 잔류오존농도가 더 낮았다. 저수온에서 상당량의 오존이 반응 및 분해를 통해 감소된다. 본 실험을 통해 "Pre-Conditioned" 과산화수소를 적용함으로써 초기 반응율을 향상시키고 잔류오존농도를 낮출 수 있었으며, 약품의 과투입 및 효율저하를 방지하는 과산화수소의 투입 위치 및 구성 그리고 투입방법을 제시하였다.

국내 중소하천에 설치된 아이스하버 어도 내부 흐름 특성 규명 (Investigation for flow characteristics of ice-harbor type fishway installed at mid-sized streams in Korea)

  • 백경오;민병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호
    • /
    • pp.33-4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상용 수치모형 Flow-3D를 활용하여 상류 수위(유입유량) 변동, 격벽의 간격(pool의 길이) 변화, 잠공 유무 등에 따른 아이스 하버 어도 내 흐름 양상을 분석하였다. 수치모의 결과의 적합성을 입증하기 위해 경안천 대곡교 하류에 설치된 실제 어도에서 3차원 초음파 유속계를 사용하여 어도 출구부 단면 유속과 유량을 관측하였다. Flow-3D 모형에는 난류 모듈로 4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 관측 자료로 검증 결과 RNG 모형이 아이스하버 어도 내 흐름 특성을 가장 잘 재현하였다. 하천의 유량 전량이 어도로만 유입되어 흐른다는 조건에서 수위 변화에 따른 어도 내 유속구조를 모의해 보았다. 그 결과 최저수위에서는 잠입류와 표면류가 혼재하여 발생하였는데, 최저수위에서 약 10 cm 이상만 수위가 상승하여도 모든 pool에서 잠입류가 사라지고 오직 표면류만 발생하였다. 예상과 달리 수위가 조금 상승해도 흐름이 꽤 단순하게 표면류 위주로 발생하였다. 격벽간 간격을 늘려주면 수위가 상승하더라도 잠입류와 표면류가 혼재되어 나타나는 현상이 지속되었다. 그리고 격벽 하단에 잠공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잠입류가 여러 pool에서 생성되는 경향을 보였다. 보다 적극적인 어도 사후 관리로 잠공 폐색을 막아 어도 내 다양한 흐름이 생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원심모형실험을 활용한 투수성이 낮은 기초지반에 위치한 보축 제방에서의 침투 거동 (The Evaluation of Seepage Characteristics in Reinforced Embankment Constructed on Low Permeable Clay Layer Through Centrifuge Model Tests)

  • 진석우;추연욱;김영묵;김동수;임은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27-3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보편적인 제방 보강공법 중 하나인 보축 공법이 적용된 실제 제방을 대상으로 하여, 원심모형시험을 수행하고 조건에 따른 제방의 침투 거동을 분석하였다. 동일한 단면 조건에서 투수성이 낮은 양질의 재료가 제내지를 보축한 경우와 제외지를 보축한 경우에 대한 원심모형시험을 수행하고 각 경우를 비교하여, 보축 방향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 현장의 제방은 투수성이 낮은 세립토층에 축조되어 있었으며, 이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외지 보축의 경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제내지 보축의 경우에 비해 포화영역의 확산이 적고 느리게 나타났다. 제내지 보축된 경우, 상대적으로 빠르게 포화영역이 확대되었으나, 제내지 보축의 낮은 투수성으로 침투수가 많이 유출되지는 않았다. 낮은 투수성의 하부 기초지반은 포화영역이 확대되었으며, 또한 기초지반 아래에서 배수층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인한 과잉간극수압에 의해 보다 빠르게 포화가 진행되었다.

절수시 Mongolian gerbil (Meriones unguiculatus) 콩팥의 Aquaporin 2, Aquaporin 4 발현변화 (Upregulation of aquaporin 2 and aquaporin 4 in the water-deprived mongolian gerbil (Meriones unguiculatus) kidney)

  • 송지현;권진석;김용환;박용덕;한기환;류시윤;정주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63-370
    • /
    • 2007
  • Mongolian gerbil (Meriones unguiculatus) has been as an model animal for studing the neurological disease such as stroke and epilepsy because of the congenital incompleteries in Willis circle, as well as the investigation of water metabolism because of the long time-survival in the condition of water-deprived desert condition, compared with other species animal. Aquaporin 2 (AQP2) expressed at the surface of principal cells in collecting duct results from an equilibrium between the AQP2 in intracellular vesicles and the AQP2 on the plasma membrane. Aquaporin 4 (AQP4), which is expressed in cell in a wide range of organ, is also present in the collecting duct principal cells where this is abundant in the basolateral plasma membranes and represent potential exit pathways from the cell for water entering via AQP2. In this research, we divide 3 groups of which each group include the 5 animals. In the study of 7 or 14 days water restricted condition, we investigated the AQP2 and AQP4 by using a quantitative immunohistochemistry in the kidne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AQP2 is abundant in the apical plasma membrane and apical vesicles in the collecting duct principal cell and at rare abundance in connecting tubules. In the water-deprived Mongolian gerbil kidney, expression of AQP2 was continuosly increased in the cortical collecting duct and inner medullary collecting duct. This increase was both the apical region and cytoplasm. AQP4 is mainly expressed in the inner medulla, although some expression is also noted in the more proximal segment. In the water-deprived Mongolian gerbil kidney, AQP4 was also increased in the inner medullary collecting duct. Immunoactivity was increased in entire inner medullary collecting duct and newly detected in cytoplasm of principal ce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creased levels of AQP2 and AQP4 in the cortical and inner medulalry collecting duct may play a important role for maintain fluid balance in the water-deprived kidney.

5 RT 공랭형 $NH_3-H_2O$ 흡수식 냉동기의 발생기 입력 열량과 외기온도 변화에 따른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5 RT Air-Cooled $NH_3-H_2O$ Absorption Chiller with the Variations of Heat Input and Ambient Temperature)

  • 윤희정;김성수;강용태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438-443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ffects of the input gas flow rate and the ambient temperature variation on the absorption cycle performance. An air-cooled NH$_3$-$H_2O$ absorption chiller is tested in the present study. The nominal cooling capacity of the single effect maching is 17.6 ㎾ (5.0 USRT). The cooling capacity, coefficient of performance, burner efficiency, and each state point are measured with the variations of the heat input and the ambient temperature. It is found that the COP and cooling capacity increase with increasing the generator exit temperature up to a certain temperature and then decrease. It is also found that the COP and the cooling capacity decrease with increasing the ambient temperature. The maximum COP of 0.51 is obtained from the present experiment.

레이저 펄스 에너지를 이용한 무통증 마이크로젯 약물전달시스템 (Painless Microjet Injector Using Laser Pulse Energy)

  • 여재익;한태희;하정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5호
    • /
    • pp.547-550
    • /
    • 2011
  • 레이저 기반의 무바늘 액체 약물전달장치는 계속해서 개발되어왔다. 레이저 빔이 고무 챔버 내부의 액체에 모이게 된다. 초점이 맞춰진 레이저 빔은 공기방울을 생성시키고 급격히 팽창하게 된다. 밀봉된 챔버 안쪽에서의 급격한 부피변화는 액체약물을 마이크로 노즐을 통해 빠르게 밀어내어 마이크로 약물젯을 생성한다. 노즐의 출구지름은 100 ${\mu}m$ 이하이며 본 연구팀은 생성된 마이크로 약물젯의 속도가 인체의 연조직으로 침투시키기에 충분함을 확인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사람의 혈전을 모사한 무게 비 5%의 젤라틴 수용액을 냉각시킨 샘플과 돼지 지방층을 사용하여 침투실험을 수행하였다.

석탄화력발전소의 재열저감수 저감방안 (Reduction of the Reheater Spray for Coal Fired Thermal Power Plant)

  • 김형덕;고철균;문승재
    • 플랜트 저널
    • /
    • 제9권2호
    • /
    • pp.46-50
    • /
    • 2013
  • 최근 발전회사들은 연료비 절감 방안으로 석탄화력발전소의 연료로 저열량탄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저열량탄 사용으로 비용절감이라는 장점을 가져오는 반면, 발열량이 낮은 탄종 연소 시 터빈에 공급되는 증기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연소가스량 증가로 인한 대류열전달이 증가되어 재열기 온도 상승을 초래하게 되었다. 재열기 온도 상승은 재열기 튜브 피로증가와 발전소 효율 저하요인인 재열저감수 사용의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재열기 출구온도와 관계된 운전변수들을 분석하여 재열기 출구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재열저감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하여 논하였다.

  • PDF

아음속 수직분사제트에서 액적크기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roplet Size Characteristics of Liquid Jets in Subsonic Crossflow)

  • 김민기;손진관;김진기;황용석;윤영빈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5-122
    • /
    • 2007
  • The spray characteristics and drop size measurements have been experimentally studied in liquid jets injected into subsonic crossflow. With water as fuel injection velocity, injection angle and atomize. internal flows were varied to provide of jet operation conditions. The injector internal flow was classified as three modes such as a non-cavitation flow, cavitation, and hydraulic flip flows. Pulsed Shadowgraph Photography measurement was used to deter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pray droplet diameter in a subsonic crossflow of air. And this study also obtains the SMD (Sauter Mean Diameters) distribution by using Planar Liquid Laser Induced Fluorescence techniqu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get a droplet distributions and drop size measurements of each condition and compare with the other flow effects. As the result, This research has been showned that droplet size were spatially dependent on air-stream velocity, fuel injection velocity, injection angle effects, and normalized distance from the injector exit length(x/d, y/d). There are also different droplet size characteristics between cavitation, hydraulic flip and the non-cavitation flows.

  • PDF

공기의 자가흡입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는 보텍스 노즐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ortex nozzle for generating micro-bubble by air self-suction)

  • 곽구태;박상희;김창수;유상열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8-104
    • /
    • 2015
  • This experiment was a study of a Vortex nozzle designed to produce micro-bubbles due To investigate air self-suction and the generation of micro-bubble by the Vortex nozzle, the dimensions of air intake region, the nozzle shape, and the nozzle exit diameter ($d_n=5,7,9.2,12.3mm$)werevaried. The air self-suction rate was ~1,000 to 2,000 cc/min at the orifice nozzle (7 mm), and ~100 and ~22 cc/min at the sector nozzles (9.2 and 12.3 mm, respectively). The most bubbles were detected in the orifice nozzle, but bubbles less than $50{\mu}m$ were found in the 12.3-mm sector nozzle. The dissolved oxygen in the tank water was much greater in Case 2 than in Case 1, at both the orifice and sector nozzles. Moreover, the reduction rate of dissolved oxygen was found to be less at the sector nozzles, than at the orifice nozz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