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ater conflict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queduct 3.0과 Water Conflict Chronology를 활용한 한국의 수자원 및 물 분쟁 사례 분석 (Analysis of Water Resources and Water Conflicts in Korea using Aqueduct 3.0 and Water Conflict Chronology)

  • 이준학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95-395
    • /
    • 2023
  • 전 세계 곳곳에서 매년 발생하고 있는 홍수, 가뭄, 수질 문제는 인류가 해결해야 할 공통적인 문제이다. 홍수, 가뭄, 수질 문제뿐만 아니라 수자원의 지역적인 불균형과 인근 지역의 물 분배 문제, 공유하천 문제 등으로 인한 물 사용자 간의 물 갈등, 물 분쟁도 지속되고 있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수자원 관련 각종 위험지표, 물 갈등, 물 분쟁 사례를 자료화하여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 개발되고 있다. Aqueduct 3.0은 전 세계 물 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물 위험평가 프로그램(water risk assessment tool)으로 세계 수자원 협회에서 2019년 기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여,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각국의 지역별 수자원 분포에 따른 각종 위험지도와 데이터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또한 세계 자연기금(World Wide Fund For Nature)도 온라인 플랫폼으로 전 세계의 물 위험 필터도구(water risk filter tool)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물 갈등 연대기(Water Conflict Chronology)는 태평양 협회에서 전 세계 물갈등 사례를 수집하여 연대별로 정리한 것으로, 업데이트되어 2022년 사례까지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Aqueduct와 Water Conflict Chronology 등 온라인 플랫폼에 탑재된 한반도 관련 수자원 자료를 조사하여 기존 자료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Aqueduct와 Water Conflict Chronology 등 온라인 플랫폼이 수자원 관련 교육의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방자치의 활성화를 통한 수질보전정책연구: 낙동강 수계오염과 위천공단 조성에 관한 갈등해결의 모색 (A Policy Study to Preserve the Water Quality through the Activation of Local Autonomy)

  • 김성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97-316
    • /
    • 1996
  •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mong focal governments to preserve the water quality of the Nak-dong river that runs through four local governments. First, this research considers the status of water-pollution in the Nakdong river, describes and finds problems within the central government's. "Clean Water Supply Plan" and local governments' water quality-related policies. Second, it deals with the conflict among local governments concerning the planning and building of "Wicheon Industrial Complex" in the middle-upstream of the Nakdong river which has triggered the opposition movement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of the river's downstream area. With stressing the necessity of the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this research emphasizes roles of central government, of academic experts, and of local news-media in preserving the water quality. Key words : the Nakdong river, water quality policy, the conflict among local governments, the activation of local autonomy, Wicheon Industrial Complex, the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 PDF

한강수계 물이용부담금을 둘러싼 이해당사자 간 갈등분석 (The Analysis of Stakeholders' Conflict Surrounding Water use Charges: Targeting the Han River region)

  • 이영경;최예술;김찬용;임업
    • 지역연구
    • /
    • 제37권1호
    • /
    • pp.45-6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강수계 물이용부담금을 둘러싼 이해당사자들의 갈등해결을 위한 최적방안을 제시하는 방법론적 틀을 설계하고, 분석결과를 통해 한강수계 물이용부담금 갈등해결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강수계 물이용부담금을 두고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는 의사결정자들 간의 다면적인 갈등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과정이 선행되었으며 갈등해결을 위한 그래프모형을 적용하여 한강수계 물 이용부담금 갈등 해결을 위한 최적방안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강수계 물이용부담금 갈등의 해결점을 찾을 수 있는 최적의 상태는 서울·인천 지역이 지속적으로 물이용부담금 인하를 요구하는 것과 동시에, 서울·인천·경기 지역이 기존 부과요율에 따른 부과금을 납부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강수계관리위원회는 갈등 해결을 위해 물이용부담금 부과요율 결정에 대한 의사결정구조 합리화, 서울·인천 지역에 대한 한강수계관리기금 지원근거 마련, 수혜 지역 및 주민의 특성을 고려한 한강수계관리기금의 투명한 운용 등을 포함하는 서울·인천 및 경기지역이 원하는 정책을 수립할 때 갈등의 해결점을 찾아갈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강수계 물이용부담금 갈등해결 관련 환경정책 방향을 수립하는데 객관적인 의사결정 정보 제공을 할 수 있고, 환경의 공동 사용에 따른 갈등과 관련된 유사한 후속연구에 방법론적인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댐 건설 갈등 조정을 위한 수문학적 공영시각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Hydrological Shared Vision Model for Conflict Mediation of Dam Construction)

  • 정하옥;한재익;박상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10호
    • /
    • pp.1009-10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댐 건설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발생되는 갈등사안 중에서 수문학적으로 접근하여 이수 및 치수에 대한 갈등 발생원인을 파악하고 이해당사자들의 직접적인 참여와 의견을 수렴하여 대안 모의와 결과를 도모할 수 있는 공영시각모형(SVM)을 개발하였다. 이수부문에서는 각 행정구역별 생활용수, 공업 및 농업용수 수요를 예측하고, 치수부문에서는 각 구조적 대안이 형성되는 경우 신속하게 모의하여 수위저감효과, 침수면적 및 피해액의 변화를 제시하여 상호의견 교환에 따른 합의점을 도출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이러한 공영시각모형의 이용은 정보공개의 정확성, 결과의 신뢰성 등을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댐 건설에 대한 갈등 조정 및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물 갈등과 지속가능한 정책 : 서울과 시드니의 비교 (Freshwater Conflicts and Sustainable Polic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 Cases of Seoul and Sydney)

  • 최병두;데이니스넘리;손명원;사라럼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6-164
    • /
    • 2001
  • 이 논문은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대도시들에서 상수원 정책의 지속가능성의 평가를 위한 연구 과제를 개관하고, 이에 근거하여 한국의 서울과 호주의 시드니 지역의 맑은 물 공급을 둘러싼 갈등을 공동 연구한 것이다. 우선, 아시아-태평양지역의 대도시 물 갈등에 관한 연구 과제가 소개될 것이다. 둘째, 도시의 맑은 물을 위한 갈등과 관련된 서술 및 분석을 위한 기본 틀이 제시될 것이다. 셋째, 맑은 물 갈등에 관한 분석틀에 기초하여 시드니 및 서울의 사례가 고찰될 것이다. 넷째, 끝으로 이 지역의 도시에서 맑은 물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미래의 정책적 요구 사항들에 관한 예비적 제안들이 제시될 것이다.

  • PDF

상·하류 사회적 가치 추정을 통한 상수원보호구역 정책 고찰 (A study on drinking water protect zone policy by social benefit analysis of upstream and downstream)

  • 류문현;전동진;김수영;권기동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5호
    • /
    • pp.357-362
    • /
    • 2023
  • 상류지역과 하류지역간 갈등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회적 갈등이자 물갈등에 해당하는 사례로 이해당사자들에게는 재산권 침해와 수질보전 및 이용이라는 이념과 이익을 기반으로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이해관계가 첨예한 문제이다. 그러나 각 지역에서 느끼는 경제적 피해 및 편익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각 지역의 주장에만 근거하고 있어 갈등해결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데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한 물갈등의 하나인 상수원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상류지역의 재산권제약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과 수질보전으로 인한 하류지역의 사회적 편익을 비교하여 상수원보호구역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갈등해결을 위한 유역통합물관리 정책을 제언하였다.

수자원과 관련된 분쟁 및 갈등의 조정을 위한 거버넌스 (Governance for the Negotiation an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related Conflicts)

  • 이주헌;김형수;홍일표;강부식;김광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7-10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자원과 관련된 분쟁 및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적응형 거버넌스 시스템의 구조 및 역할을 제시하였고 분쟁의 원활한 합의 조정방안 및 문제점을 제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시민참여모델에 대하여 특징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쟁해결을 위한 공학적 도구로서 공영시각모형, 게임이론, 제도설계이론 등의 공학적 모형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 접근 방안을 제시하여 물 분쟁의 해결 및 조정을 위한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형태의 물분쟁 해결을 위한 대안은 물 관련 당사자들이 어떤 합의점을 찾을 때 추측과 가정에 의한 결정보다는 참여와 과학적 해결방법에 의해서 보다 합리적인 대안과 합의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ew Paradigm and its Policy Framework in Decision-making on Large Dams

  • 박성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7-106
    • /
    • 2006
  • This study discusses two canceled dam projects, Youngwol Dam in South Korea and Two Forks Dam in Colorado of the United States. Both of them illustrate how the new paradigm applies to regional water projects because they became victims of environmental opposition in the new paradigm. While the cases have no apparent close relationships and they occurred in different decades, they offer interesting comparisons. They were basically struggles between water development coalition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coalitions on regional water conflicts. The two proposed projects brought about fierce debates on large dam as they embraced a wide-range of environmental, social, and political issues rather than construction of dams themselves. Huge anti-dam oppositions scrapped them at the cost of nearly ten years for decision-makings and enormous financial resources for feasibility studies respectively. It identifies who the policy actors were, what the policy strategies were, and how the water policies evolved in both countries. The decision-makings on the two projects appeared at first glance to be made under formal institutional frameworks, but in actuality, they relied significantly on decisions of the two important political actors. The Korean society began to learn negotiation and cooperation approaches to solve the water conflict by establishing the Joint Task Force Team on Youngwol project in 1999. The team is recognized as a new conflict resolution method in South Korea because a diverse of stakeholder interes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discussed water issues directly. Even though the projects resulted in futile fruits in each country, they illustrate the images of the new paradigm that significantly affected in formulating regional water polici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