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king and yog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걷기와 요가가 포함된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alking and Yoga Exercise on the Cognitive Functions in the Elderly Women)

  • 김용건;한동욱;이병권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11-221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including walking and yoga on cognitive functions in the elderly women. Methods : Sixteen elderly women aged above 65 are invit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participated in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from July 14th to September 13th in 2008. Th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 exercise are analyzed by Wilcoxon sign rank test and repeated ANOVA test with SPSS (ver 17.0) package program. Results : After exercise, In the below 23 points group, only interference STROOP test (p<.05) among sub items of Cognition Scale for Older Adults (CSOA) i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above 24 points group, words memory (p<.05), delayed recall (p<.05), and picture naming (p<.05) among sub items of CSOA are improved significantly. But it is no different to the change patterns among two groups.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combined exercise including walking and yoga is helpful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s. And we find that exercise is helpful in the above 24 points elderly women more than in the below 23 points.

성인여성의 덤벨운동, 걷기운동 및 요가운동중재 효과 (The Effects of Dumbbell, Walking, and Yoga Exercise Interventions for the Community-Dwelling Women)

  • 신경림;강윤희;최경애;백효진;최미진;윤옥종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71-780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 including dumbbell(weight lifting), walking, and yoga, on the body composition, physiologic factors, body image, and perceived health in the community-dwelling women. Method: This study utilized pretest-posttest design with three types of exercise interventions. The types of exercise intervention included dumbbell, walking, and yoga. Results: A total of 136 subjects were included: 49 for dumbbell, 67 for walking, and 20 for yoga. As measures of body composition, BMI, body weight, and body fat rat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only after dumbbell intervention(p<.01). Systolic blood pressu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s of dumbbell and walking.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declined only in the walking group. Vital capacities and body image were improved in all groups(p<.01). However,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not improved in all groups(p>.05) and none of the measures for perceived health state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all groups(p>.05). Conclusion: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s were differentiated by their types and variables to be affected. Therefore, future studies that apply the tailored exercise intervention to each age-categorical group are needed.

  • PDF

요가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oga Exercise on Balance and Gait Velocity in Stroke Patient)

  • 송현승;김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94-300
    • /
    • 2013
  • 이 연구는 요가운동이 뇌졸중 환자에게 자가 운동 프로그램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요가운동을 적용하여 정적균형, 동적균형, 보행속도를 측정하였다. 뇌졸중으로 편마비 진단을 받은 입원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대조군과 요가운동군에 각각 9명씩 배정하여 주 3회 60분씩 8주간 요가운동을 실시하였다. 정적균형은 Tetrax를 사용하여 안정성지수(무게중심의 이동)와 체중분포지수를, 동적균형은 functional reach test(FRT)와 dynamic gait index(DGI)를, 보행속도는 10미터 보행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요가운동군에서 무게중심의 이동과 체중분포의 안정성, FRT와 DGI의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행속도에는 두 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요가운동이 뇌졸중 후 균형능력이 상실된 환자에게 체계적인 자가 운동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중년 비만여성에게 적용한 비만관리프로그램이 체성분, 복부둘레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n Obesity-Management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bdominal Circumference, and lipid Metabolism for Middle-Aged Obese Women)

  • 오효숙;심미정;오현이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89-96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an obesity-management program for middle-aged obese women. Methods: Two 12 week session of the obesity-management programs constituted of weekly education and exercise such as aquarobic, pilates & yoga, and power-walking during 60 min for 3 days a week from June to December, 2006. The subjects included 47 middle-aged obese women between 30 and 60 y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body weight, body component, abdominal circumference,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 Data were measured by Inbody, tape measure, and blood test.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paired t-test with an SPSS/PC.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mass, Hemoglobin, abdominal circumference, total cholesterol leve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t free mass, muscle mass and triglycerid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n obesity-management program have positive effects in body composition, abdominal circumference, and lipid metabolism for middle-aged obese women.

고령자의 낙상예방을 위한 운동처방에 대한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Exercise Intervention for Fall Prevention in the Elderly)

  • 김미숙;이은남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9
    • /
    • 2006
  • Falls are a major sources of death and injury in elderly people. Aged-related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systems which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balance are well documented in older adults. These changes coupled with age-related changes in muscle and bone are likely to contribute to an increased risk of falls in this population. Regular exercise may be one way of preventing falls and fall-related fractures. However, the optimal exercise prescription to prevent falls has not yet been defin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exercise intervention for fall prevention in the elderly, exercise appeared to be a useful tool in fall prevention by improving fall risk factors. The optimum exercise prescription; moderate intensity frequency of 3-4 times per week, duration of 30-60minutes can contribute to decreased hazards and number of fall. Fall prevention protocol should include safety, falling effect, enjoyment, and easiness to follow for older people. Effective exercise programs suggested for fall prevention were such as weight-bearing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lower muscle strength with elastic band, swiss ball exercise walking, tai chi, and yoga.

  • PDF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The Analysis of Program Preferences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 김윤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8-12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 산림치유 잠재수요자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가 무엇인지 파악하게 함으로써,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반 성인 남 여 620명을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정(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성별, 연령, 직업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가 성별, 연령, 직업 등에 따라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성별에 따라, 남성은 여성에 비해 숲속 운동회, 캠핑을 선호하고, 여성은 남성에 비해 전반적인 프로그램에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라서 다른 연령과 비교해서 20대는 스트레스 평가와 진단, 음식 만들기, 숲속 사진치료 등, 30대는 자유롭게 숲속 걷기, 상담, 강의 듣기(스트레스, 대인관계 관련), 비전 세우기 등, 40대는 명상, 경관보기, 삼림욕, 풍욕, 일광욕, 맨발로 숲속 걷기 등, 50대는 호흡법 호흡체조, 요가, 등산, 묵언 산행, 자연음식 먹기 등의 프로그램을 각각 특히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른 직업과 비교해서 학생은 스트레스 평가와 진단, 음식 만들기 등을, 교사는 자유롭게 숲속걷기, 등산, 숲속 독서, 경관보기, 삼림욕 풍욕 일광욕, 캠핑 등을, 주부는 요가, 물 흐르는 소리 듣기, 허브차 마시기, 자연음식 먹기 등을, 전문 연구직은 호흡법 호흡체조, 묵언산행, 명상, 숲속 잠자기 등을 각각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노인용 기능성 게임개발을 위한 중노년층의 수요분석 (Analysis of the Needs of Middle and Elder Generation on Serious Game for the Elderly)

  • 이윤정;안준희;임경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75-101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용 기능성 게임 개발을 위해 중노년층 1030명을 대상으로 여가행동과 여가콘텐츠, 게임행동과 게임콘텐츠, 기능성게임 수용의지 파악을 위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토대로 수요도 및 게임 요구사항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노인은 건강과 휴식, 재미, 자기계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등산을 비롯한 정적여가활동 및 동적여가활동을 즐기고 있었는데, 궁극적으로 여가활동 중 게임활동 선호율은 낮으나, 기능성 게임을 통해 재미와 유익함을 얻을 수 있도록 건강게임이나 시뮬레이션 게임, 치료용 게임, 체험형 스포츠 게임 등 기능성 콘텐츠를 개발해 보급한다면 이용의지는 중년층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 연령별, 학력수준별, 소득수준별, 가족규모별로 일부의 수요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노인집단의 인구학적 변인을 토대로 한 게임 콘텐츠 개발을 고려해야 한다. 즉, 기능성 게임개발에 주요 목표층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요구되며, 다양한 실험과 효과성 검증을 통해 편리한 이용과 기능에 대한 신뢰, 그리고 심미적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 연구개발이 지속되어야 한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인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The Preference Analysis of Adults on the Forest Therapy Program with regar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김윤희;김은진;김동준;연평식;최병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150-1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성인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를 분석함으로써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한다. 일반 성인 남 여 516명을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 37개에 관한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프로그램의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많은 공변량이 확인되어, 자료를 의미있게 축약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지역, 직업)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37개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축약하기 위하여 베리멕스 직각회전법을 이용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은 7개의 프로그램군(1: 심리치료중심 프로그램, 2: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 3: 캠핑 산림욕중심 프로그램, 4군: 식이중심 프로그램, 5: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 6: 명상중심 프로그램, 7: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과 7개의 독립프로그램(1: 숲속 잠자기, 2: 비전 퀘스트, 3: 물속에 손과 발 담그기 4: 신발 신고 숲속 걷기, 5: 숲 경관 보기, 6: 등산, 7: 숲속 운동회)으로 축약되었다. 이를 중심으로 성별, 연령, 지역, 직업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라서 심리치료중심 프로그램군, 식이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군, 등산 프로그램에 대해서 남 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연령에 따라서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군, 캠핑 산림욕 중심 프로그램군,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군, 숲속 운동회 프로그램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에 따라서 심리치료 중심 프로그램군,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군, 식이중심 프로그램군,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비전 퀘스트, 등산, 숲속 운동회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에 따라서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비전 퀘스트, 신발 신고 숲속 걷기, 숲 경관 보기, 등산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대한 다양성을 고려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