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dorf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5초

다문화 가정 유아 보육을 위한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탐구 (Research on the Applicability of Waldorf Program as Educare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 조선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91-10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Waldorf education may help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acclimate themselves to new surroundings in Korea. An educare institution that had adopted the Waldorf Program since 2005 was selected. The parents and teachers of 13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who had attended the educare institution were interviewed. The questions were focused on linguistic development, social relationships, and cultural identity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and changes in the children before and after adaptation to the Waldorf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Waldorf Program exerts a positive influence on linguistic development, the formul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and on the cultural ident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발도르프 수학교육 방법을 적용한 우리나라 대안학교 기하단원 교수·학습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Geometry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Waldorf Education Methods in a Korean Alternative School)

  • 송만호;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197-22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if it is possible to apply the Waldorf School's mathematics education method to Korean alternative schools which are run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class on geometry for three weeks with ten 7th graders(four girls and six boys) from Apple Tree Waldorf alternative school in Busan, which has adopted Valdorf education courses. For the first two weeks, the class was about 'fundamental geometrical construction', and then it was evaluated. On the third week, the lesson was on plane figures, followed by a test with 9 plane figure questions that are based on general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students understood 'fundamental geometrical construction'. When it comes to the test on 'plane figures', seven students got 8 out of 9 right, two students got 6 out of 9 right, and one of them had difficulty solving the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thought that there will be no problem for students to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 even if the Waldorf School's mathematics education method is applied to Korean alternative schools. Also, the Waldorf School's mathematics education method is considered to be a good teaching model for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places emphasis on 'mathematical creativity' in regard to the curriculum and contents.

발도르프 프로그램과 생활주제중심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5세 유아의 활동분석 (Waldorf and Theme-based Program Analyses of Five-year-olds'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rograms)

  • 문채련;정영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37-250
    • /
    • 2007
  •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e for developing a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which would be helpful for teachers to understand children's daily activities more properly. From two kindergartens, 20 children were observed for 3 consecutive hours. The observer followed the target child, gathering data during 30-second "windows". This observation lasted for three hours per day and each child was observed 60 times. The proportion of major activities such as education, play, work, and conversation in children's daily activities was compared.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of Waldorf program were more exposed to and engaged in play than children of Theme-based program, whereas children of theme-based program were exposed to and engaged in academic activities than those of Waldorf program.

우리나라 공교육과 발도르프 교육에서 0부터 10까지의 수 지도 비교 연구 (Comparative Analysis Study between Korean public education and Waldorf education Focusing on Teaching the Numbers from 0 to 10)

  • 조영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1호
    • /
    • pp.137-158
    • /
    • 2013
  • 발도르프 교육은 최근 대안교육계를 통해 활발히 국내에 소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1-1학기에 지도되는 0~10까지의 지도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공교육과 발도르프 교육의 지도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과 자료 분석을 택하였으며,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과서와 발도르프 교육 관련 자료들을 비교하여 주된 특징들을 각각 추출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주된 특징으로, 0~9까지와 10의 분리 지도, 집합수와 순서수의 의미 지도, '1 큰(작은) 수'의 지도, '이야기'의 활용 등을 들 수 있다. 발도르프교육 자료에서 나타난 주된 특징으로는 질적인 측면에서의 수의 지도, 이야기 들려주기, 리듬으로 수 만나기, 전체성에서 부분성으로 나아가기 등을 추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은 차이를 일으키는 근본적인 기제는,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공교육에서는 수학적 구조나 개념이 주요한 요소로 작동하고 있다면, 발도르프 교육에서는 특정 연령에 있는 아이들의 발달적 특성을 주된 요소로 고려하여 지도하는 데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미적 체험을 강조한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발도르프교육의 작도교육의 활용 - (A Case Study on the Mentorship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Gifted with Construction Based on the Aesthetic Experiences. - Focused on Waldorf Education -)

  • 조영미;정연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621-636
    • /
    • 2013
  • 최근 수학의 정의적 영역의 중요도가 더욱 커지고 있지만, 정의적 영역과 관련되어 있는 수학의 심미적 가치는 거의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초등교육에서 아이들의 감성의 발달과 예술성에 바탕을 둔 발도르프교육에서 활성화된 작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심미적 측면이 강조된 영재 사사교육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이 수업에서는 특별히 '심미적 안목', '통합적 안목', '실질적 기능'의 함양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작도를 통하여 기하학적 구조가 지닌 특성을 심미적 체험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방식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체 프로그램 중에서 이슬람 문양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협력하여 만든 공동의 주요 산출물을 제시하였다.

  • PDF

우리나라 공교육과 발도르프교육에서 작도 지도 내용 비교 분석 연구 - 초등학교 수학에서 컴퍼스의 쓰임을 중심으로 - (The Comparison Study on the Geometric Construction between Korean Public School and Waldorf Education -Focused on the Usages of Compass in Elementary School-)

  • 조영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41-561
    • /
    • 2016
  • 초등학교 수학의 컴퍼스 관련 내용은 중학교 작도 교육과 연계될 수 있다. 활동주의 교육의 소재가 될 수 있는 작도를 지원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내용에서 수정 보완할 점과 그 개선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컴퍼스 관련 내용의 주요 특징을 추출하였고, 작도가 기하 교육의 핵심을 이루는 발도르프교육에서 작도 지도의 계열과 주요 특징을 살펴 보았다. 우리나라와 발도르프교육을 비교한 결과로, 컴퍼스 도입을 고학년으로 늦추기, 논증기하 이전에 형태 체험과정과 심미적 체험을 할 수 있는 과정을 추가하는 것 등을 제안하였다.

발도르프 프로그램을 준용한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중언어 교수-학습 방안 (Bilingual Teaching-Learning Plan for Migrant Youths Based on the Waldorf Program)

  • 문경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161-164
    • /
    • 2019
  • 한국 사회는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진입되고 있어 인구 구성과 집단이 다양해 질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가족 중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준비가 전혀 이루어진 않은 상태에서 우리나라에 입국하는 실정이므로 언어장벽에서 진로장벽에 이르기 까지 매우 취약한 여건과 불안정한 환경에 처해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각급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으나 사업 간의 중복성과 일부 비효율적인 전달체계와 운영, 예산과 인력 낭비로 인하여 효과성을 낮추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발달주기, 학령주기, 한국어 구사 능력에 따라 개인의 능력에 따른 맞춤형 언어교육으로 올바르게 성장하도록 도움을 주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시한 내용은 이중언어 교육방법과 발도르프 교육 프로그램을 준용한 교수-학습 방안이다.

  • PDF

Finding Ways to Improve the Bilingu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pplying Waldorf Education

  • Kim, Jae-Nam;Moon, Kyung-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233-242
    • /
    • 2019
  • 현재 우리 사회는 전반적으로 출산율이 감소하여 학령인구가 줄어들고 있지만 다문화 학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사회 현상을 맞이하고 있다. 우리 모두는 포노사피엔스 시대를 함께 살아가야 하는 다문화가족 자녀들에게 효과적인 이중 언어 교수학습법이 이루어져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자신 있게 살아갈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족 자녀들이 언어와 문화의 편견으로부터 자유롭고 소통과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중 언어 교수학습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발달주기, 학령, 한국어 구사 능력에 따라 교수학습법을 다양하게 적용한 맞춤형 이중 언어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제시된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 언어 교수학습법은 발도르프 교육원리를 준용한 교수학습법이다.

‘헝겊 인형 만들기’ 바느질 수업을 통한 아동의 상호작용 및 태도 변화 과정 관찰 연구 -발도르프 교육과정 적용 가능성 탐색- (An Observational Study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Interaction and Attitudes of Children through Instruction for “Making Fabric Doll”- Possibility for Application of Waldorf Education Curriculum-)

  • 윤지현;이경선;이지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7-53
    • /
    • 200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손바느질 수업을 발도르프 교육 철학에 기초를 둔 ‘헝겊인형 만들기’라는 수업으로 재구성하여 아동간의 상호작용 및 수업 태도의 변화 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루돌프 슈타이너의 사상에 의해 확립된 발도르프 교육에서 바느질 수업은 ‘가정생활의 필요성’이나 ‘실용적 필요성’이 아니라 오로지 아동의 발달 차원에서 인간 본질의 구성체 구성에 필요한 치료적 예술적 필요성 때문에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춘천시 00초등학교 6학년 40명(남자 18명, 여자 22명)이며, 5명씩으로 구성된 8개의 모둠 가운데 2개의 집중 관찰 모둠을 선정하여 이들 10명을 중점적으로 관찰하였다 연구 시기 및 절차는 총 3주 동안 8차시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들로는 관찰기록 노트, 비디오테이프 3개, 사진자료, 아동들의 활동자료 및 각종 작품들 등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방법은 연구자들이 수업 현장에서 직접 기록과 관찰을 수행하는 참여관찰방법에 의한 질적 연구방법이며, 비디오카메라로 모든 수업 장면을 녹화하여 관찰기록과 비교하고 연구자들과의 합의를 거치는 삼각측정방법을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들은 아동이 보다 쉽게 만들 수 있는 헝겊 인형과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수업의 내용은 만남 및 수업 안내, 우리 주변에서 바느질 용품 찾아보기 천 가지고 자유롭게 놀기 자유로운 수놓기, 인형극 주제 정하기, 인형 만들기, 인형극 하기 인형에게 편지 쓰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변화를 살펴보면, 첫째, 수업이 진행될수록 아동간의 대화의 양과 질이 증가하였다. 둘째 아동간의 의존성과 신뢰성이 증가하였다. 리더 역할을 하는 아동이 자발적으로 나타났으며 조원들간의 의견을 수렴하고 조언을 해주었다. 셋째, 아동간의 친밀감과 협동심이 증가하여 서로 도움을 주고받았다. 넷째, 교사와 아동간의 친밀감이 증가하여 지속적인 우호적 관계가 형성되었다. 또한 수업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첫째, 아동들은 점차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 둘째, 아동들은 헝겊 인형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증가하여 적극적이고 집중력이 높은 수업 태도를 보였다 셋째, 아동들은 자신이 만든 인형에 애착을 가지게 됨으로서 긍정적인 수업태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내성적인 성향, 독단적인 성향, 과잉행동 성향, 산만하거나 주의력 결핍 아동들이 보다 큰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헝겊 인형 만들기’ 바느질 수업의 전개과정이 아동간의 상호작용 및 수업에 대한 태도를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 PDF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교육론에 기초한 수학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Method of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Rudolf Steiner's Anthroposophy Education Theory)

  • 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27-154
    • /
    • 2018
  •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prize" was presented as a human resource to be pursued by current curriculum. The core competencies that future talent should have are self-management capacity,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creative thinking capacity, aesthetic capacity,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ommunity competenc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among the six core competencies, the ability to have more attention today is aesthetic capacity and that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pursue it. The mathematical teaching methods based on Rudolf Steiner's anthroposophy education theory is an education that actively raises the aesthetic sensitivity of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eatures of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the Steiner's anthroposophy and examines mathematics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