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ist-Hip ratio

검색결과 458건 처리시간 0.028초

체성분 분석 변수와 X-선 소견을 근거로 한 비만과 요통의 관계 연구 (The Study on Relation of Obesity and Low Back Pain Based on Body Composition using Segmental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nd Radiological Parameter)

  • 박지현;홍서영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89-302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body composition analysis and radiological parameter(lumbosacral angle, lumbar lordortic angle, lumbar gravity line).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data from comprehensive medical testing. 75 subject aged 20-59 performed the segmental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questionnaire. And lumbosacral angle, lumbar lordortic angle and lumbar gravity line were measured in the standing position x-ray. Then we analyzed the data. Results : Low back pain(LBP) prevalence in high obesity index(Body Mass Index(BMI), Percentage of Body Fat(PBF), Waist Hip Ratio(WHR)) group was higher than LBP prevalence in normal obesity index group(p<0.01). In LBP group, lumbosacral angle, lumbar lordortic angle were significantly lager than Non-LBP group(p<0.001). And 75% of LBP group indicated abnormal lumbar gravity line ratio(0.67 < Normal lumbar gravity line ratio <1.00). When it comes to analyze relation between obesity index and radiological parameter, no-significant change was seen. Conclusions : This study carried as following research after the study on relation of obesity, LBP and trunk muscle strength. Results from this investig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besity and LBP prevalence. But obesity index didn't indicat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ructural changes of lumbar vertebrae. When considering prior research, trunk muscle strength changes were more related to LBP prevelence in obese people. This results are expected to explain causes of LBP in obese group.

운동부하심폐기능검사상의 분당최대산소섭취량과 체내 지방분포와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of $VO_2$Max/Min in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 and Fat Distribution)

  • 최재철;지현석;박용범;박성진;유지훈;김재열;박인원;최병휘;허성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4호
    • /
    • pp.495-501
    • /
    • 2000
  • 배경 : 운동부하심폐기능검사는 운동 장애의 조기진단과 환자의 심폐 예비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또한 비만이 최대운동의 제한인자로 작용함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동부하심폐기능검사와 체성분분석기를 통하여 비만과 비만의 부위가 최대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건강한 자원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여 체성분분석기 Inbody 2.0 (Biospace Co)와 bicycle ergometer 2900 model(Sensormedic Co, USA)을 이용하여 체생분분석과 운동부하심폐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군에서 $VO_2$max/min/kg은 비만도와 의미있는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체지방율과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전체 대상군에서는 $VO_2$max/min/kg이 복부지방률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 남자대상군에서는 $VO_2$max/min/kg와 복부지방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비만이 운동에 제한인자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남자에서는 비만 중에는 특히 북부미만이 운동능력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여성 대상자에서는 복부비만의 기준을 만족하는 대상자가 적어서 복부비만의 영향평가가 어려웠다. 이상의 결과로 임상에서 운동부하심폐기능검사 결과 판독시에는 비만과 비만부위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가족 내 자녀 구성에 따른 가정주부들의 가족에 대한 비만 관련 변인 인지 (Housewives' Perception on Obesity Related Variables of Family According to Child Composition of Household)

  • Seo, Yong-Seok;Lee, Dae-Taek;Cha, Kwang-Suk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103-118
    • /
    • 2007
  • 가족 내 아동 구성에 따라 가정주부들이 가족들의 비만 관련 변인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조사되었다. 90명의 가정주부가 자신과 가족들에 대한 사회인구 정보, 체중인지, 식습관행동인지, 신체활동인지를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이들은 가족의 아동 구성에 근거하여 세 그룹; 아들만 있는 가정(BO), 딸만 있는 가정(GO), 아들 딸 모두 있는 가정(BG), 으로 편성되었다. BO의 아들들은 GO의 딸들에 비해 높은 수치의 신장, 체중, WHR을 보였으나(p <.05), 이 두 그룹 간에 BMI와 허리둘레는 차이가 없었다. BO의 엄마들은 아들들이 활동적이라고 인지한 반면 GO의 엄마들은 딸들이 비활동적이라고 인지하였다(p <.05). GO의 딸들은 BO의 아들들이나 BG의 딸들에 비해 덜 규칙적인 식사를 하였다. 일반적으로 가정주부들은 가족구성원의 체중을 BMI 및 허리둘레와 연관되어 인지하였다. 엄마의 BMI 가 증가할수록 BO의 아들의 BMI는 동반 상승하였으나(p <.05), 다른 그룹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칼로리 섭취와 신체활동 권장에 대한 엄마의 인지는 신체형태에 근거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은 가정주부들이 가족 내 아동 구성에 따라 비만 관련 변인을 다르게 인지함을 제시하고 있다.

일부 농촌지역 고혈압여성의 영양섭취 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trients Intakes of Hypertensive Female Farmers)

  • 이성현;황보영숙;이한기;정금주;이연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2호
    • /
    • pp.149-157
    • /
    • 2002
  • 농촌지역 여성의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충주지역의 고혈압환자 및 정상인 지원자를 대상으로 2001년 5월 11일-15일(5일 동안)에 걸쳐 일반적인 건강 및 영양섭취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혈압군에서 체중, 허리둘레, 허리와 엉덩이 둘레의 비, 허리와 허벅지 둘레 및 혈청 중성지방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지방을 제외한 영양소 섭취량은 고혈압군에서 많았으나 칼슘과 비타민 $B_2$ 섭취량은 권장량의 70% 수준이었다. 뇨중 나트륨 배설량 및 뇨중 나트륨 배설량으로 추정된 나트륨 섭취량은 고혈압 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배추김치의 Na(mg/g) 함량과 Na/K이 고혈압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의 나트륨 섭취실태 조사에는 짠맛에 대한 기호도, 염장식품의 염도 및 뇨중 나트륨 배설량 등의 분석도 필요하며, 농촌 고혈압 여성의 혈압 및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단순한 식염 섭취의 감소뿐 아니라 싱겁게 먹으려는 개인의 노력과 캄슘, 칼륨 및 비타민 $B_2$ 섭취수준의 적정화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교육과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걷기운동과 행동수정 프로그램이 비만여중생의 체조성, 체력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lk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in Obese Girls)

  • 김종원;전재영;김태운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744-1753
    • /
    • 2007
  • 비만 여중생을 대상으로 하여 12주간 행동수정 프로그램을 포함한 걷기운동을 실시한 결과 비만 여중생의 체조성, 체력,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중선형회 귀분석 결과 체조성의 상완위팔근육둘레, 허리둘레, 신체발달지수, 체수분, 체지방량의 개선과 체력의 50m달리기 향상이 BMI, WHR, HDL-C, 공복혈당, 수축기혈압, HOMA지수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산소성 걷기운동과 행동수정 프로그램에 의한 식사량조절과 식습관 변화가 비만청소년에 있어서 대사증후군에 의한 심혈관질환과 당뇨병, 심리적 우울증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피험자 수가 적고, 실험기간이 짧아 실험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주의가 필요하며, 실험이후에 학생들의 지속적 운동 습관을 유지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신체부위별 측정변인에 따른 경신강지환16의 비만 개선효과 평가 (Clinical efficacy of Gyeongshingangjeehwan16 according to obeisty related to measurement variables.)

  • 정양삼;윤기현;최승배;윤미정;신순식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69-183
    • /
    • 2008
  • In this study, we measured body mass index, visceral fat ratio and 6 parts of body, neck circumference, circumference of upper arm, chest circumference, abdomen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and thigh circumference by bioimpedence analysis system, after taking Gyeongshingangjeehwan16 (GGEx16) in five months except the first period before taking GGEx16 on 49 women who are obesity or high-level obesity. In order to examine the significance test for the effect of obesity improvement of GGEx16, we practices repeated measure ANOVA with values of measurement variables in 6 monthly times. As a result of all measurement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value=0.001). Therefore, we can say that GGEx16 is effective about obesity improvement. As it dramatically decreased between second measure period and first measure period for all measure variables, we can see that there were the most effect of GGEx16 in the first time after taking GGEx16. It is known that a important measurement variable to have a effect for obesity improvement about two variable which are body mass index and visceral fat ratio is waist circumference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of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to effect of obesity improvement for GGEx16 around the climacteric,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effect of obesity improvement for GGEx16 around the climacteric about all parts of body (P-value=0.001). There were also powerfully difference in effect of obesity improvement for GGEx16 around the climacteric about all parts of body (P-value=0.001). Especially, the climacteric before is more effective than the climacteric after in the aspect of the effect of GGEx16.

  • PDF

한국 중년 남성에서 복부지방 축적이 혈청 지질 및 지단백 농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otal Abdominal Fat Accumulation on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in Korean middle-aged men)

  • 허갑범;이종호;백인경;안광진;정윤석;김명중;이현철;이영해;이양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3호
    • /
    • pp.299-312
    • /
    • 1993
  • Anthropometry, computed tomography(CT) at the umbilical level, nutrient intake, blood pressure, serum levels of lipids and lipoproteins and response of glucose, c-peptide, insulin, and free fatty acid(FFA)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OGTT) were estimated on 11 normal-weight controls and 35 overweight and obese middle-agd men. The areas of total abdominal, subcutaneous and visceral were determined by CT scanning technique. Total abdominal fat area correlated the most significantly with the levels of serum lipids, lipoproteins and insulin among several obese indices. Compared with normal-weight controls, overweight and obese men with abdominal fat lower than 29000$\textrm{mm}^2$ showed an increase in waist-hip ratio, areas of total abdominal(35%), visceral and subcutaneous fat and C-peptide response area during OGTT, though age, percent ideal body weight, body mass index, % body fat, and all biochemical indices except C-peptide response area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Overweight and obese men with abdominal fat greater than 29000$\textrm{mm}^2$ showed a higher values in total abdominal fat(85%), serum levels of triglyceride, total-and LDL-cholesterol, the ratio of LDL-to HDL-cholesterol, and response areas of FFA, insulin and C-peptide during OGTT than normal-weight controls. Overweight and obese men with great abdominal fat showed an increase in alcohol ingestion and percent calorie intake per total energy expenditure, compared with normal-weight controls. Our results indicate that obesity and a certain level of total abdominal fat accumulation is required to observe abnormal levels of serum lipids, lipoproteins and insulin in Korean middle-aged men. In addition, increased alcohol and calorie intake and decreased physical activity could partly explain total abdominal fat accumulation in men.

  • PDF

진동기기를 이용한 자세별 운동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 of Change Obesity Index by Specific Posture Exercise Using the Vibrator)

  • 김명철;이우철;한슬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757-762
    • /
    • 2013
  • 본 연구는 앞 뒤 진동기기를 이용한 자세별 진동운동이 신체질량지수와 신체조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대 남녀 41명을 대상으로 총 4개 군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각각 서기자세군(10명), 기마자세군(10명), 네발기기자세군(10명), 복합운동군(10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운동 전 후 신체질량지수(BMI), 엉덩이에 대한 허리둘레 비(WHR), 체지방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서기자세군, 기마자세군, 네발기기자세군 그리고 복합운동군에서 모두 신체질량지수, 엉덩이에 대한 허리둘레 비, 체지방량이 감소하였지만 복합운동군에서만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를 통해 여러 가지 자세를 혼용한 진동운동이 비만 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요통과 비만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Relation of Low back pain and Obesity)

  • 박상동;이아람;황종순;손성철;송인광;김경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102-113
    • /
    • 200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Obesity and the prevalence of LBP. Methods: From February 2001 to April 2001 we studied body composition, Body Mass Index, Basal Metabolic Rate, Obesity Degree, Waist Hip Ratio, percent body fat and muscular form of 40 patients with LBP and 40 patients with Internal disease, who visited Dong-Guk University Bundang Hospital by using Inbody 3.0. Results: 1. Sexual ratio in this study is 1:4(male:female). 2. Fluid, protein, mineral mass and BMR in patients with LBP are lower than those in patients with Internal disease, but percent body, WHR and obesity degree with LBP are higher than those in patients with Internal disease. 3. LBP prevalence is shown to rise with increasing WHR. 4. LBP prevalence is shown to rise with decreasing BMR. Conclusions: Patients with LBP are obeser than patients with Internal disease. LBP prevalence is shown to rise with increasing WHR in statistics. But LBP prevalence is shown to rise with decreasing BMR in statistics.

  • PDF

슬랙스 형태 적합성 평가의 정량적 평가 기준 설정 (Establishing Quantitativ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Shape Fitness test of Slacks)

  • 김선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95-707
    • /
    • 2016
  • This study presents quantitativ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shape fitness test, conducted in the process of the slacks fit test. This study aims to quantify appearance sensory test of slacks for the objectification of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in existing shape fitness tests. The subjects were women of standard body type between the ages of 18 and 24. Slacks differing in their ease in waist girth, hip girth, crotch length and knee length were designed to test their shape fitness. The gap volume distribution between the body and slack, angle of the baseline by body part, and ratio of total thickness from the sideline using 3D human body scan data (which reflect the results of the appearance sensory test) were presented as quantitative evaluation standards. There were less wrinkles in the wrinkle/overstretch and ease categories of the appearance sensory test; in addition, ease was adequate and small enough to comfortably perform basic human activities in the standing upright posture. The gap volume distribution analysis between body and slacks showed that curves increased in the slacks surface along with an increase of ease in slacks and suggested that wrinkles also increased. In the baseline's horizontal categories in terms of a $0^{\circ}$ horizontal angle, the range of angles were evaluated as adequate by the clothing expert group. The total thickness ratio of 0.5:0.5 divides into the sideline from the base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