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O 분류

검색결과 2,012건 처리시간 0.033초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 II)의 Upgrade 연구 (I) -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 II)에 의한 체질별 응답차이에 따른 문항분석 - (The Study on the Upgrade of QSCC II (I) - A Study on Comparison of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based on Sasang constitution's differences-Questionnair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QSCCII) -)

  • 유정희;이의주;고병희;송일병;김태연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38
    • /
    • 2003
  • Purpose: This study has focused o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dered as a basic data to indentify constitution Methods: By analysing the tendency of the respondents who has defined constitution by clinical diagnosis and comparing of their answers, the result of their constitution analysis by our questionnaire were re-examed. The answer of each question to each constitution were tested how it is relevent to a scale of a constitution. So I analysed each item response rates on QSCCII of those who had been tested and diagnosed as Taeyangin, Soyangin, Taeumin, Soeumin respectively. Results: 1. From the 537 results of QSCCII of those who were examined by professors, I made a selected Taeyang scale which is consists of 18 items, a selected Soyang scale which is consists of 40 items, a selected Taeum scale which is consists of 41 items and a selected Soeum scale which is consists of 32 items. 2. I have found that there is limitation to find out constitution by the questionnaire we used, one I hope that suitable questionnaire will be developed for the research in the future

  • PDF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인식유형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by Clinical practice Recognition typ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 전미경;장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97-305
    • /
    • 2018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한 주관성 연구로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인식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34개의 Q표본을 이용하여 임상실습을 경험한 졸업 학년의 간호대학생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PC-QUAN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1유형 '행위중심형'으로 핵심기본간호술은 간호 상황에 따라 정확히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2유형 '미래준비형'은 핵심기본간호술을 전문적 간호사가 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3유형 '의존적학습형'은 정확한 간호술 수행을 위해서는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에 대한 분석은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의 효율적인 교육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것이다.

Markov Chain을 이용한 기만환경 칩입 공격자의 기만 여부 예측 모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for Determining the Deceptive Status of Attackers using Markov Chain)

  • 유선모;위성모;한종화;김용현;조정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37-45
    • /
    • 2023
  • 사이버 기만 기술은 공격자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새로운 유형의 공격을 탐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만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Anti-honeypot 기술 또한 발전하여 기만환경임을 알아챈 공격자가 기만환경에서의 활동을 중단하거나 역으로 기만환경을 이용하는 사례들도 존재하지만 현재 기만 기술은 이러한 상황을 식별하거나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코프 체인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기만환경에 침입한 공격자의 기만환경 식별 여부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만 여부 판단 모델은 확인한 바로는 공격자의기만환경 식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이며 기만환경을 식별한 공격자를 고려하지 않는 기존의 기만기술 기반 공격자 분석에 대한 연구의 제한사항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류 모델은 기만환경임을 식별하고 활동하는 공격자 분류에 97.5%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공격자의 기만환경 식별여부 예측을 통해 수많은 기만환경 침입 데이터 분석 연구에 정제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형응급환자분류도구를 적용한 응급실에서 소아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확성 (Triage Accuracy of Pediatric Patients using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in Emergency Departments)

  • 문선희;심재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26-634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형응급환자분류도구(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를 사용한 소아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자료는 2016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 1개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터에 방문한 소아환자의 자료 중 무작위로 추출한 250건의 간호초진기록지와 진료결과였다. 수집된 자료를 검정된 전문가가 분석하여 true-triage를 정하였다. 중증도 분류 정확도는 응급실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결과와 전문가의 true-triage결과와의 일치도로 평가하였다. 전문가 의견에 따라 중증도 분류 오류의 원인이 분석되었고, KTAS 등급과 퇴원, 체류시간, 진료비와의 연관성이 비교되었다. 연구결과 전문가와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등급은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weighted kappa=.77). 중증도 분류 불일치의 원인 중 활력징후 결과를 KTAS 알고리즘 기준에 잘 못 적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n=13). KTAS 1,2 등급과 같이 중증도가 높을수록 퇴원이 적었다(${\chi}=43.25$, p<.001). 연령을 보정했을 때 KTAS 등급에 따라 체류시간(F=12.39, p<.001)과 진료비(F=11.78, p<.001)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KTAS는 국내 응급실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므로, 새로 개발된 중증도 분류 도구가 국내 응급실에 잘 적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게임이용장애 질병분류가 게임이용자의 태도와 게임의향에 미치는 효과 (Potential Effects of Gaming Disorder Classification on Gamers' Attitude and Gaming Intention)

  • 김석환;한상훈;김보라;강형구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277-301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공식 질병으로 인정한 게임이용장애 분류기준이 국내에 도입되었을 때 어떠한 효과가 나타날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일반 성인 5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응답자의 사전지식 수준차를 고려하여 절반의 응답자를 게임이용장애 분류에 관한 정보성 기사를 제공하는 집단에 무선할당하였다. 또 국내 게임중독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응답자를 정상이용집단과 잠재적 문제이용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게임이용장애 분류코드 등록은 정상집단과 잠재적 문제집단 모두에서 게임시간 24%, 게임비 28%, 이용 게임수 22%가 감소하는 등 전반적인 게임 수요를 감소시키는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적 문제이용집단의 경우 게임이용장애 공식화 후 게임비용이 증가하더라도 게임비를 기꺼이 더 지불하겠다는 의향이 정상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집단도 추가 비용 지불 의향이 높았는데, 이는 게임중독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의 효과가 미쳐야 하는 대상 집단에 오히려 경제적 비용 증가가 발생하는 역설적 영향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게임장애 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이러한 문제집단, 특히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집단', '자기통제력이 부족한 집단' 즉 중독성향이 높은 집단을 선별하여 정책의 타겟 집단으로 해야 질병코드 등록 정책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게임장애에 관한 정보성 기사의 긍정적 효과는 이미 자기통제력 수준이 높은 게임이용자들에게만 집중적으로 나타나 정작 향후 정책의 영향을 받게 될 대상(잠재적 문제집단 중 중독성향이 강한 집단)의 태도와 행동 의도에는 별다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시 한번 정책의 대상을 세분화하여 문제집단의 특성별로 정책을 정교화하는 핀셋 정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국내 여건에 관한 고려 없이 게임이용장애 분류를 도입할 경우 국내 게임이용자, 게임산업 및 유관 기업들에 부정적 영향과 손실을 끼칠 수 있으므로 산.관.학 협력을 통해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것이라 판단된다.

한국 표준직업분류에 따른 근로자의 구강기능문제 (A Study on Workers' Oral Function Problem According to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 주온주;김인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41-347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표준직업분류에 따른 근로자의 구강기능문제를 파악하고 근로자들이 집단구강건강관리사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산업안전보건법의 개정을 촉구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원시자료(1차,2차)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 한국 표준직업분류에 따른 근로자를 대상으로 씹기문제와 말하기문제를 조사한 결과 한국 표준직업분류에 따른 근로자의 유형과 씹기문제, 말하기문제의 연관성이 확인되었다(p<0.05). 이에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집단구강건강관리사업이 실행되어야 하며 집단구강건강관리사업의 주최가 될 전문성을 갖춘 전문보건의료관리자를 채용할 수 있도록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공공도서관 영유아실 자료조직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J시 시립도서관의 배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source Organization in Infants & Young Children's Sections in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the Arrangement of Library Materials in J City's Municipal Libraries)

  • 형은영;김수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85-106
    • /
    • 2016
  • 본 연구는 영유아 도서의 자료조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J시에 소재한 8개 시립도서관 영유아실을 대상으로 자료조직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방법은 분석대상 도서관의 어린이실 담당 사서 8명, 영유아실을 방문한 부모 2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모든 도서관에서 KDC를 적용하여 분류하고 있었으나 배가는 분류체계와는 달리 출판사명의 자모순 배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출판사별 배가 방식은 사서 측면에서는 정리의 편리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이용자들은 분류체계와 배가의 이원화로 인해 자료 검색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온라인검색목록시스템의 검색 결과에 도서 위치에 대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1) KDC를 유지하되 배가 방식을 청구기호 순으로 전환하는 방안과 (2) 새로운 영유아용 분류표를 개발하는 두 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요골 맥파를 이용한 사상체질 판별 (Determination of Sasang Constitution from Artery Pulse Waves)

  • 조재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59-365
    • /
    • 2020
  • 한방병원에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한 732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사상체질감별설문지 검사를 통하여 한의사가 감별한 사상체질 결과와 맥진기를 사용하여 촌, 관, 척 부위의 요골 맥파를 측정한 자료를 입수하였다. 입수한 맥파 자료로부터 맥파의 폭, 피크의 크기와 개수를 특징 변수로 추출했다. 특징 변수들 중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것들을 판별변수로 선정했다. 5겹 교차 검증법을 적용하여, 맥파 자료를 사상체질을 알려주는 훈련 표본과 사상체질을 알려주지 않는 예측 표본으로 구분했다. 훈련 표본에 대해서 판별분석을 수행하여 판별 함수를 구한 후, 이것을 예측 표본에 적용하여 사상체질을 예측했다. 예측한 사상체질과 설문지 검사로 알고 있는 사상체질을 비교하여 사상체질 분류 정확도를 계산했다. 사상체질 분류 정확도는 나이별, 성별 보정 전에는 태음인: 73.6 %, 소음인: 68.4 %, 소양인: 74.2 %이었으며, 전체 분류 정확도는 72.5 %이었다. 한국 인구를 기반으로 한 성별, 나이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정을 한 후의 사상체질 분류 정확도는 태음인(70.4 %), 소음인(84.2 %), 소양인(67.7 %)이었으며, 전체 분류 정확도는 73.8 %이었다.

맥파를 이용한 사상체질의 진단에 있어서 분류방법에 따른 진단의 정확도 비교 (Comparisons of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Methods in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with Pulse Waves)

  • 신상훈;김종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49-257
    • /
    • 2009
  • 사상의학은 체질에 따라 치료하는 방법을 달리하므로, 체질진단의 객관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맥파를 이용하여 사상체질을 객관적으로 진단함에 있어서, 정확도가 높으면서 실용적인 체질분류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방병원에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한 2848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전문의가 진단한 체질, 체질량지수, 혈압, 맥파 자료를 입수하였다. 자료의 선별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163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판별분석, 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신경망으로 체질을 예측하고 전문의가 진단한 결과와 비교하여 분류방법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판별분석은 체질별로 공분산 행렬이 동일해야 한다는 가정을 만족시키기 어려웠으며, 체질량지수를 고려하지 않은 의사결정나무와 신경망 분석의 결과는 분석표본의 변동에 민감했다. 체질분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체질량지수가 고려된 로지스틱 회귀분석 또는 의사결정나무 방법이 체질분류 방법으로 추천할 만하다.

계층적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후두질환 감별 분류기 (Implementation on the Classifier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Laryngeal Disease using Hierarchical Neural Network)

  • 김경태;김길중;전계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76-8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신경회로망을 사용하여 정상, 후두질환(polyp, nodule, palsy 등), 후두질환 중 성문암 시기별 감별진단이 가능한 후두질환 감별진단 분류기를 구현하였다. 후두질환을 가진 환자군과 정상군, 그리고 성문암의 각 시기별에 해당되는 환자군으로부터 /a/, /e/, /i/, /o/, /u/ 모음에 따른 분류작업을 수행하였다. 각 모음별 분류 실험을 수행한 결과 모든 입력 파라미터에 대해서 /a/모음이 다른 모음에 비해 우수한 분류율을 나타내므로, /a/모음만을 사용하여 후두질환을 감별진단하기 위한 계층적 신경회로망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계층적 신경회로망은 각 계층별로 서로 다른 파라미터들을 적용하여 여러 후두질환을 감별진단하도록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