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O 분류

검색결과 2,012건 처리시간 0.031초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RTHODONTIC PATIE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양규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3-121
    • /
    • 2000
  • 최근의 사회경제적인 성장과 일반인의 치열 및 안모의 심미성에 대한 인식변화로 인하여 교정치료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른 교정환자수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해 부정교합에 대한 정확한 분류와 역학적인 연구가 필요성을 느끼고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교정치료를 위하여 1986년부터 1999년 10월까지 14년간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1,381명 (남자 658명, 여자 7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단 및 석고모형을 Angle씨 분류법과 유치열기 분류법으로 나누어 부정교합의 양상 및 성별, 연령별 분포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적으로 매년 교정환자수가 불규칙한 증감추세를 보였으며 여자환자가 남자환자보다 약간 더 많았다. 2. 내원한 환자를 연령군별로 조사한 결과 5세 이하군이 8.4%, $6\sim7$세군이 29.6%, $8\sim9$세군이 34.3%, $10\sim11$세군이 21.2%, $12\sim13$세군이 5.7%, 14세이상군이 0.8%였다. 3. 유치열기에 해당하는 환자는 전체 환자중 15.7%였고 그중 mesial step이 83%, distal step이 4.6%, flush terminal plane이 12.4%였으며 mesial step중 82%가 전치부반대교합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4. Angle씨 부정교합분류법에 해당하는 환자는 전체 환자중 84.3%를 차지하였고 그중 I급 부정교합이 34.7%, II급 1류가 34.6%, II급 2류가 2.1%, III급 부정교합이 28.6%였다.

  • PDF

유사학생발화의 유형과 분류 (Patterns and Usage of Pseudo Student Talk (PST))

  • 신윤주;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8-90
    • /
    • 2008
  • 수업 중 발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교사의 발화이다. 그러나 교사는 항상 교사의 입장에서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 발화와 유사한 발화를 통해 학생들의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발화 형태를 유사학생발화라 명명하고, 유사학생발화가 다수 관찰될 것으로 예상되는 방송 수업(EBS의 2005학년도 중 1 과학 수업 중 지구과학 부분)을 연구하여 유사학생발화를 '수업 중, 학생 발화와 같은 역할을 하나, 교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발화의 통칭'이라 정의하였으며, Lemke(1990)의 학생발화분류를 토대로 연구 대상인 수업 중 나타난 유사학생발화를 교사가 개입하는 형태의 유사학생발화와 교사가 개입하지 않는 유사학생발화로 크게 유사학생발화를 나누고 교사 개입 유사학생발화로 유사 교사-학생 간 협의(Pseudo Teacher-Student Conferences), 유사 삼단계 담화(Pseudo Triadic Dialogue), 유사 교재 활용 담화(Pseudo External Text Dialogue), 유사 학생 질문 담화(Pseudo Student-Questioning Dialogue), 유사 교사-학생 간 담화(Pseudo Teacher-Student Dialogue), 유사 교사-학생 간 토론(Pseudo Teacher-Student Debate), 유사 실 담화(Pseudo True Dialogue), 유사 학생 상호 담화(Pseudo Cross Dialogue), 유사 동료 학생 발화 (Pseudo classmate talk)를, 그리고 교사 미개입 유사학생발화로 유사 학생 독백/유사 수업 중 잡담(Pseudo student monologue/Pseudo side talk)을 분류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류와 함께 각 유사학생발화의 실례를 소개하고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두통 양상의 분류 : 일차성 두통 vs 측두하악장애로 인한 두통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eadache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 Primary Headache vs Headache Attributed to TMD)

  • 유지원;배국진;홍성주;윤창륙;안종모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3호
    • /
    • pp.325-331
    • /
    • 2009
  •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와 연관된 두통의 유병율을 평가하고 측두하악장애와 연관된 두통의 양상을 평가함으로써 두통과 측두하악장애와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2008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측두하악장애 관련 증상을 주소로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 일차성 두통을 가지고 있는 환자 66명을 대상으로 하여, 측두하악장애, 두통에 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측두하악장애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경우, 측두하악관절 및 저작근이 동시에 이환된 경우가 66명 중 36명(54.5%)로 가장 많았다. 2. 두통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경우, 긴장성 두통이 66명중 59명(89.39%)로 가장 많았다. 3. 66명 중 36명(54.5%)이 측두하악장애와 연관된 두통을 호소하였다. 4. 측두하악장애와 연관된 두통을 호소한 36명 중 19명(52.78%)이 본래 존재한 일차성 두통과는 다른 양상이 측두하악장애와 연관되어 나타난다고 하였다. 즉 측두하악장애와 일차성 두통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 측두하악장애와 연관된 두통이 상대적으로 흔하게 발생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중 과반수 이상이 기존 두통양상과는 다른 증상을 호소하는 것으로 보아, 측두하악장애와 두통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있어 새로운 두통양상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측두하악장애와 두통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모집단을 대상으로, 보다 세분화된 기준을 가지고 대조군을 설정하여 평가하는 것이 추후에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물질의 상태에 관한 중 . 고등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분류 기준에 대한 유형 분석 (Type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States of Matter)

  • 김선경;김영미;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7-34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중 고등학교 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물질의 세 가지 상태에 대한 분류 기준을 조사하고 비교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물질의 상태를 구분하기 위해 처음으로 미시적 관점을 학습한 중학교 1학년 학생 76명과 화학 I II를 모두 배운 고등학교 3학년 학생 69명, 중등학교 과학교사 130명이었으며, 연구 방법은 질문지에 의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학생들의 경우 미시적 관점으로 물질의 세 가지 상태를 배웠음에도 불구하고 거시적 관점으로 분류한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고등학생들의 경우에는 고체와 기체 상태에 대해서는 미시적 관점을 포함한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액체 상태에 대해서는 거시적 관점을 포함한 응답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성은 과학을 전공한 교사들에게도 같게 나타났다. 과학교사들은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을 고르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의 관점들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지 못하고 단순히 나열식으로 제시되는 특정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질의 상태 분류 기준에 대한 거시적 관점에서 미시적 관점으로의 연계적 전환이 펼요하며, 다양한 교육적 노력이 요구된다.

환경 소음ㆍ진동의 인체영향 평가에 대한 새로운 접근 (New Approaches to Assessing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Noise arid Vibration on Human)

  • 정완섭;김용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68-771
    • /
    • 2002
  • 국외 환경 소음과 진동은 이미 세계보건기구(WHO)와 UN산하 환경기관에서 선언한 바와 같이 “전세계인의 문제”(“global issues”)로 분류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 문제점들에 대한 접근은 선진국들의 국민 복지정책의 가장 핵심적 요소로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WHO가 출판한 공중소음에 대한 지침서[1], 그리고 유럽공동체의 전문가 그룹이 작성한 보고서[2]들은 최근의 환경소음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 새로운 측정 및 평가 방법, 그리고 인체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들의 새로운 평가 기법 개발, 그리고 환경 개선을 위한 장기적 계획과 실천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중략)

  • PDF

긴급제언: 전자파 환경, 인체보호기준과 규제 -세계보건기구(WHO) 휴대폰, 무선주파수를 발암가능물질(2B)로 분류- (The Electromagnetic Fields, Exposure Limits and Regulations)

  • 문행규
    • 기술사
    • /
    • 제44권5호
    • /
    • pp.31-35
    • /
    • 2011
  • The WHO/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IARC) has classified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as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Group 2B), based on an increased risk for glioma, a malignant type of brain cancer, associated with wireless phone use on 31, May 2011. It takes 10 years after announcing the electric magnetic as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Group 2B) and 14 years after starting research project. It is too late as mentioned, too weak in terms of the same class to 'pickles & coffee' and too little in terms of using words 'more studies required'. The guidelines on human exposure to electromagnetic field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guidance to identify the safety of exposure to electromagnetic fields. On the recent recommendations of safety guidelines, there has been discussion on possible chronic effects of electromagnetic fields with much lower or no threshold. This paper riviews the global trends of safety guidelines and has suggested the new guidelines for protecting the human health, wildlife and insects.

  • PDF

Kano모델 기반의 물류 서비스 품질속성 분류와 잠재적 고객요구 개선지수 개발 (Development of Kano model based logistics service quality classification and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 조유진;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1-230
    • /
    • 2017
  • Recently, service quality must reflect several demands of customers who show rapid and various changes so as to be compared with the past. So, objective and rapid methods for them are necessary more. For them, first of all, service company must calculate their standard of service quality accurately by measuring service quality exactly. To measure service quality accurately, this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by survey for customers who are customers of logistics services, grasped potential satisfaction standard(P) by 5 point Likert scale and one survey for accurate classification of quality attributes through weighted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changing quality attributes by developing the study on Kano model and Timko's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and suggested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PCSI) for examining the improv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so as to utilize them as an index of differentiated and concrete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WHO 분류 1 등급 EPN, Phosphamidone, Terbufos 유기인계 중독환자의 임상 양상 (Different Clinical Courses for Poisoning with WHO Hazard Class Ia Organophosphates EPN, Phosphamidon, and Terbufos in Humans)

  • 문종구;문정미;이미진;전병조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8
  • Purpose: Extremely hazardous pesticides are classified as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zard class Ia. However, data describing the clinical course of WHO class Ia OP (organophosphate) poisonings in humans are very scarce. Here, we compare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ho ingested hazard class Ia OPs. Method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case study included 75 patients with a history of ingesting ethyl p-nitrophenol thio-benzene phosphonate (EPN), phosphamidon, or terbufos. The pati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chemical formulation of the ingested OP. Data regarding mortality and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were collected and compared among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scores at presentation between the three groups. No fatalities were observed in the terbufos group. The fatality rates in the EPN and phosphamidon groups were 11.8% and 28.6%, respectively. Patients poisoned with EPN developed respiratory failure later than those poisoned with phosphamidon and also tended to require longer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than phosphamidon patients. The main cause of death was pneumonia in the EPN group and hypotensive shock in the phosphamidon group. Death occurred later in the EPN group than in the phosphamidon group. Conclusion: Even though all three drugs are classified as WHO class Ia OPs (extremely hazardous pesticides), their clinical courses and the related causes of death in humans varied. Their treatment protocols and predicted outcomes should therefore also be different based on the chemical formulation of the OP.

직장항문기형의 해부와 분류 (Anatomy and Classification of Anorectal Malformation)

  • 한석주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2권1호
    • /
    • pp.91-98
    • /
    • 2006
  • Artificial classification of anorectal malformation (ARM) is difficult because it is a spectrum of embryologic maldevelopment.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an ideal classification of ARM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choose the adequate treatment and evaluate the prognosi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RM has followed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nd the pediatric surgeons, who manage the ARM, should understand the change of this classification system.

  • PDF

복합간세포-담관암종 : 병리와 분류 (Combined Hepatocellular-Cholangiocarcinoma : Recent Progressin Pathology and Classification)

  • 최준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8권1호
    • /
    • pp.1-12
    • /
    • 2011
  • Primary liver carcinomas have classified classified into hepatocellular carcinoma, cholangiocarcinoma, and combined hepatocellular-cholangiocarcinoma (CHC). CHC is a tumor containing unequivocal, intimately mixed elements of both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cholangiocarcinoma. It forms a small but significant proportion of primary liver carcinomas. The origin and pathogenesis of CHC have not been well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2010 WHO classification, CHCs are categorized into 2 groups: the classical type and a subtype with stem cell features. This review describes recent progress in pathology and classification of CH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