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 type emulsion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1초

화장품에서 UV 차단제의 피부 자극성과 SPF 측정 (SPF Measurement and Cytotoxicity of Sunscreen Agents in Cosmetic)

  • 김인영;강삼우
    • 분석과학
    • /
    • 제11권2호
    • /
    • pp.79-87
    • /
    • 1998
  • 최근의 소비자들은 waterproof 기능을 가진 광범위한 UV 차단 제품을 선호하며, 피부 안전성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NR method로 세포 자극성(in-vitro)을 실험한 결과, UV-B의 자외선 차단제들은 0.08 w/v% 이상에서 세포의 생존율이 떨어졌고, UV-A의 자외선 차단제들은 0.06 w/v% 이상에서 세포의 생존율이 떨어졌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들의 patch-test는 각각 10.5와 11.25 이하로 피부에 자극성은 없었다. UV 흡수 곡선, UV-B는 octyl methoxycinnamate(OMC), UV-A는 butyl methoxy dibenzoylmethane(BMDM) 가장 적합하였다. 따라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OMC와 BMDM이 nylon과 polyethylene에 코팅된 원료인 $Nylonpoly^{TM}$ UVA/UVB을 사용하였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zinc oxide(ZnO)와 titanium dioxide($TiO_2$)를 사용하였다. ZnO와 $TiO_2$의 혼합 비율은 6:4가 적당하였다. 총 UV차단제의 함량은 ZnO 6%, $TiO_2$ 4%와 $Nylonpoly^{TM}$ UVA/UVB 5%를 썬 스크린 크림에 혼합하였다. In-vi-tro의 SPF값은 38.9이었다. 응용으로, 동일 함량을 넣은 O/W type과 W/S type의 썬 스크린 크림을 만들어 시간 경과에 따른 SPF를 측정한 결과, SPF가 O/W type보다 W/S type이 5배 이상 오래 지속되었다. 이것은 해수욕, 등산, 스키를 탈 경우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자외선 차단제의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고자 하였으며, 매끄러움성, 피부 안전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이라고 생각되어진다.

  • PDF

O/W/O형 에멀젼 액체막에 의한 Toluene과 n-Heptane 혼합물의 분리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영향 (Effect of Surfactant on the Separation of Toluene/n-Heptane Mixture by O/W/O Type Emulsion Liquid Membrane)

  • 김태영;이주상;최성옥;남기대;박상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5-103
    • /
    • 1999
  • In the separation of toluene/n-heptane mixture by the emulsion type liquid membrane in a batch system, the effect of surfactants on the separation factor and membrane stability were studied over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ranging from 0.1 to 1.5 wt% at the contact time of 5 and 10 minutes and the settling time 5 and 10 minutes. The surfactants used were triethanol amine lauryl sulfate. The separation factor reached its maximum value at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f 0.5 wt%.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membrane breakup reached its minium values and the separation factor showed its maximum value at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f 0.5 wt%, which confirmed that efficient separation could be effect when emulsion liquid membrane were stable because of low membrane break up.

용매증발법에 의한 부피바카인 microsphere의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Bupivacaine Microspheres by a Solvent Evaporation Method)

  • 곽손혁;황성주;이병철
    • 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11-520
    • /
    • 2000
  • Various bupivacaine-loaded microspheres were prepared from poly (d,l-lactide) (PLA) or poly (d,l-lactic-co-glycolide) (PLGA) by a solvent evaporation method for the sustained release of drug. PLA and PLGA microspheres were prepared by w/o/w and w/o/o 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respectively. The effects of process conditions such as emulsification speed, emulsifier type, emulsifier concentration and internal/external phase ratio on the characteristics of microspheres were investigated. The prepared microspheres were characterized for their drug loading, size distribution, surface morphology and release kinetics. Drug loading efficiency was higher in the microspheres prepared by w/o/o multiple emulsion than that by w/o/w multiple emulsion method, because the solubility of bupivacaine HCI was decreased in oil phase compared with water phase. The prepared microspheres had an average diameter between 1 and $2\;{\mu}M$ in all conditions of two methods. In morphology studies the PLA microspheres showed an irregular shape and smooth surface, but PLGA microspheres had a spherical shape and smooth surface. The release pattern of the drug from microspheres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burst effect and the extent of the release after 24h. The in vitro release of bupivacaine HCl from microspheres showed a large initial burst release and $60{\sim}80%$ release within one day in all conditions of two methods. The extents of the burst release against PLA and PLGA microspheres were $30{\sim}50%$ and $50{\sim}80%$ within 20min, respectively. This burst release seems to be due to the smaller size of microspheres and the solubility of drug in water.

  • PDF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자외선차단지수(SPF)와 자외선A차단등급(PA)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n Protection Factor(SPF) and Protection Factor of UV-A(PA) in Sunscreen)

  • 연제영;서정민;배준태;이청희;이상길;표형배;홍진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22-43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오일의 극성도, 에멀젼의 종류, 제품의 점도, 증점제의 종류 그리고 광안정제 등이 자외선 차단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오일의 극성도가 높으면 자외선 차단 효과는 높게 측정되었으며(Butyloctyl salicylate: SPF 44.10, PA 7.93), 반대로 오일의 극성도가 낮으면 자외선 차단 효과는 낮게 측정되었다(Dimethicone: SPF 16.40, PA 5.57). 에멀젼의 종류는 O/W 에멀젼보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외상에 존재하는 W/O 에멀젼에서 자외선 차단 효율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제품의 점도는 높아질수록 자외선 차단 효율이 비례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점제의 종류 및 유화입자 크기는 자외선 차단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 또한 광안정제의 함유 여부도 자외선 차단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외선 차단제의 추가적인 증량이 없어도 자외선 차단 효율을 더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앞으로 자외선 차단제품 개발 시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O/W)/O 에멀젼형 액막을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분리 (Separation of Hydrocarbon Mixture Using (O/W)/O Emulsion Liquid Membrane)

  • 정민조;박함용;오준택;김종국;신명훈;김우식
    • 공업화학
    • /
    • 제8권5호
    • /
    • pp.763-770
    • /
    • 1997
  • (O/W)/O 에멀젼형 액막을 이용하여 비점이 비슷한 벤젠-싸이클로헥산 혼합물을 분리하였다. 액막 제조 조건이 선택도, 회수율 및 에멀젼 액적의 크기에 주는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다단 맥동 추출탑을 이용한 연속 추출 실험을 통하여 비정상상태와 정상상태에서의 추출거동을 검토하였다. 추출실험결과 유화 교반 속도 4000rpm, Tween 80 농도 0.4%, 내유상에 대한 막상의 부피비 0.75, 연속상에 대한 분산상의 부피비 0.5, 투과시간10 분에서 선택도 및 벤젠의 회수율이 가장 좋았다. 에멀젼 액적의 크기 분포 측정 결과, 교반속도가 커질수록 또는 분산상의 microdrop holdup이 작을수록 분산상 액적의 평균크기가 작았으며, 분산상 microdrop holdup의 영향을 고려한 modified Calabrese의 식을 적용한 결과 turbulence damping constant의 값은 2.28이었다. 연속 추출 실험 결과 탑내 교반속도 300 rpm, 맥동 횟수 2 times/sec, 연속상 유속 30ml/min, 에멀젼상 유속 12.0ml/min에서 가장 좋은 추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Tween-Span계 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한 Coconut Oil 원료 유화액의 유화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Coconut Oil-based Emulsion Stability Using Tween-Span Type Nonionic Mixed Surfactant)

  • 홍세흠;주카이양;줘청량;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53-45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coconut oil과 Tween-Span계 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O/W (oil in water) 유화액의 안정성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의 HLB value와 첨가량, 균질화 속도를 변수로 설정하여 제조한 O/W 유화액의 평균액적크기, 제타포텐셜, 유화안정도지수(ESI), 열적 불안정도지수(TII) 등으로부터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제조한 O/W 유화액의 평균액적크기는 100~200 nm의 나노에멀젼으로서 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의 첨가량 및 균질화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액적크기는 감소하였으며, 제타포텐셜은 증가하였다. 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의 HLB value가 6.0, 10.0, 8.0 순으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HLB value가 8.0에서 제조한 유화액의 평균액적크기는 120 nm으로 가장 작고, 제타포텐셜은 40~60 mV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ESI 및 TII를 통한 안정성 평가는 HLB value가 6.0, 10.0, 8.0 순으로 안정성이 증가하였으며, HLB value가 8.0에서의 ESI 및 TII는 각각 80% 이상과 20% 이하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에멀전증발법으로 제조된 미세 산화텅스텐 분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ine WO3 Powders Prepared by Emulsion Evaporation)

  • 안종관;신창훈;이만승;이충효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9-95
    • /
    • 2002
  • Spherical fine powders of tungsten oxide powders were prepared by the emulsion evaporation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ders prepared were examined by means of TGA, X-ray diffraction, SEM and image analysis. The emulsions were prepared by fast mixing of aqueous phase containing tugsten and the organic phase which composed of kerosene, surfactant, and paraffin oil. Precursors were made by evaporating the emulsionin the kerosene bath at $160^{\circ}C$, and then calcined at $650^{\circ}C$ in order to produce tungsten oxide powders.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tungsten oxide powders was $0.5\mutextrm{m}$ and their shapes were spherical at the both case of w/o and o/w type emulsions. As the HLB value of the surfactant increased and the concentration of tungsten ions decreased the mean particle siqe of tungsten oxide powders decreased whereas agglomerationsize increased.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Span 80 was 8 percent by volume, and the optimum stirring speed in the emulsion formation was 5000 rpm in order to obtain fine and well dispersed $WO_3$ powders.

피부 미백제를 함유한 안정한 o/w 나노에멀젼의 융복합형 화장품 이용 (Application of Stable o/w Nanoemulsions with Skin Depigmenting Agent for Integration Type of Cosmetics)

  • 조완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417-423
    • /
    • 2015
  • 정제수/Span 80-Tween 80/화장품용 피부 미백제 계에서 PIC 방법을 이용하여 o/w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 온도를 30 oC에서 80 oC로 상승시킴에 따라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입경은 150 nm에서 40 nm로 감소하여 나노에멀젼을 형성하였다. 혼합 계면활성제의 HLB를 변화함에 따라 13.0~14.0 부근에서 가장 작은 입경을 형성하는 최적 HLB가 존재하였다. 오일/유화제의 비율이 증가하면 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다. $f{\leq}0.15$ 조건에서 나노에멀젼의 크기 분포는 2 개월 이상 일정하게 유지 되었다. 제조 온도의 증가는 단 분산 나노에멀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나노에멀젼이 생성되면, Ostwald ripening에 대한 안정성은 연속 상에서 화장품용 피부 미백제의 매우 낮은 용해도로 인해 안정하였다.

유화제 종류에 의한 Water/Oil 에멀젼 연료의 유화 안정성 (Emulsion Stability of Water/Oil Emulsified Fuel by associated with Emulsifiers)

  • 김문찬;이창숙;박해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95-403
    • /
    • 2008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mulsified fuel were studied. The emulsified fuel which was composed of water and diesel was manufactured by using homogenizer and ultrasonic generator. The more the percentage of water contents increases, the more the density increases to the emulsified fuel. However, the viscosity increased in the 60% of water contents and decreased in the 70% of water contents because the O/W type was formed. The 3 minutes's ultrasonic waves during the irradiation time was appropriate of 16,000 rpm. And the energy density of ultrasonic waves was 87.5J/g. The emulsion stability has improved in the lower temperature, the lower percentage of water contents, and the most stable emulsion state was obtained from 20%(w/w) of water contents. Also, the emulsion stability was related to the HLB values of emulsifiers. Especially, the HLB values of emulsifier were appropriate from 4 to 7 values.

신 IMO 협약에 따른 에멀젼 분리형 선박용 유수분리기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Study of factor of Bilge Separator for oily water emulsion conforming with new IMO regulation)

  • 임재동;박선정;박상호;김인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03-108
    • /
    • 2006
  • 새롭게 적용되는 IMO 규정에 적합한 선박의 15ppm Bilge Separator를 개발하기 위하여 Bilge 폐수에 함유된 Emulsion 의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에멀젼의 경우 그 안정성으로 인해 육상에서도 처리하기가 매우 까다로운데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Emulsion의 안정성을 파괴하여 처리하고자 하였다 파괴된 기름 입자는 서로 응집하여 부상처리 되는데, 선박은 특성상 장치의 설치장소가 협소하기 때문에 Bilge 폐수의 처리에 시간이 충분치 않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과 화학적 처리에 가장 기본이 되는 응집제의 선정과 기본적인 환경요인들을 결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국내 제품 중의 응집제를 선정하였고 가장 응집 효과가 좋은 pH 영역과 응집제의 투여량을 결정하였으며 기초 실험을 통해 최적효율을 나타내는 부상방법을 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Pilot Plant를 제작하여 에멀젼 함유 Bilge 폐수를 처리한 결과 IMO에서 정한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