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ulnerability Scanner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Web Vulnerability Scanner를 이용한 취약성 분석 (Vulnerability Analysis using the Web Vulnerability Scanner)

  • 장희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71-76
    • /
    • 2012
  • Mashups, web 3.0, 자바스크립트 및 AJAX 등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웹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시 웹취약점들에 대한 새로운 보안 위협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전 진단과 함께 대비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웹취약성에 대한 보안 위협과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Web Vulnerability Scanner(WVS) 자동화 도구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웹취약성을 분석한다. Cross Site Scripting(XSS)와 SQL Injection 등 대표적인 웹취약성에 대한 분석 결과, 약 22.5%에 해당하는 웹사이트가 보안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약성 경고 수는 0부터 31,171 alerts로 분포되고, 평균 411 alerts, 편차는 2,563 alerts로서 보안 관리에 취약한 웹사이트의 경우, 경고 수가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세부적인 웹취약성에 대한 사전 대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검색엔진을 이용한 취약점 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Vulnerability Scanner using Search Engine)

  • 주복규;민병우;장문석;안창균;양동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9-24
    • /
    • 2009
  • 컴퓨터 사용이 보편화되고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게 되어 보안에 대한 위협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사용자가 쉽게 보안 취약점을 점검할 수 있는 보안 스캐너를 개발하였다. 기존의 보안 스캐너는 새로운 취약점이 알려지면 보안 서버에 그 내용을 갱신하고 나서 고객 서버를 점검하는 체제인데 반해, 우리 시스템은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취약점들을 자동으로 모아서 보안 서버에 색인해 두고, 사이트 관리자가 별도의 갱신 없이 보안서버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보안 취약점을 점검할 수 있게 해준다.

  • PDF

원전 적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취약점 스캐너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Network-based Vulnerability Scanner for application in Nuclear Power Plants)

  • 임수창;김도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392-1397
    • /
    • 2018
  • 원자력 발전소는 주요 국가에서 관리하는 핵심 시설로 보호되고 있으며, 원자력 발전소의 설비들에 일반적인 IT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에 설치된 아날로그 방식의 운용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산에 대해 디지털화된 자원을 활용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원전의 IT자산을 제어하는 것은 상당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기존 IT자원이 지닌 잠정적인 보안 취약점(Vulnerability)으로 인해 원자력 시설 전반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이버 보안 침해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원전 사이버 보안 취약점 규제 요건과 기존 취약점 스캐너의 특징 및 이들이 지닌 요건들을 분석하였고, 상용 및 무료 취약점 스캐너를 조사 하였다. 제안된 적용 방안을 바탕으로 취약점 스캐너를 원전에 적용할 시 원전의 네트워크 보안 취약점 점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취약점 점검 도구를 이용한 자동화된 네트워크 취약점 통합 분석 시스템 설계 (An Automatic Network Vulnerability Analysis System using Multiple Vulnerability Scanners)

  • 윤준;심원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2호
    • /
    • pp.246-25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취약점 분석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취약점 점검 도구를 통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취약점 자동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전문가에 의한 수동 점검이 가장 정확한 취약점 점검 방법으로 평가되지만, 복잡하고 규모가 큰 네트워크의 경우 효율적인 취약점 분석을 위해 자동화된 네트워크 취약점 점검 도구를 활용한다. 그런데 취약점점검 도구의 종류에 따라 점검 대상이 다르거나 동일한 점검 대상에 대해서도 점검 항목과 점검 결과가 다를 수가 있어, 상호보완적인 목적으로 몇 개의 취약점 점검 도구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취약점 점검 도구들의 점검 결과에 대한 연관성 분석과 통합 분석에는 사람에 의한 수동적인 분석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것은 상당히 시간 소모적인 작업이 되고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라 통합 분석이 불가능하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취약점 점검 도구를 통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공통의 점검 정책 수립과 통합 분석의 자동화를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취약점 통합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어시스템 플랫폼 취약점 스캐너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ols for Control System Platform Vulnerability Scanner Development)

  • 오광선;류재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02-205
    • /
    • 2016
  • 취약점 스캐너(Vulnerability Scanner)는 이름 그대로 기업의 네트워크나 시스템(컴퓨터, 서버, 라우터 등)을 스캔하고 오픈 포트, 활성화된 IP주소와 로그온, 운영체제, 설치되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등을 식별하고 보고하는 도구이다. 가용성과 데이터의 신뢰성이 우선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제어시스템 환경에서는 이러한 취약점 스캐너 도구의 사용은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저자는 기존에 상용화된 스캐너 제품의 취약점 식별 방법을 분석하고 현재까지 발표된 제어시스템 풀랫폼의 공개 취약점 정보를 이용하여 폐쇄적인 제어시스템 운영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제어시스템 플랫폼 취약점 스캐너를 제안한다.

의료기관 종별 웹 사이트 정보보안 관리 실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of Hospital Web Sites)

  • 김종민;류황건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32
    • /
    • 2015
  • In this paper, we evaluated web security vulnerability and privacy information management of hospital web sites which are registered at the Korea Hospital Association. Vulnerability Scanner (WVS) based on the OWASP Top 10 was used to evaluate the web security vulnerability of the web sites. And to evaluate the privacy information management, we used ten rules which were based on guidelines for protecting privacy information on web sites. From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we discovered tertiary hospitals had relatively excellent web security compared to other type of hospitals. But all the hospital types had not only high level vulnerabilities but also the other level of vulnerabilities. Additionally, 97% of the hospital web sites had a certain level of vulnerability, so a security inspection is needed to secure the web sites. We discovered a few SQL Injection and XSS vulnerabilities in the web sites of tertiary hospitals. However, these are very critical vulnerabilities, so all hospital types have to be inspected to protect their web sites against attacks from hacker. On the other hand, the inspection results of the tertiary hospitals for privacy information management had a better compliance rate than that of the other hospital types.

취약성 점검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에이전트를 통한 통합 취약성 분석 시스템 (Integrated Security Manager with AgEnt-based vulnerability scanner automatically generating vulnerability analysis code(ISMAEL))

  • 김수용;서정석;조상현;김한성;차성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11-122
    • /
    • 2002
  • 악의의 침입자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취약성을 분석하고 발견된 취약성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침입한다. 그러므로 보안 관리자는 악의의 침입자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시스템의 취약성들을 분석하여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해당 취약성들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기존의 시스템 취약성 분석 방법은 주로 네트웍 기반 취약성 분석 도구에 의존해 왔다. 하지만, 네트웍 기반 취약성 분석 도구는 대상 시스템과의 네트웍 통신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제한된 정보만을 이용하여 취약성을 점검하기 때문에 네트웍 통신을 통해 접근할 수 없는 시스템 내부 취약성에 대한 검사는 불가능하다. 시스템의 모든 취약성을 정확하게 점검하기 위해서는 호스트 기반 취약성 분석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호스트 기반 취약성 분석 도구는 시스템의 운영체제의 종류와 버전에 따라 다르게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호스트들을 관리 해야하는 보안 관리자가 호스트 기반 취약성 분석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에이전트 기반 취약성 분석 도구인 ISMAEL을 제안하여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ISMAEL에서 매니저는 대상 시스템에 설치된 에이전트에게 취약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에이전트는 그 정보를 근거로 자신에게 맞는 취약성 분석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취약성을 점검한다. 해당 취약성의 점검 결과는 다시 매니저에 XML 형태로 전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여러 운영체제로 에이전트를 포팅하는 것이 쉬워질 뿐만 아니라 취약성 점검 항목들이 추가되더라도 매니저의 수정이나 에이전트의 수정이 거의 필요 없게 된다. 우리는 ISMAEL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실제로 적용해 봄으로써 이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수준별 신규 취약점 점검 모듈 개발 방법론 (Study of Methodologies for New Vulnerability Checking Module Development Proper to User Level)

  • 백승현;오형근;이도훈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9-40
    • /
    • 2006
  • 웜, 바이러스를 비롯한 최근의 사이버위협은 인터넷과 같은 주요 정보통신시설에 내제된 취약점을 악용하여 경제적 및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취약점 발표 시 신속하게 취약점 점검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일이 매우 필요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규 취약점 발생 시 이에 대한 점검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방법론을 연구한다. 첫째, GFI LANGuard Network Security Scanner, Nessus 등을 포함한 7개의 취약점 점검 도구에서 신규 취약점 발생 시 대응하는 방법을 조사 및 분석하고 이에 대해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둘째, 이를 기반으로 5가지 고유한 취약점 점검 모듈 제작 방법을 수준별로 정의하고 이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가상의 조건을 정의하고 5가지 취약점 점검 모듈 제작 방법 중 주어진 조건에 부합하는 최적의 방법을 결정하는 절차를 제시한다.

  • PDF

취약성 정보를 활용한 정책 기반 보안 시스템 모델링 (Policy-based Security System Modeling using Vulnerable Information)

  • 서희석;김동수;김희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7-109
    • /
    • 2003
  • As the importance and the need for network security is increased, many organization uses the various security systems. They enable to construct the consistent integrated security environment by sharing the vulnerable information among firewall, intrusion detection system, and vulnerable scanner. And Policy-based network provides a means by which the management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largely automated. In this article we build a foundation of policy-based network modeling environment. The procedure and structure for policy rule induction from vulnerabilities stored in SVDB (Simulation based Vulnerability Data Based) is conducted. It also transforms the policy rules into PCIM (Policy Core Information Model).

취약점의 권한 획득 정도에 따른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성 수치화 프레임워크 (A Web application vulnerability scoring framework by categorizing vulnerabilities according to privilege acquisition)

  • 조성영;유수연;전상훈;임채호;김세헌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601-613
    • /
    • 2012
  • 안전한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안을 고려한 웹 애플리케이션의 설계와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성을 수치화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프레임워크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프레임워크에 의하여 도출된 수치는 누적 방식에 의하여 계산되기 때문에 취약점의 심각성을 제대로 분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을 권한 획득 가능성에 따라 등급을 나누고 수치화함으로써 취약점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둘 수 있다. 또한 개별 웹 애플리케이션뿐 아니라 한 조직에서 제공하는 여러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취약성을 수치화함으로써 어느 웹 애플리케이션이 가장 취약하며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실제 크롤링 기반 웹 스캐너를 통하여 발견된 취약점들에 대하여 우리가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등급을 나누고 수치화함으로써 취약점의 권한 획득 가능성에 따른 분류의 중요성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