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olatile organic acid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3초

후숙 온도에 따른 오미자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during Postharvest Ripening at Various Temperatures)

  • 정평화;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9-474
    • /
    • 2006
  • 본 실험에 사용하였던 미숙성 오미자의 일반성분은 수분 $79.6{\pm}0.8%$, 조단백질 $1.7{\pm}0.5%$, 조지방 $1.2{\pm}0.1%$, 회분 $0.6{\pm}0.0%$이었다. 후숙기간 동안 착즙수율은 $4^{\circ}C$에서는 $55.3{\pm}0.6-56.3{\pm}0.6%$로서 큰 변화가 없었고, $25^{\circ}C$와 실온에서는 6-7% 정도 감소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25^{\circ}C$와 실온 저장시 6일째 $12.2{\pm}0.15%$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pH는 $4^{\circ}C$와 실온 저장시 후숙기간 동안 pH 2.76-2.81로서 큰 변화가 없었으며, $25^{\circ}C$ 저장시 초기 pH $2.81{\pm}0.02$에서 점차 낮아져 저장 8일째 pH $2.68{\pm}0.03$을 나타내었다. 적정산도는 $25^{\circ}C$와 실온 저장시 저장 6일째 각각 $7.49{\pm}0.03%$$7.20{\pm}0.03%$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 감소하였다. 색도의 변화는 $25^{\circ}C$와 실온 저장시 a값(적색도)은 초기 5.04에서 8일째 각각 6.77 및 7.65로 증가하였으며, L값(명도)은 후숙기간 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fructose(0.55%), glucose(0.56%), sucrose(0.50%)가 주로 검출되었으며, 후숙이 진행되면서 fructose와 glucose 함량은 증가하였고, sucrose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 유리당의 함량은 $25^{\circ}C$와 실은 저장시 초기 1.61%에서 저장 6일째까지 각각 2.53%와 2.13%로 증가하였고, 후숙 8일째에는 각각 1.94%와 2.08%로 감소하였다. 유기산은 후숙 초기에 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각각 0.17, 0.07 및 1.21%로서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후숙기간 중 변화는 유리당의 경우와 비슷하였다. 오미자의 후숙을 위해서는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총 유리당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4^{\circ}C$에서 저장하는 경우 8일동안, 그리고 $25^{\circ}C$ 및 실온에서 저장하는 경우 6일 동안 후숙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판누룩 사용 별 석탄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ktanju Fermented by using Different Commercial Nuruks)

  • 최지호;전진아;정석태;박지혜;박신영;이충환;김택중;최한석;여수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6-62
    • /
    • 2011
  • 고문헌에 기록된 사라진 우리술을 발굴하는 전통주 복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시판 누룩 5종을 사용한 석탄주(惜呑酒)를 제조하여 이들의 양조적성을 구명하였다. 석탄주 발효 중 품온변화 등 일반성분을 분석하였고 완성된 석탄주(발효기간 10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술덧의 품온변화는 실내온도 변화에 상응하였다. pH는 전체적으로 발효 0~3일차까지 급격히 떨어졌다가 발효 중간부터 완만히 증가(3일: 3.13~3.57, 6일: 3.35~3.80)하였고, 발효 종료 시, pH 3.60~4.05로 상승하였다. 산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0.45~0.59%) Nuruk-B의 수치가 가장 높았다. 이는 누룩에 생육하는 유기산 생성 곰팡이와 젖산균이 술덧의 적절한 온도, 원료 조성, 효모 수에 따라 유기산 생산능에 차이가 있는것으로 보여진다. 환원당과 당도는 Nuruk-C로 제조한 석탄주에서 가장 높았으나(5.36%, 23o) 알코올 함량(8.6%)은 가장 낮았다. 5종의 시판누룩으로 발효시킨 석탄주에서 Nuruk-A가 알코올 함량(19.4%)이 가장 높았고 휘발산은 발효 3일째 가장 높은 수치(132.6~263.7 ppm)를 나타내었으나, 발효가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5.25~5.94 ppm)하였다. 관능평가는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으며 Nuruk-D로 제조한 석탄주가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4.0), Nuruk-A의 경우 가장 낮았다(2.77).

폐 Ni-Mo 및 폐 Co-Mo계 촉매상에서 방향족 화합물의 촉매산화: 물리화학적 전처리 효과 (Catalytic Oxidation of Aromatic Compounds over Spent Ni-Mo and Spent Co-Mo based Catalysts: Effect of Physico-chemical Pretreatments)

  • 심왕근;강웅일;김상채
    • 공업화학
    • /
    • 제21권1호
    • /
    • pp.63-70
    • /
    • 2010
  • 석유화학공업에서 발생한 2종류의 금속산화물계열 폐 촉매(Ni-Mo, Co-Mo)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제거를 위한 촉매 연소 공정에 재이용하였다. 특히 폐 촉매의 재생방법에 따른 VOCs 제거효과를 검토하여 최적의 재생 조건을 살펴보았다. 폐 촉매는 1) 산 수용액, 2) 알칼리 수용액, 3) 세정액 및 4) 스팀(steam) 등을 이용하여 재생 처리하였고, 재생 처리 전-후의 이들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는 질소흡착등온선, X-선 회절분석기(XRD) 및 에너지분산 X-선 분광기(EDS)를 갖춘 주사현미경(SEM)으로 조사하였다. Benzene 산화반응 실험 결과 폐 촉매는 VOCs 연소 촉매로 재이용 가능성이 높았다. 그리고 이들 폐 촉매의 활성은 전처리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두 폐 촉매 모두 0.1 N $C_2H_2O_4$ 용액으로 처리할 때 활성이 가장 좋았다. 또한 최적 조건(0.1 N $C_2H_2O_4$)에서 처리한 촉매는 다른 방향족 화합물(Toluene/Xylene) 처리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었다.

Effect of Monensin and Live Yeast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Carcass Characteristics and Ruminal Fermentation Parameters in Lambs Fed Steam-flaked Corn-based Diets

  • Ding, J.;Zhou, Z.M.;Ren, L.P.;Meng, Q.X.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547-554
    • /
    • 2008
  • In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slaughter trials, a total of forty five male weaned lambs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onensin and live yeast supplementation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carcass characteristics and ruminal fermentation parameters when the lambs were fed steam-flaked corn-based diets. Animals were allotted to one of three treatment die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three treatment diets were: (1) basal diet (CON) with steam-flaked corn as a sole grain source, (2)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monensin (MO), and (3)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live yeast (LY). Total average daily intake (ADI) was unaffected by MO and LY supplementations. LY supplementation increased (p<0.05) average daily gain (ADG) by 13.1% compared with the CON diet. Both MO and LY supplementations resulted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p<0.05) of feed efficiency over the CON diet (4.47, 4.68 vs. 5.05). Hemicellulose digestibility was higher (p<0.05) for lambs in the LY supplementation group (62.4%) as compared with the CON group (55.7%), but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crude protein (CP),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All carcass traits were not influenced by dietary supplementations. Ruminal pH in lambs fed the LY supplemental diet was more stable than that with the CON diet (6.57 vs. 6.17). Neither MO nor LY supplementation influenced the concentration of ruminal ammonia-N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and molar percentages of individual VFA. Plasma urea-N concentration was decreased (p<0.05) by MO and LY supplementations, while plasma ${\beta}$-hydroxybutyrate (BHBA), glucose and other blood parameters were unaffected. In conclusion, while both MO and LY supplementations had a positive impact on feed efficiency and LY supplementation stabilized ruminal pH and improved fiber utilization, none of the supplements had the capacity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carcass characteristics.

김치 미생물 조성을 바탕으로 한 김치 스타터의 선정 및 효과 (Selection of Kimchi Starters Based on the Microbial Composition of Kimchi and Their Effects)

  • 진효상;김종범;윤영주;이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71-675
    • /
    • 2008
  • 대다수 숙성 김치의 미생물 조성이 L. mesenteroides와 L. sakei로 구성되며, 이러한 혼합조성을 가진 김치가 맛이 있다는 점을 바탕으로 김치 맛을 가장 좋게 하며 김치 미생물을 조절하는 능력을 가진 두 균주 L. mesenteroides K2M5와 L. sakei K5M3을 각각 김치스타터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두 가지 균주들은 베타 용혈현상을 보이지 않았고, 암모니아나 인돌을 생성하지 않았으며, 젤라틴을 용해하지 않았고, phenylalanine deaminase, ${\beta}$-glucuronidase, ${\beta}$-glucosidase, 7${\alpha}$-dehydroxylase, nitroreductase 등의 효소 활성에서 음성을 보여 산업적으로 사용하여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두 가지 균주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는 비첨가 김치에 비해 실험실 평가와 다수의 일반인을 상대로 한 비교평가에서 맛이 더 우수하였고, 미생물 조성은 오직 첨가한 균주로만 구성되어 선정한 균주들은 김치 맛을 좋게 하고 미생물 조성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능력이 있는 스타터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스타터를 첨가한 김치는 대조김치에 비해 젖산 등의 유기산 함량이 특이하게 높았으나 산도, 염도, 당 함량 등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Effects of Persimmon (Diospros kaki L.) Vinegar as a Dietary Supplement on Feed Intake, Digestibility, and Ruminal Fermentation Indices in Sheep

  • Shin, J.H.;Ko, Y.D.;Kim, B.W.;Kim, S.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2호
    • /
    • pp.1578-1586
    • /
    • 2010
  • This study estimated the effect of fermented persimmon (Diospros kaki L.) extract (FPE) supplement on feed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N) balance, and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sheep. Five male sheep (Corriedale${\times}$Polwarth) with average body weight of $48.6{\pm}1.3\;kg$ were housed in metabolism crates and assigned to a 5${\times}$5 Latin square design with five consecutive 20-d periods which consisted of 14-d adaptation and 6-d data collection. The sheep were fed ad libitum a diet containing concentrate and rice straw (3:7). The five treatments were FPE supplemented at 0 (Control), 5, 10, 20, and 30 g/kg of concentrate. Intakes of dry matter (DM, p<0.01), organic matter (OM, p<0.01), neutral detergent fiber (NDF, p<0.05), acid detergent fiber (ADF, p<0.05), and nitrogen-free extract (NFE, p<0.01) increased quadratically with increasing intake of FPE supplement and maximized (p<0.05) at 10 g/kg FPE. The digestibilities of DM (p<0.05), OM (p<0.05), crude protein (p<0.01), and NFE (p<0.01) increased quadratically with increasing amount of FPE supplement, and sheep fed 5 and 10 g/kg diets had greater (p<0.05) DM, OM, and NFE digestibilites than the Control treatment. By increasing FPE supplement concentration, N intake (p<0.01) and fecal N (p<0.05) increased linearly, whereas retained N (p<0.05) and retained N ratio (p<0.05) increased quadratically. The retained N was maximized (p<0.05) in sheep fed 5 and 10 g/kg diets. The mean rumen pH was not affected by FPE supplement, but there was a quadratic increase (p<0.05) of mean rumen ammonia N concentration and a linear increase (p<0.01) in mean rumen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and acetate concentrations. The mean concentration of rumen propionate in sheep fed all FPE supplemented diets was greater (p<0.05) than the Control, but the mean ratios of rumen acetate to propionate in sheep fed 5 and 10 g/kg diets were lower (p<0.05) than that of Control sheep. In conclusion, FPE supplemented at 5-10 g/kg of concentrate improved feed intake, the digestibilites of OM and NFE, N metabolism, and rumen fermentation indices of sheep.

신평·장림 산단 인근 주민의 PAHs 및 VOCs 노출 (Exposure to PAHs and VOCs in Residents near the Shinpyeong·Jangrim Industrial Complex)

  • 윤미라;조혜정;김근배;장준영;이철우;이보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1-14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biomarkers in residents near the Shinpyeong·Jangrim Industrial Complex to compare them with those of residents in a control area. Methods: Hazardous air pollutants (PAHs and VOCs) were measured in an exposure area (two sites) and a control area (one site).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esidents near the industrial complex (184 persons) and residents in the control area (181 person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which factors affected the concentration of PAHs and VOCs metabolites. Results: The average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PAHs in Shinpyeong-dong and Jangrim-dong was 0.45 and 0.59 ppb for pyrene, 0.15 and 0.16 ppb for benzo[a]pyrene, and 0.29 and 0.35 ppb for dibenz[a,h]anthracene. The average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VOCs was 1.10 and 0.99 ppb for benzene, 8.22 and 11.30 ppb for toluene, and 1.91 and 3.05 ppb for ethylbenzene,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PAHs and VOCs in residents near the Shinpyeong·Jangrim Industrial Complex were higher than those of residents in the control area. Geometric means of urinary 2-hydroxyfluorene, 1-hydroxypyrene, methylhippuric acid, and mandelic acid concentrations were 0.45, 0.22, 391.51, and 201.36 ㎍/g creatinine, respectively. Those levels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area (p<0.05). In addition,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ven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such as gender and smoking, the concentration of metabolites in urine was high in residents near the Shinpyeong·Jangrim Industrial Complex.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possibility of human exposure to VOCs in residents near the Shinpyeong·Jangrim Industrial Complex. Therefor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local community is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al pollutant emissions.

Oil supplementation improved growth and diet digestibility in goats and sheep fed fattening diet

  • Candyrine, Su Chui Len;Jahromi, Mohammad Faseleh;Ebrahimi, Mahdi;Chen, Wei Li;Rezaei, Siamak;Goh, Yong Meng;Abdullah, Norhani;Liang, Juan B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533-540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growth, digestibility and rumen fermentation between goats and sheep fed a fattening diet fortified with linseed oil. Methods: Twelve 3 to 4 months old male goats and sheep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dietary treatment groups in a $2(species){\times}2$ (oil levels) factorial experiment. The treatments were: i) goats fed basal diet, ii) goats fed oil-supplemented diet, iii) sheep fed basal diet, and iv) sheep fed oil-supplemented diet. Each treatment group consisted of six animals. Animals in the basal diet group were fed with 30% alfalfa hay and 70% concentrates at a rate equivalent to 4% of their body weight. For the oil treatment group, linseed oil was added at 4% level (w:w) to the concentrate portion of the basal diet. Growth performance of the animals was determined fortnightly. Digestibility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final week of the feeding trial before the animals were slaughtered to obtain rumen fluid for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study. Results: Sheep had higher (p<0.01) average daily weight gain (ADG) and better feed conversion ratio (FCR) than goats. Oil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rumen fermentation in both species and improved ADG by about 29% and FCR by about 18% in both goats and sheep. The above enhancement is consistent with the higher dry matter and energy digestibility (p<0.05), as well as organic matt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p<0.01) in animals fed oil- supplemented diet. Sheep had higher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and acetic acid proportion compared to goa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heep performed better than goats when fed a fattening diet and oil supplementation at the inclusion rate of 4% provides a viable option to significantly enhance growth performance and FCR in fattening sheep and goats.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양개선(飼養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일위((第一胃)에서의 영양소(營養素) 흡수(吸收)에 대(對)하여 - (Nutritional Studies for Improvement of Feeding on Korean Native Goat - Absorption of Nutrients in Rumen -)

  • 권순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84-302
    • /
    • 1982
  • 식량(食糧)으로서 단백질자원(蛋白質資源)의 개발문제(開發問題)는 동남(東南)아시아에 있어서 특(特)히 중요(重要)하며 한국(韓國)에 있어서도 섭취량(攝取量)이 부족(不足)한 현상(現狀)이다. 이 문제(問題)를 개선(改善)하는 방법으로 특(特)히 영양가(營養價)가 높은 동물성(動物性) 단백질(蛋白質)의 증산(增産)을 목적(目的)으로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육(飼育)에 관(關)해서 연구(硏究)를 행하였다. 이 실험(實驗)은 우선 한국고유(韓國固有)의 재래산양(在來山羊)을 육자원(肉資源)으로 개발(開發)할 가치(價値)가 있는가를 확인(確認)하기 위해서 소형(小型) 제(第)1위법(胃法)으로 탄수화물(炭水化物)과 휘발성지방산(揮發性脂肪酸)의 흡수(吸收)를 실험(實驗)하였고 한편 in vivo법(法)에 의해서 제(第)1위(胃)의 아미노산 흡수(吸收)에 관해서 실험(實驗)을 했다. 이와 같은 실험(實驗) 결과(結果)에서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육(飼育) 개선(改善)에 관해서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형(小型) 제(第)1위법(胃法)에 의해서 재래산양(在來山羊)의 영양흡수(營養吸收)에 관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영양소(營養素)를 주입(注入) 한 후 0.5, 1, 2시간(時間)의 간격(間隔)으로 측정(測定)한 V F A의 흡수율(吸收率)이 푸로피온산 70~86%, 초산 74~87%, 낙산 76~89%였다. 유기물(有機物)의 흡수율(吸收率)은 0.5%의 에칠 알콜이 29~89%였으며, 0.1M의 젖산이 12~27% 흡수(吸收)되었다. 2. 제(第)1위내(胃內)에 유리(遊離) L형(型) 아미노산을 투여(投與)하고 그 흡수(吸收)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제(第)1위(胃) 정맥(靜脈)의 아미노산 함량(含量)에 있어서 전요(全要)아미노산구(區)에 비하여 메치오닌 결핍구(缺乏區)의 흡수율(吸收率)이 적었고 메치오닌 3배구(倍區)와 요소첨가구(尿素添加區)의 아미노산 흡수율(吸收率)이 높고 특(特)히 메치오닌을 결핍(缺乏)시켜도 점막층(粘膜層)의 함량(含量)에는 변화(變化)가 없었다. 3. 제(第)1위내(胃內)에 근육층(筋肉層)의 아미노산 흡수(吸收)도 점막(粘膜)과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메치오닌 결핍(缺乏)에 의한 영향은 없고, 메치오닌을 3배(倍)로 첨가(添加)하면 전요(全要)아미노산구(區)에 비(比)하여 메치오닌과 글루타민의 함량이 147.44배(倍) 이상으로 증가(增加)되며 또 요소첨가구(尿素添加區)는 글루타민, 프롤린, 발린의 흡수율(吸收率)이 증가(增加)되었다. 4. 제(第)1위(胃) 정맥혈장(靜脈血漿) 중의 아미노산 농도(濃度)는 제(第)1위(胃) 점막(粘膜) 중이나 근육(筋肉) 중에서 보다 일반적(一般的)으로 낮으며 메치오닌의 결핍(缺乏)에 의해서 아미노산의 흡수율(吸收率)이 저하(低下)되고 메치오닌 3배구(倍區)나 요소첨가구(尿素添加區)는 아미노산 흡수(吸收)를 증가(增加)시키는 등 아미노산 조성분(組成分)에 따라서 그 흡수상태(吸收狀態)에 변화가 생긴다. 5. 요소첨가구(尿素添加區)는 제(第)1위(胃) 근육층(筋肉層)의 암모니아태질소(態窒素)와 아미노태질소(態窒素) 및 요소(尿素)의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켰다. 재래산양(在來山羊) 제(第)1위(胃)안을 완전(完全)하게 깨끗이 할 수 없으므로 남아있는 세균(細菌)을 조사(調査)하였으며 암모니아태질소(態窒素)의 변화(變化)는 이러한 조건(條件)의 영향을 받았다. 6. 아미노산의 흡수차(吸收差)에 의한 제(第)1위(胃) 조직(組織)의 변화(變化)를 일반(一般) 현미경(顯微鏡)과 형광(螢光) 현미경(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는 메치오닌 3배구(倍區)에 있어서 점막(粘膜)의 단층엔주상피(單層円柱上皮)와 고유층(固有層)이 약간 엷어졌으며 요소첨가구(尿素添加區)는 두껍게 변화(變化)하였는데 점막하조직(粘膜下組織)이나 근층(筋層)에 있어서는 각(各) 구간(區間)에 큰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연안산 저활용 패류를 이용한 기능성 풍미소재의 정미성분 및 정미발현 (Taste Compounds and Reapprearance of Functional Flavoring Substances from Low-Utilized Shellfishes)

  • 오광수;허민수;박희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99-805
    • /
    • 1998
  • 새로운 수산가공용 풍미소재의 개발과 품질개선, 연안에서 생산되는 저활용 수산자원의 유효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개조개와 동결저장 상태의 굴을 원료로 조제한 2단계 효소분해엑스분의 정미성 및 기능성, 그리고 수산물 엑스분의 풍미 발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개조개 의 열수추출 및 자가소화엑스분, 2단계 효소분해엑스분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1,123.6 mg/100 g, 2,080.2 mg/100 g 및 1,943.0 mg/100 g이었고, 굴로 가공한 엑스분의 경우는 1,179.0mg/100g, 1,304.1 mg/100g 및 5,066.2mg/100g이었다. 핵산관련물질은 시료 액스분 모두 AMP가 소량 함유되어 있었고, betaine함량은 211.4\~385.9mg/100g$으로 열수추출 및 효소분해추출에 따른 함량 차이는 거의 없었다. Total creatinine은 $30.4\~35.9mg/100g$으로 역시 추출방법에 따른 함량 차이는 거의 없었고, TMAO는 효소분해 엑스분 쪽이 함량이 적었다. 유기산은 개조개 및 굴 엑스분 모두 succinic acid가 주성분이었고, 시료 엑스분의 맛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무기 양이온으로서 P, Na 및 K가 양적으로 많았으며, 음이온으로는 Cl과 $PO_4$의 함량이 많았다. 엑스분의 추출방법에 따라 무기성분의 함량 차이가 심했는데, 열수추출에 비해 효소분해엑스분 쪽이 함량이 휠씬 많았다. 시료 엑스분의 펩티드함량은 열수추출, 자가소화, 효소소화엑스분 순으로 함량이 많았으며, ACE 저해능은 효소분해엑스분이 열수추출이나 자가소화엑스분에 비해 월등히 높아 기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굴 효소분해엑스분의 분석치를 기초로 하여 조제한 합성엑스분은 맛의 온화성 및 조화성이 약간 떨어지나 전체적으로 천연엑스분과 큰 차이가 없었다. 굴 합성엑스분을 조제하여 각 정미 group이 굴맛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굴맛에 미치는. 영향은 아미노산류와 무기질이 가장 컸고, 다음이 핵산관련물질, 4급 암모니 움염기, 유기산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