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organic acid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36초

FDM 3D프린터 소재에서 방출될 수 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 평가 (Evaluation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from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3D Printing Filaments)

  • 김성호;박해동;정은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3-162
    • /
    • 2022
  • Objectives: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3D printer which is one of the material extrusion (MEX) technologies is an additive manufacturing (AM) process. 3D printers have been distributed widely in Korea, particularly in school and office, even at home.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nanoparticle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ere emitted from an FDM 3D printing proces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ypes of chemicals possibly emitted from FDM 3D printing materials such as PLA (polylactic acid),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nylon, PETG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VA (polyvinyl alcohol), PC (polycarbonate) filaments. Methods: 19 FDM 3D printing filaments which have been distribut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analyzed VOCs emitted of 3D printing materials by headspace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headspace GC-MS). Subsamples were put into a vial and heated up to 200℃ (500 rpm) during 20 minutes before analyzing FDM 3D printing filaments. Results: In the case of PLA filament, lactide and methyl methacrylate, the monomer components of one, were detected, and the volume ratio ranged 27~93%, 0.5~37% respectively. In the case of ABS filaments, styrene (50.5~59.1%), the monomer components of one, was detected. Several VOCs among acetaldehyd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etc were detected from each FDM 3D printing filaments. Conclusions: Several VOCs, semi-VOCs were emitted from FDM 3D printing filaments in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Users were possibly exposed to ones so that we strongly believe that we recommend to install the ventilation system such as a local exhaust ventilation (LEV) when they operate the FDM 3D printers in a workplace.

환경요인에 따른 오리엔트종 잎담배의 화학적 특성과 품질과의 관계 II. 토양수분의 영향 (The Relation of the Quality of Oriental Tobaccos to their Chemical Constituents II. Quality and Chemical Properties as Affected by Soil Moisture)

  • 류명현;정형진;김용옥;이병철;유익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42-247
    • /
    • 1988
  • 향미 원료용 연초의 생육중 토양수분에 따른 잎담배의 화학성분과 품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1. 토양수분이 많을수록 초장, 최대엽의 장, 폭등 개체생장이 증대되고 개화일수가 짧았으나 건조엽의 품질은 낮았다. 2 토양수분이 많을수록 생엽중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높고, 건조엽중 니코틴, 석유에텔 유출물, 전질소함량이 낮았으며, 회분함량 및 pH는 높아졌다. 3. 토양수분이 많을수록 배휘발생 유기산과 고급지방산 함량이 높았으나 차이는 크지 않았다. 4. 토양수분이 많을수록 향미엽의 특성성분인 3-methyl pentanoic acid 등의 휘발성 유기산 함량의 감소가 컸으며 대부분의 휘발성 중성부 함량도 감소 경향이었다. 5. 토양수분이 다른 조건에서 생육한 잎담배의 품질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석유에텔 추출물, 휘발성 유기산, 휘발성 중성부, 회분함량 및 pH등을 이용한 지수가 바람직하였다.

  • PDF

Bacillus brevis 로 제조한 된장의 품질 (The Quality of Doenjang (Soybean Paste) Manufactured with Bacillus brevis)

  • 양성호;최명락;지원대;정영건;김종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80-985
    • /
    • 1994
  • We investigated the quality of soybean paste(Doenjang) fermented by BAcillus brevi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soybean paste fermented by Bacillus brevis had alkaline pH and yellow ochre color. Dextrinizing activity was about 98 D.P. unit from 5th to 25th day of fermentation at 3$0^{\circ}C$ and after that day somewhat decreased . Saccharifying activity was respectively 6.1, 7.2, 6.8, 6.4 S.P. unit on 5, 15, 25 and 35th day of fermentation. Protease activity suddenly increased after 15th day of fermentation and was 250, 275, 299 unit on15, 25, 35 th day of fermentation ,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free amino acid was found to be glutamic acid (561.8mg%) in soybean paste fermented by Bacillus brevis. In case of free sugar and non-volatile organic acid, fructose and oxalic acid showed highest content of 10.25mg% on 25th day and 12.20mg% on 15th day.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free sugars, organic acids in soybean paste fermented by B.brevis were most abundant after 25 days of fermentation and this results were similar to that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The odor of soybean paste fermented by Bacillus brevis was improved to be a nice soybean paste odor on 25th day of fermentation. However, sensory evaluation value of the taste of it decreased after 10 th day of fermentation.

  • PDF

Quality Properties of Seasoned-Dried Pacific Saury Treated with Liquid Smoke during Storage -3. Changes in Fatty Acid and Taste Compounds of Seasoned-Dried Pacific Saury Treated with Liquid Smoke During Storage-

  • Park Sung-Young;Cho Woo-Jin;Kim Hun;Kim So-Jung;Cha Yong-J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4권4호
    • /
    • pp.246-251
    • /
    • 2001
  • As a series of studies on improving quality of seasoned-dried Pacific saury, fatty acid compositions and taste compounds of the seasoned-dried saury treated with liquid smoke (T2 product) were examined during storage, comparing with control (C, seasoning only). In the both samples, the major fatty acids were 22:6n-3, 16:0, 22: In-11I, 20: In-11, 18: In-9, 14:0, 20:5 n-3 and 16:1n-7. The contents of saturated fatty acids in C and T2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while those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decreased. After drying, the contents of 7 non-volatile organic acids contents detected in this study decreased, and the others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except for malic and citric acids, in both C and T2 decreased with storage period. The contents of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both C and T2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The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s in raw sample was 556.96 mg/100g and increased up to 895.77 mg/l00 g and 958.40 mg/100g in C and T2, respectively, after drying, and total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in both C and T2 somewhat decreased after 60 days of storage.

  • PDF

시금장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Attributes of Sigumjang with Fermentation)

  • 최응규;권오준;손동화;차원섭;조영제;이석일;양성호;정영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7-112
    • /
    • 2001
  • 시금장의 발효기간별 각종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세균은 발효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효모와 곰팡이는 발효 3일째까지는 그 수가 점점 증가하다가 4일째 부터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젖산균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5종류가 검출되었다. 휘발성 유기산은 acetic acid, propionic acid 및 butyric acid 등 3종이 검출되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oxalic acid와 citric acid가 가장 많았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1,407.9{\sim}3,053.9\;mg%$였으며, glutamic acid>phenylalanine)arginine>valine순으로 많았다.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총 아미노산에 대해 $34.4{\sim}37.0\;mg%$였다. 총 무기질 함량은 $12,966.7{\sim}13,864.5\;mg%$였으며, 첨가된 Na를 제외하면 K>P>Mg>Ca>Fe>Zn>Mn>Cu의 순으로 많았다. Ca과 P의 비는 0.1이었다. 시금장의 주요 구성 지방산은 18:2, 16:0, 18:1이 전체의 약 92.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총 불포화 지방산은 $76.3{\pm}1.1%$였다. 관능검사결과 $20^{\circ}C$에서 3일째부터 5일째 사이에 가장 높았다.

  • PDF

담치젓국의 정미성분(呈味成分) (The Taste Compounds of Damchi-jeotguk -Concentrated Sea Mussel Extract-)

  • 이응호;안창범;오광수;김진수;지승길;김정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5-31
    • /
    • 1987
  •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식품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담치젓국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betaine, 총 creatinine 및 유기산 등의 정미성분과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다. 담치젓국의 수분함량은 59.6%였고 조단백질 및 당은 9.4%였다. 각각 18.2%, VBN함량은 89.4mg/100g이었고 아미노질소 함량은 157.3mg/100g이었다.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건물량기준으로 10,520.5mg/100g 이었고 이중 glycine, arginine, 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가 전체의 55.7%를 차지하였다. 핵산관련물질은 hypoxanthine의 함량이 건물량기준으로 $8.77\;{\mu}mole/g$으로써 가장 많았다. 담치젓국의 엑스분질소중에서 유리아미노산질소, 암모니아질소, 핵산관련물질질소, TMAO질소, TMA질소, betaine질소 및 총 creatinine질소가 전체의 71.7%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중 유리아미노산질소가 53.3%를 차지하여 상당히 많았다. 불휘발성유기산은 7종이 동정되었으며 succinic acid가 건물량기준으로 125.5mg/100g으로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lactic acid(91.9mg/100g) 및 ${\alpha}-keto-glutaric$ acid(23.2mg/100g)의 순이었으며 oxalic acid, fumalic acid, malic acid 및 citric acid는 미량 검출되었다. 지방산조성은 폴리엔산이 45.5%, 포화산이 33.0%, 모노엔산이 21.5%였고 주요구성지방산은 16 : 0, 18 : 2, 22 : 6, 18 : 1 및 20 : 5였다. 관능검사 결과 유리아미노산이 맛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유기산 및 핵산관련물질의 순이었다. 담치젓국의 맛에는 유리아미노산과 불휘발성유기산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핵산관련물질과 TMAO, betaine 및 creatinine이 보조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볼 수 있었다.

  • PDF

코오지를 이용한 속성 저식염 멸치젓의 맛 특성 (Studies on the Taste Properties in Processing of Accelerated Low Salt-Fermented Anchovy by adding koji)

  • 백승화;임미선;김동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8-403
    • /
    • 1996
  • 저식염 멸치젓을 속성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Asp. oryzae와 Bacillus sp. 코오지를 첨가하여 60일 숙성시킨 멸치젓의 정미 성분과 색도 및 기호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60일 숙성시킨 멸치젓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발린, 이소루신, 프롤린, 알아닌, 리신,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이었다. 코오지균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262mg%로 가장 높았고 함량은 Asp. oryzae 코오지 첨가구에서 높았다. 멸치젓 숙성 후 비휘발성 유기산은 구연산과 젖산이 cd 비휘발성 유기산중 94.9~96.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유기산 함량은 코오지 첨가구에서 높아 Asp. oryzae 코오지에서 287.98mg%로 가장 높았다. 멸치젓의 색도는 숙성 중 a, b값은 나아지고 L값은 숙성 30~40일까지 낮아지나 이후 높아졌으며, a와 b값은 Asp. oryzae 코오지 첨가구가, L값은 Bacillus sp. 코오지 첨가구에서 높았다. 60일 숙성시킨 멸치젓의 관능평가시 색과 맛은 Asp. oryzae 코오지 첨가구, 향은 Asp. oryzae와 Bacillus sp. 코오지 혼합구에서 양호하였으며 전체적인 관능치는 혼합구와 Asp. oryzae 코오지구에서 좋은 판정을 받았다.

  • PDF

한국산 및 수입 양다래의 향미성분의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the Aroma and Taste Components of Korean and Imported Kiwifruits)

  • 김정민;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26-62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양다래와 뉴질랜드, 캘리포니아에서 수입되는 양다래(고형분의 함량, $12.1{\sim}12.9\;^{\circ}Brix$)를 시료로 하여 산지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화학성분 및 향기성분을 비교하였다. 수분함량 및 pH, 적정산도를 측정한 결과, 한국산 양다래의 수분함량은 $87.33{\pm}0.05%$이고, 뉴질랜드산의 경우 $87.18{\pm}0.05%$, 캘리포니아산은 $87.03{\pm}0.03%$로서 산지별 수분함량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pH는 국산, 뉴질랜드, 캘리포니아산별로 각각 $3.27{\pm}0.11,\;3.15{\pm}0.01,\;3.22{\pm}0.01$로서 유사하였으며, 적정산도는 우리나라 양다래 경우 $1.17{\pm}0.01$로서 뉴질랜드산 $1.34{\pm}0.01$과 캘리포니아산 $1.37{\pm}0.01$보다는 약간 낮았다. 유기산중 malic acid의 국산 양다래의 함량은 뉴질랜드산의 1/2이고, 캘리포니아산의 1/4정도를 나타냈다. 나머지의 유기산은 함량차이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한국산과 캘리포니아산은 유리당의 함량분포가 유사하였으나 뉴질랜드산의 경우 fructose와 glucose가 더 낮게 나타난 반면 sucrose는 더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향기성분으로 동정된 pentanal, methyl butanoate, ethyl butanoate, hexanal, propyl butanoate, ethyl pentanoate, heptanone, (E)-2-hexenal, ethyl hexanoate, 1-hexanol, cyclohexanol, butyl hexanoate, linalool oxide, linalool, butyl heptanoate, methyl benzoate, ethyl benzoate 등은 산지별로 함량 및 조성면에서 다소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카르노스산에 의한 화이트소시지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Carnosic Acid on White Sausage)

  • 이조원;최일신;김완섭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9-232
    • /
    • 2013
  • 로즈마리의 주요성분으로는 carnosic acid, carnosol, rosmarinic acid, ursolic acid 등의 폴리페놀(polyphenolic)로 구성되어 있다. 식물기원의 페놀혼합물은 항산화 작용과 항균작용을 포함한 유용한 기능과 영양적인 효과에 주목을 끌고 있다. 본 연구는 로즈마리 추출물의 하나인 카르노스산을 화이트소시지 원료에 첨가한 후 실온 저장기간 동안 pH, TBARS, VBN, 전자공여능 및 총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카르노스산의 첨가는 무첨가구인 대조구에 비해 낮은 pH, TBARS값, 그리고 VBN값을 보여 주었으며, 높은 항산화 작용과 항균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활성은 카르노스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카르노스산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병원성균(E. coli KCCM 11234와 S. enteritidis KCCM 12021)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화이트소시지에 있어서 카르노스산은 천연보존제로서 충분히 이용 가능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휘발성유기화합물가스에 대한 폴리아닐린 센서의 감도 향상 (Sensitivity Enhancement of Polyaniline Sensor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 유준부;유비;임정옥;변형기;허증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7권8호
    • /
    • pp.433-436
    • /
    • 2007
  • Nano-structured polyaniline have been synthesized by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at room temperature. An aqueous solution of aniline in chloroform and another solution of ammonium peroxydisulfate in doping acid were prepared at different times terminated with methanol at room temperature. SEM, UV-vis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polyaniline with regard to their morphology and structure. The diameter and length of polyaniline can be controlled by the reaction time. Nano-structured polyaniline were found to have superior sensitivity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s the reaction time to increase from 30minute to 2hours the sensitivity were decreased to VOCs vapors. The sensitivity of Nano-structured polyaniline sensor appeared to VOCs better than the sensitivity of chemical synthesis sensors. The sensitivity of Nano-structured polyaniline sensor improved benzene vap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