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flavor

검색결과 709건 처리시간 0.023초

일반 복분자주와 버섯 추줄물을 함유한 복분자주의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Wines With and Without Mushroom Extracts)

  • 신현재;남형근;임익재;차월석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10-413
    • /
    • 2006
  • 복분자주의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국내에서 생산되는 복분자주 (시료 A)와 버섯 추출물 첨가 복분자주 (시료 B)의 일반성분 분석과 향기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반 성분분석의 결과, 복분자주 시료 A와 복분자주 시료 B 중의 용해성 고형분은 10.5%, 7.4%로 분석되었고, 산도는 1.36%, 0.54%로 측정되었다. 수분은 83.27%, 87.62% 조회분은 0.45%, 0.31% 조 단백질은 0.05%, 0.22%였으며 조지방과 조섬유는 검출되지 않았다. 향기 성분의 확인을 위하여 두 시료의 향기 성분을 ethylether로 추출하고 methanol에 녹여 GC/FID와 GC/MS로 분석, 동정하였다. 두 시료에서 모두 12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에서 alcohol류가 6종, ketone류가 3종, ester/acid/anhydride류가 각각 1종으로 나타났다. 주요한 휘발성 성분으로는 2,3-butanediol, 2,5-furanedione, phenylethyl alcohol, butanedioic acid 등이 있었으며, 이들 성분이 복분자주의 전체적 향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건조방법에 따른 냉이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apsella bursa-pastoris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 이미순;최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14-821
    • /
    • 1996
  • 냉이의 건조방법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SDE방법으로 정유성분을 추출한 다음 GC및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음건시킨 시료에서는 탄화수소류 2종, 안데히드류 5종, 케톤류 3종, 알코올류 10종, 에스테르류 2종, 유기산류 1종 및 기타 7종이 확인되었고, steaming 후 음건시킨 시료에서는 탄화수소류 3종, 알데히트류 1종 케톤류 4종, 알코올류 3종, 에스테르류 2종 및 기타 5종, microwave로 건조시킨 시료에서는 탄산수소류 5종, 알데히드류 5종, 케톤류 3종, 알코올류 6종, 에스테르류 2종 및 기타 8종, 동결건조시킨 시료에서는 탄화수소류 7종, 알데히드류 3종, 케톤류 6종, 알코올류 5종, 에스테르류 2종 및 기타 2종이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음건시킨 냉이와 microwave로 건조시킨 냉이에서는 확인된 휘발성 향기성분 중 알코올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microwave 건조 및 동결건조 방법보다는 steaming후 음건시킬 때 함유황화합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섬쑥부쟁이의 휘발성 향미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ster glehni)

  • 이미순;정미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47-552
    • /
    • 1998
  • 신선한 섬쑥부쟁이의 휘발성 향미성분을 분석하여 31가지의 peak를 확인하였다. 확인된 휘발성 향미성분은 탄화수소류가 17종으로 peak area 58.90%이었으며, 알코올류 7종 8.51%, 에스테르류 3종 2.1%, 옥사이드류 1종 2.10%, 산류 1종 1.65% 및 알데히드류 1종 0.48%로 나타났다. 섬쑥부쟁이의 주요 휘발성 향미성분은 $\alpha$-pinene, limonene, $\delta$-elemene, $\beta$-pinene, cis-3-hexenol 및 myrcene으로 사료된다. 신선한 섬쑥부쟁이를 전자코로 분석한 결과 알코올과 같은 극성화합물을 민감하게 감지하는 PA2 sensor의 저항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건조된 섬쑥부쟁이의 휘발성 향미성분의 패턴은 신선한 시료와 동일하였으나, 6개의 metal oxide sensor의 저항값은 신선한 시료 보다 모두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전자코에 의한 신선한 시료와 건조된 시료의 향미성분의 강도 비교는 관능검사와 일치하였다.

  • PDF

균주를 달리한 된장의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Doenjang) Prepared from Different Types of Strains)

  • 박정숙;이명렬;김경수;이택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5-260
    • /
    • 1994
  • 재래식 메주, 고오지, 나토 메주, 고오지-나토의 혼용 메주를 사용하여 90일 수성시킨 된장의 향기 성분은 다음과 같다. 된장의 향기 성분을 Headspac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한 결과 36종이 검출되었는데 이중 알콜류 5종, 알데히드류 5종, 케톤류 8종, 유기산류 3종, 에스테르류 9종, 그 외 6종으로 확인되었다. 시험 된장별로는 재래식 된장에서 29종으로 가장 많았고, 고오지 된장과 고오지-나토 된장에서 각각 $26{\sim}24$종, 그리고 나토 된장에서 20종으로 가장 적었다. 관능기별 향기성분 조성비는 각 시험구에서 알콜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재래식 된장은 다른 시험된장 보다 카보닐 화합물, 에스테르 함량비가 높았고 고오지-나토된장에서는 이들의 조성비가 가장 낮았다. 된장의 향기 성분으로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은 화합물인 3-ethoxy-1-propene, dihydro-2-methyl-3-furanone, 1-hydroxy-2-propanone, 1-(2-furanyl)ethanone, 2-acetyl-ethylhexanoate 등 5종이 확인되었다.

  • PDF

키조개 부산물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Pen Shell By-product Hydrolysate)

  • 차용준;김은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64-971
    • /
    • 1995
  • 키조개 부산물로 부터 향미제로 응용하기 위하여 제조한 가수분해물의 유리아미노산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가수분해물이 생시료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taur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생시료와 가수분해물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109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이중에서 생시료는 88종, 가수분해물은 65종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이들은 주로 알데히드류(16종), 케톤류(17종), 알콜류(31종), 함질소화합물류(16종), 방향족화합물류(8종), 에스테르류(3종) 및 기타 화합물류(17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생시료에서의 산화취 성분인 알데히드류 및 방향족화합물은 가수분해물에서 상당량 감소되었으며 반면에 고소한 향기성분인 heterocyclic 화합물이 상당량 검출되었다.

  • PDF

Effect of Stewing Time on the Small Molecular Metabolites, Free Fatty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hicken Broth

  • Rong Jia;Yucai Yang;Guozhou Liao;Yuan Yang;Dahai Gu;Guiying W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651-661
    • /
    • 2024
  • Chicken broth has a taste of umami, and the stewing time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quality of chicken broth, but there are fewer studies on the control of the stewing time. Based on this,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different stewing times on the sensory, small molecular metabolites, free fatty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contents in chicken broths by liquid chromatography-quadrupole/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Eighty-nine small molecular metabolites, 15 free fatty acids, and 86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detected. Palmitic and stearic acids were the more abundant fatty acids, and aldehydes were the main volatile flavor compounds. The study found that chicken broth had the best sensory evaluation, the highest content of taste components, and the richest content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when the stewing time was 2.5 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tewing time on the quality of chicken broth to provide scientific and theoretical guidance for developing and utilizing local chicken.

GC/MS에 의한 저장중 츄잉껌 향기성분 변화연구 (Changes of Flavor Components in Chewing Gum during Storag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신성기;김상호;이윤형;이규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28
    • /
    • 1992
  • 츄잉껌 품질향상의 일환으로 저장기간 및 여러 가지 상대습도하에서 츄잉껌 향기성분의 변화를 GC/MS로 분석하였다. 츄잉껌 향기성분을 시료전처리로 포집하고 tetradecane을 내부표준용액으로 이용해서 각 성분과의 peak area ratio로써 향기성분함량의 감소량을 측정한 결과 저장초기에는 53% R.H 저장분 보다 33, 75% R.H에서 감소속도가 빨라으나 그 이후는 차이가 별로 없었으며 16주 후에는 $45{\sim}49%$의 잔존량을 나타내었다.

  • PDF

생쑥과 덖음쑥차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Raw Mugwort Leaves and Parched Mugwort Tea)

  • 김영숙;이종호;김무남;이원구;김정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1-267
    • /
    • 1994
  • 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쑥(A. asiatica nakai)을 이용하여 전래의 녹차제조법에 따라 덖음쑥차를 제조하였다. 생쑥과 덖음쑥차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Tenax trap으로 포집한 다음, GC-MS로 분리, 동정한 결과 58가지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이들 휘발성 화합물 중 향의 특징으로 보아 쑥향과 유사한 11가지 향기성분은 benzaldehyde, pinene, myrcene, cineole, 2-pyrrlidinone, camphor, thujone, 1-acetylpiperidine, caryophyllene, coumarin 그리고 famesol이었으며, 이들의 혼합물은 4월에 채취한 쑥의 향기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었으므로 이들 11가지 화합물을 덖음쑥차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지 표가 되는 화합물로 생각되었다.

  • PDF

메밀녹차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Buckwheat-Green Tea)

  • 최성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111-1114
    • /
    • 2007
  •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메밀을 고소하게 볶은 시판 메밀차를 중급 정도의 녹차에 혼합하여 메밀녹차를 제조하고 기호도와 관련이 있는 향기 성분을 동시증류추출(SDE) 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메밀차와 녹차를 1:1로 혼합한 메밀녹차의 향기성분으로 42종류를 동정하였다. 메밀녹차에는 메밀차의 향기성분 23종류와 녹차의 향기 성분 16종류 및 공통으로 포함된 3종류의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메밀녹차의 향기성분으로는 15종류의 pyrazine류를 동정하였다. 이는 메밀녹차의 향기 성분 중 약 32%를 차지하는 비율이었다. 메밀녹차의 향기 성분은 본래 녹차가 가지고 있는 향에 구수하고 달콤한 향을 띄는 볶음 메밀의 향기성분들이 부여되어 생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녹차는 중급 정도에 해당되는 덖음차로 고급녹차에 많았든 linalool이나 geraniol은 적은 함량 포함되어 있었으나 녹차향에 기여하는 꽃향기를 띄는 nerolidol의 함량은 많았으며 nonanal, 2-phenylethanol, cis-jasmone, indole 및 ${\beta}-ionone$ 등도 함유되어 있었다. 복은 향의 중요성분으로는 roasted flavor인 pyrazine류와 pyrrole류, 달콤한 향을 띄는 methylbutanal류와 furan류 등으로 밝혀졌다. 특히, pyrazine류는 종류도 많고 함량도 메밀차 전체 면적의 56%로서 녹차에 혼합되었을 때 메밀녹차의 고소한 향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칼리처리가 파래의 녹색도 및 휘발성 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kali Treatments on the Greenness and Volatile flavors of Sea Lettuce, Monostrima nitidum)

  • 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68-573
    • /
    • 2001
  • 파래(Monostrima nitidum) 의 퇴색지연 방안을 모색하고자. 알칼리화제로써 이용 가능한 몇 종의 식품첨가물을 선정하고 이를 생 파래와 함께 9$0^{\circ}C$에서 10분간 blanching 하여 건조 및 분쇄한 후 $25^{\circ}C$의 암소에서 5개월 간 저장하면서 각 시료의 녹색도를 Hunter-lab colorimeter로 측정하고 휘발성 향을 CG-MS로 조사하였다. 저장 중 알칼리를 처리한 파래의 녹색도는 미처리한 시료에 비하여 조금 덜 퇴색되었으며, 특히 KHCO$_3$로 처리한 경우 다소 효과가 있었다. SDE장치(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 apparatus)로 포집한 파래의 휘발성 향에서 31종의 화합물들이 확인되었다. 이들 중 파래의 특징적 향으로 기여하는 주요 화합물 $\beta$-cyclocitral, $\beta$-cyclohomocitral, ionene, $\alpha$-ionone and $\beta$-ionone으로 추정되었으며, 이 화합물들의 함량은 알칼리 처리에 의하여 감소되었지만, KHCO$_3$를 처리할 경우 다소 덜 감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