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r plat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Volar plate avulsion fracture alone or concomitant with collateral ligament rupture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A comparison of surgical outcomes

  • Kim, Yong Woo;Roh, Si Young;Kim, Jin Soo;Lee, Dong Chul;Lee, Kyung Ji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5권5호
    • /
    • pp.458-465
    • /
    • 2018
  • Background Volar plate avulsion fracture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PIP) joint is one of the most common hand injuries. In this study, we divided patients into two groups: patients with pure volar plate avulsion fracture, and patients with volar plate avulsion fracture concomitant with collateral ligament rup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long-term surgical outcomes between the two groups. As a secondary measure, the Mitek bone anchoring and polydioxanone (PDS) bone suturing techniques were compared. Methods A single-institutional retrospective review of the surgical treatment of volar plate avulsion fracture was performed. The cases were divided into those with pure volar plate avulsion fracture (group A, n=15) and those with volar plate avulsion fracture concomitant with collateral ligament rupture (group B, n=15). Both groups underwent volar plate reattachment using Mitek bone anchoring or PDS bone suturing followed by 2 weeks of immobilization in a dorsal protective splint. Results The average range of motion of the PIP joint and extension lag were significantly more favorable in group A (P<0.05). Differences in age; follow-up period; flexion function; visual analog scale scores;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s; and the grip strength ratio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n-significan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urgical outcomes of Mitek bone anchoring and PDS bone suturing in group A. Conclusions Overall, the surgical outcomes of volar plate reattachment were successful irrespective of whether the collateral ligaments were torn. However, greater extension lag was observed in cases of collateral ligament injury.

Open Reduction of Proximal Interphalangeal Fracture-Dislocation through a Midlateral Incision Using Absorbable Suture Materials

  • Lee, Jae Jun;Park, Hyoung Joon;Choi, Hyun Gon;Shin, Dong Hyeok;Uhm, Ki Il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4호
    • /
    • pp.397-402
    • /
    • 2013
  • Background Fracture-dislocation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PIP) joint is a relatively common injury. Various treatments for fracture-dislocation of the PIP joint have been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we performed open reduction through a midlateral incision using absorbable sutures to reduce the small bone fragments and performed volar plate repair. Methods We treated nine patients with fracture-dislocation of the PIP joint with small fractured bone fragments too small for pinning or screw fixation. Patients with volar plate injury we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and volar plate repair at the periosteum of the middle phalangeal bone base by the modified Kessler method using absorbable sutures. All patients were placed in a dorsal aluminum extension block splint, which maintained the PIP joint in approximately 30 degrees of flexion to avoid excessive tension on the sutured volar plate. Results At a mean final follow-up of postoperative 9 months, all patients were evaluated radiographically and had adequate alignment of the PIP joint and reduction of the displaced bone fragments. Range of motion was improved an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Conclusions This technique is an excellent alternative to the current method of treating patients with fracture-dislocations that include small fragments that are too small for pinning or screw fixation. It is a less invasive surgical method and enables stable reduction and early exercise without noticeable complications.

Morphometric Variations in the Volar Aspect of the Distal Radius

  • Kwon, Bong Cheol;Lee, Joon Kyu;Lee, Suk Yoon;Hwang, Jae Yeun;Seo, Jang-Hyeon
    •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 /
    • 제10권4호
    • /
    • pp.462-467
    • /
    • 2018
  • Background: Significant discrepancy exists between anatomical plate designs and the anatomy of the native distal radius, which may be attributable to considerable morphometric variations in the volar aspect of the distal radius. We aimed to evaluate the degree of variability in the morphometry of the distal radius and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is variability. Methods: We measured the volar surface angle (VSA) of the intermediate and lateral columns and the volar surface width (VSW) in the distal radius from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scans acquired from 81 cadaveric forearms. These morphometric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lateral and intermediate columns,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between Koreans and Caucasians. Caucasian morphometric data were obtained and poole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used to assess the variability of the parameters and Cohen's d to estimate the effect size of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Results: The average VSA of the lateral column was $22^{\circ}{\pm}6^{\circ}$, and that of the intermediate column was $29^{\circ}{\pm}8^{\circ}$ in Koreans (p < 0.001). The variability was high for both VSAs. The VSA of the intermediate column was significantly larger in males than in females (p < 0.001) and in Caucasians than in Koreans (p < 0.001). The average VSW of distal radius was $30{\pm}3mm$ at the watershed line, and it became narrower proximally. The VSW was significantly larger in males than in females (p < 0.001) and in Koreans than in Caucasians (p < 0.001). The effect sizes of the difference for the VSA and VSW between sexes, races and columns were medium to large. Conclusions: Considerable variability exists in the morphometry of the volar distal radius, with sex, race, and column as contributing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rgeons should carefully choose an anatomical volar locking plate with appropriate angulation characteristics for each patient to achieve patient-specific alignment of the distal radius.

원위 요골 골절의 수장측 금속판 고정술 후 발생한 신전건 활막염에 대한 초음파를 이용한 진단: 증례 보고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Extensor Tenosynovitis Caused by Dorsal Screw Prominence after Volar Plate Fixation of Distal Radius Fracture: Case Report)

  • 임태강;김상열;강홍제;하대호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0-64
    • /
    • 2013
  •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한 수장부 금속판 고정술이 많이 사용되면서, 합병증으로서, 원위 요골 배측 피질골을 관통한 나사못으로 인해 신전건 활막염이나 파열이 발생할 수 있슴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나사못에 의한 배측 피질골의 관통여부를 표준 방사선 촬영만으로 정확히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저자들은 수장측 금속판 고정술 후 발생한 신전건 건활막염 및 부분 파열이 의심된 환자에 대하여 수술 전 초음파를 이용하여 나사못에 의한 건활막염 및 활막 종괴 형성 소견을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무지 중수지 관절의 외상성 탈구 치료 (Treatment of Traumatic DislocationofMetacarpophalangeal Joint of the Thumb)

  • 이승구;송석환;이화성;정진화;정도현;이원희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43-148
    • /
    • 2002
  • 목적: 임상적으로드물며, 발생시도수정복이잘안되는무지중수지관절복합탈구의임상적결과를알아보고자하였다.대상및방법: 무지중수지관절의외상성탈구11예(10예후방탈구, 1예전방탈구)를대상으로초기에탈구의정복가능성,도수정복을방해하는해부학적요인, 수술적접근법에관하여조사하였다.결과: 모든증례에서초기에도수정복을시도하였으나, 2예에서만이정복이되었다. 8 례는전방도달법으로관혈정복을하였고, 1예는만성적인소견을보여관절고정술을시행하였다. 정복방해요인은파열된수장판내로근위부에서단무지굴건과요측종자골이감입되어있었고, 중수골두는파열된인대와단무지굴건사이에형성된간격사이로빠져나와있었다.결론: 과신전에의한중수지관절의후방복합탈구는드물지만, 정복이쉽지않아서주로관혈정복이요구되며, 이때정복방해요인인파열된수장판과관절막, 단무지굴건과종자골등에관심을갖고치료에임하여야한다.

  • PDF

요골 간부 골절 치료 후 지연 발견된 원위 척골의 전방 탈구 (Delayed Diagnosis of Volar Dislocation of the Distal Ulna after Treatment of the Radial Shaft Fracture)

  • 전숙하;이상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427-432
    • /
    • 2021
  • 원위 요척 관절의 전방 탈구 치료가 지연된 경우에는 수근부 통증과 전완의 회전 운동의 제한이 동반되어 결국 구제술이 필요한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24세 남자가 요골 간부 골절 수술 후 통증과 회전 운동 제한으로 내원하였다. 금속판으로 고정된 요골의 간부에서 7도의 전방 각형성이 관찰되었으며 척골 두가 전방으로 탈구되어 회외전에서 결손부가 요골의 S자 절흔 전방 경계에 걸려 탈구가 지속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부정 유합된 요골의 교정의 절골술과 척골 두 골결손 근위부의 골을 원위 결손 부위로 이동시키는 절골술을 시행하여 원위 요척 관절이 전완의 회전에 안정적으로 정복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수술 후 19개월에 전완 회전 운동 범위와 통증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불안정성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 있어 한국형 이중 연골하지지고정 전방 금속판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reating Unstable Distal Radial Fractures with a Domestically Developed Volar Locking Plate That Has the Characteristic of Double-Tiered Subchondral Support)

  • 이철형;정덕희;안충한;정의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495-502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요골 원위부 골절에 대해 국내에서 이중 연골하 지지고정 개념으로 개발된 전방 잠김 금속판의 수술 후 정복 유지 효과 및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7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요골 원위부 골절 환자 중 관혈적 정복 및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5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 시 촬영한 단순방사선 사진을 이용해 요골 길이, 요골경사, 수장측 경사, 척골 변위, 원위 배측 피질 거리(distal dorsal cortical distance)를 측정하여 골절 정복 유지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환자 나이, 골절 분류, 금속판 위치를 기준으로 전체 환자군을 세부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함으로써 각 요인이 골절 정복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직후 원위 배측 피질 거리는 평균 5.91 mm (표준 편차, ±1.95 mm)로 측정되었으며 요골 길이(p=0.038), 척골 변위(p=0.001)는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 시 촬영한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전체 환자군을 각 요인에 따라 세부 그룹으로 나누어 평가했을 시 척골 변위는 나이가 65세 이상이거나 AO/OTA 분류 C3형에 해당하는 경우 혹은 금속판 위치가 Soong classification grade 0에 해당하는 경우 수술 직후에 비해 최종 추시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7, p=0.012, p=0.046). 결론: 국내에서 이중 연골하 지지고정 개념으로 생산된 전방 잠김 금속판을 이용하여 요골 원위부 골절 정복술을 시행하는 경우 충분한 정복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골절 정복 유지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나, 환자가 고령인 경우, 관절 내 골절의 분쇄 정도가 심한 경우, 금속판이 분수령선의 근위부에 위치한 경우에 척골 변위의 증가를 보여 요골 월상골와의 정복 유지를 위한 고려가 필요하다.

배측 분쇄가 있는 원위부 요골 관절내 골절의 3가지 수술적 치료 결과 비교: 외고정 기구 단독, 외고정 기구와 동종골이식 및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 (Comparison of Three Surgical Method Outcomes for Dorsal Communition Distal Radial Fractures: External Fixation, External Fixation with Allogenous Bone Graft (DBM) and Volar Locking Plate Fixation)

  • 최준철;나화엽;이영상;김우성;오경수;송우석;김세준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5-120
    • /
    • 2009
  • 목적: 배측 분쇄가 있는 원위부 요골 골절에서 세가지 수술법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부터 2009년 5월 사이의 60세 이상의 배측 분쇄가 있는 원위부 요골 골절이 있으면서 불안정성을 보인 환자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1년 후까지의 방사선학적 추시관찰을 통하여 골절 정복의 유지 여부 및 Mayo Wrist Score를 통한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하여 연관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세군 모두에서 수술 직후에는 만족스러운 정복을 얻을 수 있었으나, 추시 소견상 외고정장치 단독으로 고정시에는 외고 정장치에 동종골 이식을 추가한 군 및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을 사용한 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정복 소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p<0.05) Mayo Wrist Score는 세군 모두에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배측 분쇄가 심한 원위부 요골의 관절내 골절에서 외고정 장치만 사용한 치료시에는 해면골 결손으로 인한 정복유지의 어려움이 있어 불충분한 치료로 판단된다.

  • PDF

Easy and Simple Techniques to Reconstruct Natural Nailfold with the Wrap-around Flap for Finger Reconstruction

  • Takeo Matsusue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6호
    • /
    • pp.764-768
    • /
    • 2022
  • The wrap-around flap (WAF) has become a popular approach to thumb reconstruction because the results are functionally and cosmetically excellent. By modifying to a partial toenail transfer, the WAF can also be used for finger reconstruction. However, performing cosmetically superior finger reconstruction is a significant challenge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construct the natural nailfold by partial nail transplantation, although partial nail transplantation is required to reconstruct a narrow fingernail. One side of the reconstructed lateral nailfold tends to be a missing nail margin, and one side of the proximal nailfold angle tends to be retracted. Based on the rationale that loss of the lateral nailfold volume due to the postoperative tension of the volar flap would result in a missing nail margin, the volume of the lateral nailfold was maintained with a single thread that was passed from the nail to the volar flap. Additionally, half of the proximal nailfold from the nail plate was elevated to advance it forwar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cosmetically natural nailfold was achieved with the WAF approach to finger reconstruction. These easy and simple techniques enable reconstruction of a cosmetically natural nailfold using WAF for finger reconstruction.

구상돌기 골절에서 내측 접근법을 통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 - 2예 보고 - (The Volar Plating of Fracture of the Coronoid Process - Report of Two Cases -)

  • 정구희;조철현;장재호;김재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60-265
    • /
    • 2010
  • 목적: 척골 구상돌기 골절에 대해 내측 접근법을 통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이 시행된 2예의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척골 구상돌기 골절 2예에서 척 수근 굴근 양 두 사이로 접근하는 내측 접근법을 통해 2.4 mm 잠김 압박 금속판 (Compact Hand set$^{(R)}$, Synthes, Switzerland)을 이용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이 시행되었다. 추시 기간은 각각 14개월, 17개월이었으며, Mayo Elbow Performance Score로 임상적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Mayo Elbow Performance Score는 각각 95점 (증례 1), 100점 (증례 2)이었다. 능동적 주관절 운동 범위는 $5^{\circ}{\sim}120^{\circ}$, $0^{\circ}{\sim}130^{\circ}$이었고, 회내 및 회외 영역은 모두 회복되었다. 결론: 내측 접근법을 통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은 척골 구상돌기 골절에서 견고한 고정 및 조기 관절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우수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