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T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5초

LTE 무선 네트워크에서 Voice over IP 용량 분석 (Capacity Analysis of VoIP over LTE Network)

  • 반태원;정방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2405-2410
    • /
    • 2012
  •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LTE에서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코어 망이 존재하지 않으며, IP 기반의 패킷 코어망으로 통합되었다. 따라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VoIP 방식이 도입되어야 하지만, LTE 초기에는 서비스 커버리지의 불연속성 등으로 3세대 네트워크의 음성 서비스 코어망을 통하여 일시적으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향후 LTE 네트워크가 본격적으로 확산될 경우 고품질 음성 서비스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VoIP 방식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본격적으로 상용화가 예상되는 VoLTE 서비스의 용량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LTE에서는 채널 대역폭 증가 비율 대비 VoLTE 용량 증가 비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VoLTE 용량 감소 없이 제어 채널용 자원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VoLTE 활성화에 따른 요금 인하 여력 분석 (Analysis of VoLTE Charge Reduction under VoLTE Growth)

  • 이상우;정선화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호
    • /
    • pp.92-100
    • /
    • 2016
  • VoLTE는 음성과 문자까지 IP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기존 서킷방식의 2G/3G망 기반 음성서비스에 비해 기술 및 원가효율성이 높아 규모의 경제 효과가 클 뿐만 아니라, 음성과 데이터가 하나의 망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범위의 경제 효과 또한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적 효율성을 기초로 VoLTE 서비스가 기존 서킷방식의 음성서비스에 비해 원가적 측면에서 비용효율성이 얼마나 큰지 혹은 상대적으로 높은 원가효율성을 지니고 있는 VoLTE 서비스가 활성화될 경우 이에 따라 사업자들에게는 얼마만큼의 요금인하 여력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서킷방식의 음성서비스 대비 VoLTE 서비스의 상대적 원가효율성 규모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VoLTE 서비스 활성화 정도에 따른 음성서비스 요금 인하 여력이 얼마만큼 될 것인지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음성통화량이 고정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단기적으로는 VoLTE 서비스 제공을 위해 LTE망 구축 투자비 발생으로 인해 평균비용이 상승하나, VoLTE의 상대적 우수한 원가효율성에 따라 VoLTE 전환율이 높아질수록 음성서비스의 요금인하 여력이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모든 음성통화량이 VoLTE로 전이될 경우 음성서비스 요금은 현재 요금 수준의 약 60%까지 인하될 여력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데이터서비스 중심으로 과금하는 요금안의 정당성을 일부 확보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통신사업자에게는 요금전략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정책적으로는 요금인하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VoIP와 VoLTE 음성 품질 측정을 위한 통합 E-model 구현 (An Integrated E-model Implementation for Speech Quality Measurement in VoIP and VoLTE)

  • 김복순;백광현;조기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7호
    • /
    • pp.10-18
    • /
    • 2013
  • 이동통신 서비스의 발달과 VoLTE 서비스 상용화 이후에 VoLTE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VoIP와 VoLTE 기반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계산하여 Wideband 코덱의 음성 품질 계산에 적용 할 수 있는 통합 E-model을 제안한다. 통합 E-model은 액세스 네트워크, 네트워크 특성, 단말의 사용 환경 및 이동성 등을 고려한 R 값을 계산하는 모델이다. 이에 따라 통합 E-model의 구조 및 알고리즘을 설명하고, VoLTE를 위한 최적 E-model 파라미터 적용 방안을 제안했다. 또한 시험을 위해 VoIP는 VoiceChecker와, VoLTE는 POLQA와 비교 검증을 함으로써 10% 이내의 편차를 보임을 확인했다. 제안된 모델을 이용하면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와 VoLTE 단말과 망 환경에 따른 음성 품질을 계산 할 수 있으므로, 실제 무선 환경에서의 직접적인 측정 없이도 품질을 미리 예측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VoLTE에서의 SIP 메시지를 이용한 스캐닝 공격 및 탐지 방법 (Scanning Attack by using SIP message and Detection Method in VoLTE)

  • 박성민;조준형;김세권;임채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49-452
    • /
    • 2014
  • 최근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All-IP 기반의 서비스를 개발하고 상용화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그 이유는 All-IP 기반의 서비스가 LTE의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기존 서비스와는 현저한 차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음성통화를 LTE 기반으로 제공하는 VoLTE 서비스도 그 중의 하나로서 현재 이동통신 3사 모두 상용화하여 이 새로운 고음질 및 고화질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대해 마케팅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VoLTE 서비스는 보안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상용화되었으며, VoLTE에서 사용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악용한 여러 유형의 공격에 매우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VoLTE 서비스에 대한 보안 위협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스캐닝 공격에 대해 기술하고 이를 탐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3G LTE VoIP 트래픽 서비스를 위한 MAC 스케줄링 기법 (MAC Scheduling Scheme for VoIP Traffic Service in 3G LTE)

  • 전경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6A호
    • /
    • pp.558-564
    • /
    • 2007
  • 무선 성능 향상을 통해 다양한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는 3G Long Term Evolution (3G LTE)은 Packet Switching (PS) 도메인에서 VoIP 기반 음성 서비스를 제안하고 있다 패킷 지연과 손실에 민감한 VoIP 트래픽을 PS 도메인을 통해 처리할 경우 기존 3G 시스템의 CS 도메인 기반 음성 서비스와 달리 여러 가지 기술적 어려움이 예상된다. 더욱이 OFDM을 물리계층으로 채택한 3G LTE는 Physical Resource Block (PRB) 단위로 전송 자원을 관리함에 따라 새로운 자원관리 방식 개발도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3G LTE 의 VoIP 기반 음성 서비스를 위한 MAC 계층의 PRB 할당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 결과를 보인다. 알고리즘의 핵심은 VoIP 우선 모드를 동적으로 활성화하여 VoIP 서비스의 QoS를 보장하고, 이러한 우선 모드 적용으로 인한 시스템 자원효율성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우선 모드 지속시간을 적응적 조절하는 것이다.

LT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QoS 변화에 따른 VoIP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품질 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QoE of the VoIP Service for QoS levels over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김범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09-316
    • /
    • 2016
  • 최근 이동통신 환경에서 음성 서비스는 VoIP 기술을 이용한 패킷 기반 서비스로 이루어지고 지는 추세에 있다. VoIP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송 속도를 고려했을 때 현재 LTE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공하는 전송 속도는 매우 충분하지만 무선 채널의 특성 상 단말 주변의 전송 환경의 변화나 이동성 등으로 인한 일시적인 서비스 품질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실험 환경을 구축하고 주요 전송 관련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른 VoIP 서비스의 품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VoIP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요구 사항을 수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LTE 이동통신서비스의 규제이슈 검토 (A Review on the LTE Service Regulatory Issues)

  • 민대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05-508
    • /
    • 2012
  • LTE 이동통신서비스는 네트워크의 속도와 용량을 증가시킨 4세대 이동통신기술을 향항 3G 이동통신기술의 진화형 서비스로, 유럽주도로 개발된 GSM-WCDMA 기반기술로 발전된 서비스이다. 다만, 현재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LTE는 3GPP에서 정하고 있는 4G 이동통신기술의 기술규격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본격적인 4세대 이동통신(LTE-Advanced)과의 구별을 위해 3.9G 서비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LTE는 VoIP, 비디오 스트리밍, 음악 다운로드, mobile TV 등 다양한 응용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국내에서 제공되는 LTE는 음성서비스는 3G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성채널을 구성하고, 데이터 서비스만 LTE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향후에는 VoLTE 기술을 통해 음성서비스 제공하면서 LTE가 이동통신서비스의 주요 트랜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only LTE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현재의 법체계 하에서 몇몇 이슈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VoLTE 서비스의 역무 및 해당 통신사업자 지위문제이다. 현행 전기통신사업법에서는 VoIP인 인터넷전화에 대해서 PC를 이용하지 않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기간통신역무로, PC를 통한 소프트폰 형식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부가통신역무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기존 3G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인증 모듈(USIM)의 이동성 보장 여부로서, 현재의 법체계는 USIM 잠금장치 해제(USIM unlock)를 3G 이동통신에 대해서 적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LTE서비스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LTE 서비스의 기술적 특징과 다양한 법제도적 이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 PDF

데이터 트래픽 중심의 LTE망에서 VoIP를 위한 스케줄링 알고리즘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Scheduling Algorithm for VoIP under Data Traffic in LTE Networks)

  • 김성주;이재용;김병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2호
    • /
    • pp.20-29
    • /
    • 2014
  • 최근 국내외에서는 LTE가 도입 초기단계를 넘어, LTE-A로의 도약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고속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동 전화로 시작한 휴대폰의 역할은 데이터 중심의 스마트폰으로 바뀌고 있다. 시스코에 의하면 2018년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지난해 대비 11배 증가 전망할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에서 모바일 비디오가 전국 모바일 트래픽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66%에서 2018년 75%로 증가할 전망이다. 하지만 여전히 음성 서비스가 가장 중요하며, 높은 VoIP 통화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데이터 트래픽을 사용하는 가운데 LTE 망 상황에 따라 전송 속도를 조절하고, 낮은 BLER을 제공해야 한다. 실제 통화를 위한 전송율이 최대 23.85 Kbps인 AMR-WB 코덱을 사용하지만, 초당 수십~수백 MB까지 전송할수 있는 LTE일지라도 셀 가장자리의 사용자에게 일정 수준의 전송률을 떨어뜨리지 않고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특히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셀 가장자리의 품질을 개선하고자, 다양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안은 2계층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VoIP 사용자를 일정 비율 타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우선 처리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throughput과 BLER 측면에서 VoIP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mVoIP 기술동향 및 시장분석을 통한 산업 활성화 방안 (Industry Activation Scheme through mVoIP Technology Trends and Market Analysis)

  • 박세환;박종규;김정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77-482
    • /
    • 2012
  • mVoIP 서비스는 WiFi, WiBro 및 3G 이동통신망 등을 통해 고속 이동 중에 100Mbps급의 전송률을 갖는 IP 네트워크로서 무선 데이터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된 기술이다. 2010년부터 급속히 대중화되기 시작한 스마트폰과 2011. 7월부터 본격 개시된 4G-LTE 서비스로 인해 mVoIP(mobile VoIP) 서비스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칩셋/모듈/단말 등의 기술개발 동향과 아울러 시장수요 분석을 통한 국내외 시장동향 조사 등을 토대로 mVoIP 서비스 산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mVoIP 서비스는 모바일기기에 App을 다운로드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혹은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개발 측면에서 커다란 변화는 없는 편이다. 4G-LTE의 경우 당연한 부가서비스로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시장원리 및 수요니즈에 입각한 서비스 전개가 필요하다.

초광대역 음성통화 서비스를 위한 압축 기술 및 표준화 (Speech Codec Standardization for Super-wideband Communication)

  • 오은미
    • 방송과미디어
    • /
    • 제19권1호
    • /
    • pp.48-55
    • /
    • 2014
  • 오디오 신호 압축 기술 관점에서 최근 모바일 통신 시장의 가장 큰 변화 중에 하나는 광대역 음성 코덱인 AMR-WB가 HD voice 또는 VoLTE(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서비스에 사용된다는 것이다. 모바일 방송 및 음악 재생뿐만 아니라, 통화에서도 다양한 신호를 고음질로 압축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어 3GPP에서 EVS(Enhanced Voice Service) Codec이 표준화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감 통화를 위해 초광대역 신호까지 압축하는 음성 통화 코덱 기술 및 3GPP표준화 현황을 소개한다. 3GPP 표준 기수에서 정의한 디자인 및 성능 요구사항과 더불어 이전 음성 압축기술과의 차이점 등을 논의한다. 또한, 향후 표준화 계획 및 시장 전망에 대해서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