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isual sensory

검색결과 422건 처리시간 0.028초

일본감각력개정판(JSI-2)에 의한 발달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감각처리능력 비교에 관한 예비연구 (Comparison of Japanese Sensory Inventory-2 Score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 Pilot Study)

  • 지석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
    • /
    • 2003
  • Objective : To describe the sensory-based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s reported on the JSI-2. Methods : The score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JSI-2 was completed by parents of 38 children with disability 3 through 6 years of age and 36 children without disability 3 through 6 years of age. Results : The score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for 6 of 8 factors, including vestibular, tactile, auditory, visual and oth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age or sex. Conclusion : From this study, it is found that children with disability have deficit in a variety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s measured by JSI-2.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plicate and develop these findings.

  • PDF

추가된 체성 감각에 의한 선형 운동 지각 변화 (Linear Motion Perception under Additional Somatosensation)

  • 이용우;박수경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78-686
    • /
    • 2011
  • When one sensor cannot provide information by sensory deficit or loss, the sensor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y substituting other sensors for the defected sensor. This sensory substation might be influence on the deteriorated motion perception that consists of multi-sensory information such as visual, vestibular and somatosensory information.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whether the additional sensation by sensory substitution could be integrated into the motion perception, we examined the effect of substituted postural sway sensation on the directional perception of body movement. Deteriorated motion perception by the reduced plantar sensation was enhanced under sensory substitution condition that provided the body sway information as the plantar vibratory stimulu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additional sensation might be integrated into and improve the motion perception.

양안경합의 감각적 상충 경험에 기초한 시각적 변화탐지 경험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Visual Change Detec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a Sensory Conflict Evoked by a Binocular Rivalry)

  • 신영선;현주석
    • 감성과학
    • /
    • 제16권3호
    • /
    • pp.341-350
    • /
    • 2013
  • 본 연구는 시야에 발생하는 현저한 시각적 변화에 대한 탐지 경험과 양안경합이 초래한 감각적 상충에 대한 탐지 경험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변화탐지 경험의 감각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1에서는 2, 4, 6개의 항목을 단기파지 한 후 뒤이어 제시되는 검사항목과의 비교를 요구하는 변화탐지 과제가 사용되었다. 전체 변화탐지 시행 중 시각적 변화가 발생한 일부 시행에서는 검사항목 중 변화를 야기하는 한 항목에 양쪽 단안 분리 입력을 통해 서로 다른 항목이 제시되는 양안경합을 처치하였다. 실험 결과, 양안 경합이 처치되지 않은 경우 항목 개수 증가에 따른 변화탐지 정확도의 분명한 감소가 관찰된 반면 양안 경합이 처치된 경우 이러한 항목 개수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항목 개수를 4, 8, 16개로 달리하는 탐색 배열 중 양안경합이 초래하는 감각적 상충을 보유한 표적 항목에 대한 탐색 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양안경합 처치 유무에 관계없이 탐색이 매우 효율적인 것이 관찰되었다. 실험 1과 2의 결과는 시야의 현저한 변화에 대한 탐지 경험은 기억부담의 증감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양안경합 자극이 초래하는 감각적 상충에 대한 탐지 경험과 유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취학 전 아동의 손 기민성과 시각-운동 기술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Correlations Betwee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of the Preschooler)

  • 강현진;고경혜;박수정;박주연;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21
    • /
    • 200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of preschoolers. We search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wo test results, which were the 9-Hole Peg Test performance time and the visual motor integration test(VMI) performance score. Then, we also compared the 9-Hole Peg Test performance times with the VMI performance scores according to sex and age. Method : The participants were fifty normal children ranging in age from four to six years living in Busan. We used two test methods which have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One was the 9-Hole Peg Test to evaluate hand dexterity, and the other was the VMI to the evaluate visual-motor skills of these young children. Results : First, over the entire range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times from the 9-Hole Peg Test and the VMI performance scores(r=-.682). Seco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 times from the 9-Hole Peg Test and the VMI scores according to sex.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p<.001). Conclusion : This study proved that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of the preschooler. Occupational therapists in preschool service should consider that visual-motor skills need to be compatible with hand dexterity in both evaluation and therapy. In additio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improved according to advances in age, so we must give graded tasks to proper age groups through concrete analysis of activity. By doing this, children can get the better therapeutic effects.

  • PDF

감각정보의 차이가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Effect of Sensory Information on the Motor)

  • 홍철운;심해영;박찬희;김남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5-170
    • /
    • 2002
  • 본 연구는 감각-운동 통합의 관점에서 다양한 시각 자극에 의하여 생체 내에 입력된 각기 다른 감각 정보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특히 보색 관계의 시각 자극이 이에 대한 운동의 반응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실험은 20세에서 25세 사이의 20대 성인 남녀 각각 10명을 대상으로 자체 제작한 방음 암실에서 수행하였다. 실험 장치는 디스플레이 판넬, 시각 자극을 위한 고휘도 LED 그리고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 검출을 위한 키보드 스위치로 구성하였다.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감각 정보의 차이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나 색채 자극에 의한 감각 수용기의 반응의 강도의 차이를 연구하는데 머무르고 있으며 색채 환경에서의 감각-운동 협응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시각 자극 환경에서 운동의 반응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감각과 운동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색 관계의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동일한 색채 환경 하에서의 반응시간 보다 빠르고 동일 색채 자극 환경에서는 빛의 파장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반응속도가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으며 통계적 분석(p<0.05)을 통해서 유의성도 검증되었다.

프로젝션맵핑 기반 영상 설치 미술의 시각적 표현 확장성 -사례 분석 및 작품 을 중심으로- (Extensibility of Visual Expression in Projection Mapping Installation Art; Focused on Examples and Projection Mapping Installation Artwork Domino)

  • 방빈주;임영훈;백준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07-220
    • /
    • 2021
  • 최근 센서 경험을 위한 새로운 매체들의 발전은 프로젝션맵핑, 가상현실과 같은 비디오 설치 미술의 시각적 표현을 더욱 확장시키고 있다. 예술가들은 새로운 매체들들 통해 새로운 시각적 표현 기법을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프로젝션맵핑 기술은 지속적으로 미디어아트 작품의 시각적 표현에 다양한 가능성을 부여하고 있다. 본 논문은 프로젝션맵핑 기술에 기반한 시각 표현이 인간의 감각 체험으로 전이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서, 매체가 갖는 '복제성,' '전파성,' '가상성' 그리고 '인터랙션'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시각적 표현을 정의하고 의미를 기술하였다. 작품 분석을 통해 '반복과 중첩,' '시뮬라이크롬과 은유,' '치환과 전환'의 시각적 표현 기법에 대해 분석하고, 프로젝션맵핑 작품인 에 적용함으로써 시각 표현 기법이 인간의 감각 체험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시각적 표현의 확장성 연구는 작품을 제작하는 예술가들이나 관람하는 관객들에게 작품의 의미를 전달하거나 해석하는데 필요한 핵심 요소이다.

AR 디스플레이 연결을 통한 감각시각화에 대한 표현 검토 (Study on the Expression of Sensory Visualization through AR Display Connection - Focusing on Eye Tracking)

  • 마소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357-363
    • /
    • 2024
  • AR 디스플레이 가상기술이 대중 학습 생활에 광범위하게 들어오면서 현실과 가상이 연결을 하는 디자인 전달 방식도 변화하고 있다. 본 논문은 평면의 시각적방향 감각 정보 시각화 경험을 통하여 3D 연결 감각 정보 시각화 경험과 가상 현실적 증강 사이의 표현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AR 디스플레이 대한 고찰과 평면 시각화 사례의 현재 적용과 비교하여 기본 설정하는 방법을 조사하여 분석된다. AR 디스플레이 연결 디자인에서 제스처 연결, 안구추적, 음성 연결 및 센서의 4가지 범주에서 안구 추적 기술을 중심으로 감각 시각화와의 관계를 통해 사용자가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범위이다. AR 디스플레이 상호작용에 대한 고찰과 평면 시각화 사례의 현재 적용 및 비교 분석 과정을 통해 AR 디스플레이 상호작용을 통한 안구 추적 기술을 중심으로 감각 시각화의 요소 시각 도형의 기하학적 일관성, 빛과 색상의 일관성, 다감각 상호작용 방식의 조합, 합리적인 내용의 표시, 스마트 푸시는 가상현실에서의 감각 시각화를 보다 사실적이고 편리하게 표현하여 수용자에게 간단하고 편리한 감각 시각화 경험을 제공하였다.

Biological smart sensing strategies in weakly electric fish

  • Nelson, Mark E.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8권1호
    • /
    • pp.107-117
    • /
    • 2011
  • Biological sensory systems continuously monitor and analyze changes in real-world environments that are relevant to an animal's specific behavioral needs and goals. Understanding the sensory mechanism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inciples that biological systems utilize for efficient sensory data acquisition may provide useful guidance for the design of smart-sensing systems in engineering applications. Weakly electric fish, which use self-generated electrical energy to actively sense their environment, provide an excellent model system for studying biological principles of sensory data acquisition. The electrosensory system enables these fish to hunt and navigate at night without the use of visual cues. To achieve reliable, real-time task performance, the electrosensory system implements a number of smart sensing strategies, including efficient stimulus encoding, multi-scale virtual sensor arrays, task-dependent filtering and online subtraction of sensory expectation.

평류전정자극에 의한 당뇨성 신경증 환자의 자세동요 변화 (The Change of Postural Sway of Diabetic Neuropathy by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 황태연;김용남;김태열;박장성;윤세원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84
    • /
    • 2005
  • This study had performed with purpose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change of vestibular sens, visual and proprioceptive sense to the postural sway, so as to supply the necessary clinical materials through developing the physical therapeutic interventions and assessment format for the diabetic neuropathy patients. The sample consisted of fifteen diabetic neuropathy patients with sensory disorder in their lower limbs and fifteen age-matched normal control group. Then the effect of the GVS and the visual cue open and closed to the postural sway were measured by CoP. The summary of the comparison results were obtained below. In the comparison of diabetes neuropathy patients group and age matched normal control group, however diabetes neuropathy patients group had a decrease in superficial tactile sense(p<.001) and nerve conduction velocity(p<.001), they were able to control the posture and walk. So it is, diabetes neuropaty patients had more disturbance compared with AMC group on at a hard surface, particularly in the visual cue open(p<.001) and visual cue closed(p<.01). Moreover, since diabetes neuropathy patients group had more differences in visual cue open and closed(p<. 01), GVS(p<.01), it meant that they're affected largely by vestibular sense, visual sense. In addition, since there're the largest change in doubled sense disturbance such as visual cue open and closed under GVS, it meant that compensation of other senses were quite important for the diabetes neuropathy patients' postural control. In the conclusion, diabetes neuropathy patients who decrease or lose the somatosensory system, sensory training of visual and vestibular system are likely to be quite essential to control the posture and balance.

  • PDF

감각 되먹임 종류가 건강한 성인 남성의 올바른 앉은 자세 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Feedback Type on Correct Sitting Posture Learning on Healthy Adults)

  • 신호진;김성현;조휘영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25-137
    • /
    • 2021
  • PURPOSE: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exposed to a static sitting posture has resulted in an increase in people with a poor posture out of the optimally aligned posture because of the low awareness of a correct sitting posture. Learning the correct sitting posture by applying sensory feedback is essential because a poor posture has negative consequences for the spin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sensory feedback types on learning correct sitting posture. METHODS: Thirty-six healthy adult males were assigned to a visual feedback group, a tactile feedback group, and a visuotactile feedback group to learn the correct sitting posture by applying sensory feedback. The spine angle, muscle activity, and muscle thickness were measured in the sitting position using retro-reflexive markers, electromyography, and ultrasound immediately after, five minutes, and 10 minutes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 intervention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visuotactile feedback group than the visual feedback group (p < .05). Compared to the pre-intervention, the repositioning error angles of the thoracic and lumbar vertebrae of all groups were reduced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intervention and after five minutes. After 10 minut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oracic and lumbar repositioning error angles of the tactile feedback group and the visuotactile feedback group (p < .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at any time compared to the pre-intervention in all groups (p > .05). CONCLUSION: The use of tactile and visuotactile feedback in intervention to correct the sitting posture is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