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effect

검색결과 3,298건 처리시간 0.032초

The Effect of Postural Balance and Fall Efficacy on Bilateral Visual Feedback Training with Visual Targets in Stroke Patients

  • No, Seung-Min;Hwang, Yoon-Tae;Son, Sung-Mi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4권2호
    • /
    • pp.57-6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ilateral visual feedback training with visual targets on the postural balance and fall efficacy of stroke patients with hemiparesis. Methods: A total of 24 stroke patients with hemiparesi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bilateral visual feedback training (BVFT, n=8) group, unilateral visual feedback training (UVFT, n=8) group, or a control group (n=8). The BVFT and UVFT groups performed weight-bearing training on the bilateral (less-affected and affected side) or unilateral side (affected side) with visual feedback using visual targets. The control group performed squat training without visual feedback using visual targets. The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3 sets a day, 3 times a week, for 4 weeks. The participants were evaluated using the Berg balance scale (BBS), lateral reaching test (LRT),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ABC). Results: In the intra-group comparison after the intervention, the BVF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BS, TUG, affected and less-affected side LRT, and ABC (p<0.05). The UVF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BS and ABC (p<0.05). In the inter-group comparison after the intervention, the BVF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BBS, affected side LRT, and TUG,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at bilateral visual feedback training with visual targets during bilateral weight-bearing exercises can improve the postural balanc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새로운 광적응 효과 모델을 이용한 정교한 영상 화질 측정 (Elaborate Image Quality Assessment with a Novel Luminance Adaptation Effect Model)

  • 배성호;김문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818-826
    • /
    • 2015
  • 인간 시각 체계(Human Visual System: HVS)의 영상 화질 인지 특성을 정교하게 반영하는 객관적 영상 화질 측정(Image Quality Assessment: IQA)방법들이 최근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이와 관련된 HVS의 특성 중, 광적응(Luminance Adaptation: LA)효과는 HVS의 왜곡에 대한 민감도가 영상 배경 밝기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가리키며, 이 효과는 베버의 법칙(Weber's law) 모델을 통해 많은 IQA 방법들에 반영되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처음으로 이러한 베버의 법칙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 IQA 방법들이 LA 효과를 부정확하게 반영해 왔다는 점을 수학적/정신물리학적 분석을 통해 밝힌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우리는 IQA 방법에 LA 효과가 정교하게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LA 효과 기반 국부 가중치 함수(LA effect-based Local weight Function: LALF)를 제안한다. 우리는 제안 LALF를 SSIM(Structural SIMilarity) 및 PSNR 척도(metric)에 적용하여 제안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LALF가 적용된 SSIM은 기존 SSIM 대비 측정된 주관적 화질 점수와의 스피어 랭크 순위 상관계수 기준 약 5% 포인트가 향상될 정도로 제안 방법의 큰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제안한 LALF는 PSNR에 적용된 경우에도 기존 PSNR 대비 약 2.5% 포인트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한글 글자 유형이 시각 폭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yllable complexity on the visual span of Korean Hangul reading and its relation to reading abilities)

  • 최영은;김태훈
    • 인지과학
    • /
    • 제27권2호
    • /
    • pp.325-353
    • /
    • 2016
  • 읽기의 초기 단계에서 처리되는 글자의 정보량을 지칭하는 시각 폭은 개별 글자의 획수가 증가하거나 폰트의 종류, 고정된 지면에서 차지하는 잉크의 면적, 글자 간의 간격과 같은 복잡성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들이 조합되는 독특한 알파벳-음절 표기법을 사용하는 글자 체계를 가지고 있어 영어나 중국어를 중심으로 한 결과들에 비해, 자모구성의 글자 유형에 따라서도 복잡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특수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글자 쌍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글자의 유형에 따라 한글 읽기 시각 폭의 크기가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여러 글자 유형의 시각 폭 중 읽기 능력의 개인차를 예측하는 글자 유형을 확인해보고자 시각 폭과 읽기 폭, 읽기 유창성, 읽기 이해와의 상관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글자 유형이 복잡해질수록 글자 재인 정확률이 감소하고 시각 폭이 줄어드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자음+모음+자음의 형태가 자음+모음 형태보다 글자 재인율이 높고 시각 폭도 큰 것으로 나타나 자모조합의 복잡성에 따른 영향이 선형적이지 않고 다른 요인이 개입할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자음만 제시한 조건과 CV조건의 글자 재인율은 읽기 이해와 정적 상관을 보여 향후 읽기 능력과 관련한 시각 폭 측정 시 사용할 수 있는 글자 유형으로 나타났다.

치매노인에게 시청각 자극을 병행한 회상요법의 적용효과 (The Effect of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on Senile Dementia)

  • 김남초;유양숙;한숙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8-10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n improvement of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and decrease the cognitive function and agitation behaviors by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for senile dementia.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26 with mild senile dementia who were cared for at a Day Care Center for Dementia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ly, 1999.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Control Igroup with 10 subjects, reminiscence group(Control II group with 8 subjects), and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group(experimental group with 8 subjects). The Control I group got routine care as usual. Control II group participated in reminiscence sessions for one hour a day, five times a week , for a period of 4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sessions for one hour a day, five times a week, for a period of 4 weeks.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color photography with sound that was developed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about events, objects, humans in action and animals that 100 Korean elderly over 60 would like to memorize. This was referred from the Sensory Stimuli Package by Namazi and Haynes(1994). The effects of treatment was evaluated through MMSE-K by Kwon & Park(1989). Also the Brief Cognitive Rating Scale(BCRS) by Reisberg et al(1983) for the cognitive function, through Agitation Inventory by Cohen- Mansfield and Colleague(1989) for behavioral response and through the Rapid Disability Rating Scale-2(RDRS-2) by Linn & Linn(1982) for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respectively.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for $\chi$2- test, ANOVA,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did not improve cognitive function for senile dementia, but significantly improved verbal expression, the subscale of cognitive function. 2.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reduced agitation behavior of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3.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did not significantly effect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after treatment.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was an effective therapy to improve verbal expression and to reduce agitation behaviors of senile dementia. Further research with more indepth approach is needed, considering characteristic and level individualized for each senile dementia.

  • PDF

시각 되먹임을 이용한 균형 훈련과 체성감각을 이용한 균형훈련이 균형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lance improvement on balance training with visual feedback and somatosensory)

  • 이준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677-684
    • /
    • 2020
  • 본 연구는 대구 Y대학교에 재학 중인 20대 대학생 15명을 무작위로 선발하였다. 실험 군은 총 3군으로 실험 전 각 실험 대상자들의 균형능력을 측정한 후,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균형운동으로 닌텐도 Wii(Nintendo -RVL-001(KOR)를 사용한 집단, 시각과 토구를 이용한 균형운동 집단, 시각을 차단하고 토구를 이용한 균형운동 집단 등 각 집단 5명을 훈련시킨 후 MFT와 EMG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FT측정 결과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균형 훈련과 시각되먹임과 체성감각을 병행한 균형 훈련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시각되먹임과 체성감각을 병행한 균형훈련과 체성감각만을 이용한 균형 훈련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5). EMG 측정 결과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훈련과 시각되먹임과 체성감각을 병행한 균형훈련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p<.05),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훈련과 체성감각만을 이용한 균형훈련, 그리고 체성감각만을 이용한 균형훈련과 시각되먹임을 병행한 체성감각훈련 사이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는 시각되먹임만을 이용한 균형훈련보다 체성감각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균형능력이 감소된 환자들의 균형감각능력증진에 체성감각훈련이 좌우차이와 좌우빈도를 맞추는데 효과적이고 시각되먹임은 동적 균형 증진에 효과적이므로 이 두 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노인의 시력 및 청력 저하가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2008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The Effect of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o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08)

  • 김희정;김보혜;김옥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84-594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o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a representative community sample of 4,028 persons aged 65 and older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08.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were measured by CES-D 10-item scale and K-MMSE.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were measured by 5-Likert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Rao-Scott ${\chi}^2$-test, simpl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prevalence of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were 37.3% and 14.0%, respectively. Of the participant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58.4% and cognitive impairment was 50.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Far vision and hearing impairment were predictors for both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even after covariates had been adjusted.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in older adults may increase their probability of experiencing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Thus sensory impairment should be considered a risk factor for mental health and the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20대 대학생에서 전정계 자극 활동이 시 지각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estibular Stimulation Activity on Visual Percep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Age of Twenties)

  • 홍기훈;홍소영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8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정계 자극 활동이 시 지각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2016년 3월14일부터 5월20일까지 충청남도 A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세 집단을 무작위 선정하여 A는 전정계 자극활동 없이 일반 사무용 의자에 앉아서 시 지각 과제를 수행하였다. 집단 B와 C는 트램폴린에서 뛰기의 전정계자극 활동을 실시한 후 집단 B는 일반사무용 의자, 집단C는 공 의자에서 시 지각 과제 수행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전정자극 활동을 실시한 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집단 간에 시 지각 과제수행시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전정자극 활동을 전혀 하지 않고 사무용의자에 앉은 집단 A는 전정자극 활동을 하고 사무용 의자에 앉아 과제를 수행한 집단 B(p=.037)와 전정자극 활동 후 공 의자에 앉아 과제를 수행한 C와 차이를 나타냈다(p=.000). 그러나 동일한 전정자극 활동을 하고 사무용 의자에 앉은 집단 B와 공 의자에 앉은 집단 C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전정감각 자극활동이 시 지각 과제 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후 대상자의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앉고 일어서기 동작에서 점진적 체중 이동을 이용한 시각적 되먹임 훈련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for Gradual Weight Shift in the Sit-to-stand Training on the Balance and Walking Abilities of Chronic Hemiplegia Patients)

  • 김경환;박성훈;김형민;박노욱;김다연
    • PNF and Movement
    • /
    • 제15권1호
    • /
    • pp.77-8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for gradual weight shift in sit-to-stand training-on the balance and walking abilities of chronic hemiplegia patients.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visual feedback for gradual weight shift in the sit-to-stand training, while the contrast group followed the standard process for the sit-to-stand training. The evaluation of the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as conducted with the functional reach test (FRT), Berg balance scale (BBS), five time sit-to-stand (FTSTS) test, timed up and go (TUG) test, 10 m walk test (10MWT), balancia,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and falls efficacy scale (FES). Results: In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UG, 10MWT, ABC, and FES in the visual feedback training group (p < 0.05).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10MWT and ABC (p < 0.05). Also, in the evaluation of the postural fluctuations, the control group data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ovar. The visual feedback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 average. Conclusion: The visual feedback training group showed some improvement in terms balance and walking ability and on the ABC scale and FES. Therefore, if the diagonal progressive weight bearing exercise is combined with the various patterns and basic principles of PNF, it may be a more efficient intervention method.

저휘도 환경에서 태블릿 PC를 이용한 장시간 독서시 문자대비가 가독성과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 on Readability and Visual Fatigue during Long-term Reading Using Tablet PC in Low Luminance Environment)

  • 유하늬;아키타 타케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5권5호
    • /
    • pp.191-202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 on readability and visual fatigue during an hour-long reading session while using a tablet PC in ambient environments having low luminance limited to $25cd/m^2$.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four patterns of the tablet's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s, namely 1:2.5, 1:4.5, 1:6.5, and 1:8.5, in low ambient luminance of $9cd/m^2$ and $25cd/m^2$. The obtained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s can be easily read at the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 of 1:8.5 under surface luminance of $25cd/m^2$. Visual fatigue was evaluated through a subjective survey of symptoms. Physical, psychological, and visual fatigue were observed at a surface luminance of $9cd/m^2$, whereas solely visual fatigue was felt at a surface luminance of $25cd/m^2$. By assessing the physical fatigue using the value, it has been found that smaller the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 greater is the CFF variation rate. Furthermore, readability is poor and visual fatigue can be observed when the surface luminance is lower than the ambient luminance. However, readability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 to a value of 1:8.5. Thus, in low luminance environments,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s can affect readability and fatigue. Consider providing the full form of "CFF" so that the acronym can be used unambiguously throughout the manuscript.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가 MZ세대의 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Effect of Visual Elements of Cosmetic Package Design on Purchasing of MZ Generation)

  • 이주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83-388
    • /
    • 2022
  • 본 연구는 MZ세대가 선호하는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와 그것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를 네이밍, 브랜드 로고, 색채,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 소재와 후가공, 의미성, 총 8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MZ세대가 선호하는 구체적인 시각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MZ세대는 화려하고 장식적인 스타일보다 깔끔한 구성을 선호하고, 8가지 시각 요소 중 브랜드 로고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또한,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는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가성비와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향후 MZ세대를 위한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방향성 제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