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discrimination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2초

아이폰 사용자의 감성경험디자인 유형 분석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Emotional experience design types of iPhone users - Focused on Q-methodology -)

  • 이영주;이호은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38권
    • /
    • pp.312-320
    • /
    • 2012
  • 본 연구는 아이폰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감성경험디자인 요소의 주관적 관점을 밝히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주관성 연구를 위해 Q 방법론을 통해 4개의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제 1 유형은 사용편의성 추구 유형으로 아이폰에 대한 충분한 사용적 이해가 있는 개인의 사용행태에 따른 기능, 이해의 용이성, 물리적 느낌, 사용성 모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 2 유형은 심미성 추구 유형으로 제품의 시각적인 정보에 의한 직관적이고 주관적인 심미적 인상을 중요하시는 유형을 구분되었다. 제 3 유형은 차별적 감성 추구 유형으로 자기 이미지나 자기가 소유한 제품을 통해 다른 이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중요하게 여기는 유형이며 제 4 유형은 아이폰에 대한 적극적이며 절대적인 선호도를 가지고 있는 유형으로 파악되었다.

Effects of Fatty Acids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Behavioral Development of the Second Generation Rat

  • Hwang, Hye-Jin;Um, Young-Sook;Chung, Eun-Jung;Kim, Soo-Yeon;Park, Jung-Hwa;Lee, Yang-Cha-Ki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65-272
    • /
    • 2002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hospholipid fractions in regions of the brain and on behavioral development in rats. The Sprague Dawley rat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3~4 wks prior to the conception. Experimental diets consisted of 10% fat(wt/wt) which were from either safflower oil (SO, poor in $\omega$3 fatty acids), mixed oil MO, P/M/S ratio : 1:1.4:1, $\omega$6/$\omega$3 ratio = 6.3), or mixed oil supplemented with vitamin E (+500 mg/kg diet). At 3 and 9 weeks of age, frontal cortex (FC), corpus striatum (CS), hippocampus (H), and cerebellum (CB) were dissected from the whole brain. The fatty acid content was determined in the different phospholipid fractions: phosphatidylcholine (PC), phosphatidyl-serine (PS),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PE) in the rat brain regions. In the visual discrimination test, the order of the cumulative errors made in Y-water maze test were SO > MO > ME. This suggested that the balanced diet supplemented with vitamin I had the most beneficial effect on learning ability.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orrelation between fatty acids and behavior development were that the frequency of cumulative err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s), ie., 18:1 $\omega$9 and 22:1 $\omega$9. Docosa-hexaenoic acid (22:6 $\omega$3) of PS in frontal cortex (FC)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errors made in the Y-water maze test.22:5 $\omega$6 PS in hippocampus (H), PC and PE in corpus striatum (CS), PC in cerebellum (CB)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umulative errors. And these err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20:4 $\omega$ 6 of PE in corpus striatum (CS) and PC in cerebellum (CB). Especially, O1eic acid (18:1 u 9) in all phospholipid fractions (PC, PS, PE) of hippocampu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error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MUFAs were might be essential for proper brain development, especially in hippocampus which is generally thought to be the regions of memory and learning.

도시와 섬마을 노안의 연령에 따른 근용 가입도의 비교 관찰 (A Comparative Analysis of increased along with the age presbyopic additions in city and island villages)

  • 김인숙;류근창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1-65
    • /
    • 2002
  • 본 연구는 도시(목포시)와 섬마을 노인(조도면)의 굴절상태와 근용가입도의 비교 연구를 50세에서 90세까지 총 677명을 대상으로 원용과 근용 타각적 굴절검사와 자각적 굴절검사를 자동굴절검사기, 검영기, 검안경, 시험 렌즈셀, 시시력표 등을 이용하여 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시(목포시) 노인의 원용굴절상태 남자 : 정시 10%, 근시 17%, 원시 19%, 혼합난시 38%, 기타 16% 여자 : 정시 20%, 근시 20%, 원시 20%, 혼합난시 27%, 기타 13% 2. 섬마을(조도면) 노인의 원용굴절상태 남자 : 정시 13%, 근시 17%, 원시 22%, 혼합난시 40%, 기타 8% 여자 : 정시 7%, 근시 13%, 원시 26%, 혼합난시 44%, 기타 10% 3. 연령과 성별에 따른 근용 가입도수 남자 : 50 to 60 : +1.25 or +1.50D, 61 to 65 : +1.75 or +2.00D, 66 to 70 : +2.25 or +2.50D 71 to 75 : +2.75 or +3.00D, 76 to 80 : +3.25 or +3.50D, over81 : + 3.75D 여자 : 50 to 60 : +1.25 or +1.50D, 61 to 65 : +1.75 or +2,00D, 66 to 70 : +2.25 or +2.50D 71 to 75 : +2.25 or +2.50D, 76 to 80 : +2.75 or +3.00D, over81 : +2.75 or +3.00D 4. 돋보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시간은 대체적으로 1~2시간 사용이 않았으나 5시간 이상 사용자도 있었다. 5. 도시와 섬마을 노안에서 대부분 백내장, 군날개, 고혈압, 당뇨, 녹내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Himawari-8/AHI 기반 반사도 분광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해양 구름 탐지 (Cloud Detection Using HIMAWARI-8/AHI Based Reflectance Spectral Library Over Ocean)

  • 권채영;서민지;한경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1호
    • /
    • pp.599-605
    • /
    • 2017
  • 위성 영상의 정확한 구름 판별 여부는 이를 활용하여 생산되는 다른 산출물들의 정확도에 민감한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해양에서 구름에 오염된 화소는 해수면 온도(Sea Surface Temperature: SST), 해색(ocean color), 클로로필-a(chlorophyll-a) 등 다양한 해양 기반산출물의 주된 오차 요인으로써 해양에서의 정확한 구름 탐지는 필수적이며 이는 해양 순환을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현재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Advanced Himawari Imager (AHI) 등 대부분 실시간 운영을 위한 알고리즘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정 경계값 검사 방법은 태양-해양-센서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해양의 분광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OAA의 Himawari-8 구름 산출물을 이용하여 Himawari-8/AHI 반사도 채널에서의 태양 천정각(Solar Zenith Angle: SZA), 위성 천정각(Viewing Zenith Angle: VZA) 변화에 따른 청천 해양 표면 화소의 반사도를 수집하여 분광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동적 경계값 방법인 Dynamic Time Warping (DTW)기법에 적용하여 구름탐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구름탐지 결과를 Japan Meteorological Agency (JMA)의 구름 산출물과 정성적 비교한 결과 JMA 구름 산출물은 청천 화소를 불확실(unknown)으로 오탐지 및 과대탐지 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태양 천정각이 고각인 지역에서 과대 탐지 및 오탐지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정서 정보가 생물형운동자극의 시지각 및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Information on Visual Perception and Working Memory in Biological Motion)

  • 이한나;김제중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151-164
    • /
    • 2018
  • 기존의 사회인지와 정서 연구들은 주로 얼굴자극을 이용하여 초기지각단계 및 후기인지과정에의 정서 효과를 조사해 왔다. 그러나, 정서의 효과가 정보처리과정의 각 단계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와, 정서유형에 따른 효과 양상의 변화 여부는 불확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 대신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해 자극에 내포된 행복, 분노, 중립정서가 지각과제와 작업기억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는 연달아(지각과제) 또는 시간차를 두고(작업기억과제) 제시되는 두 생물형운동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였다. 지각과제에서는 정서가를 가진 자극 시행의 정확도가 중립정서자극에 비해 낮아 정서정보가 초기지각처리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으나, 작업기억과제에서의 기억정보유지에는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과제에서 정서유형에 따라 다른 수행 양상이 관찰되었다. 분노정서는 지각단계에서 더 많은 정신적 자원을 요구하여 부하가 증가할 경우 정확도가 낮아지지만 기억유지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행복정서의 경우 중립정서가 이어서 제시될 때 이를 행복정서와 유사하게 처리하려는 편향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하여 정보처리과정에서의 정서 영향을 재확인하였고, 처리단계별 및 정서 종류별로 다른 양상의 영향이 나타난다는 점을 추가로 밝혀, 정서정보의 정교한 조작 및 통제를 위한 유용한 단서를 제공한다.

한국과 영국 사이의 국립공원 자연 경관 특색의 판별 분석 - 내용기반 영상검색의 저단계 기능 측면에서 - (Discriminant Analysis of Natural Landscape Features in National Parks between Korea and Scotland - Using Low-Level Functions of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

  • 이덕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9-300
    • /
    • 2008
  • 질감, 모양, 색채 등 내용기반 영상검색(CBIR)의 기능을 이용하여 한국의 지리산 국립공원과 영국의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의 자연 경관에 있어서의 차이를 판별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먼저 각 국립공원의 자연경관을 디지털 사진영상으로 촬영한 후, 전형적인 경관사진을 선별하였다. 사진영상의 저단계 기능(Low-level function)이 계량화되어 수직적으로 회전된 다섯 개의 요인으로 축약되었다. 이 중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물 관련 요인이 제외된 나머지 네 개의 요인에 근거한 판별선이 케이른고럼스 경관과 지리산 경관 사이에서 도출되어, 판별함수가 두 그룹을 유의하게 분할하였다($x^2(4)$=61.433; p<0.001). 고유치 2.417과 월크스 람다 0.293에 의하여 전체 변이가 두 그룹의 판별함수 평균의 차이에서 대부분 산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네 개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 전체 분산의 70.7%를 설명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경관에 대하여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는 변수는 원거리관련 변수(r=1.073)이며, 다음으로 근거리관련 변수(r=0.896)였으며, 전체적으로 90.7%가 타당하게 분류되었다. 이는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과 지리산 국립공원 자연경관 사이에서 사진영상의 근거리 요인뿐만 아니라, 원거리 요인이 보다 경관 차이에 유의한 판별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되므로, 국립공원의 경관정체성과 관련한 원거리 스카이라인의 시각적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Fuzzy C-means와 CONDENSATION을 이용한 객체 검출 및 추적 시스템 (An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System using Fuzzy C-means and CONDENSATION)

  • 김종호;김상균;황구선;안상호;강병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87-98
    • /
    • 2011
  • 동영상에서의 움직이는 객체 검출과 추적은 객체 식별, 상황인식,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등 많은 시각 기반 응용 시스템에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전처리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배경과 조명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움직이는 객체를 빠르고 정확하게 추출하고 움직이는 객체가 다른 물체에 가려지는 경우에도 강인하게 객체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객체의 효과적인 검출을 위해서 효과적인 고유 공간과 Fuzzy C-means(FCM) 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검출된 객체를 강인하게 추적하기 위해 Conditional Density Propagation (CONDENS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먼저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를 이용하여 배경 영상에서 수집한 학습데이터를 주성분(Principal component)으로 선형변환 한다. 주성분들의 고유 특성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객체와 배경에 대하여 판별 능력이 우수한 주성분을 선별하여 고유 배경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이전단계에서 구성된 고유 벡터와 입력 영상을 결합한 연산 결과를 FCM의 입력 값으로 사용해서 객체를 검출한다. 최종적으로 검출된 객체의 좌표를 CONDENSATION의 입력으로 사용해서 객체를 추적한다. 고정된 카메라에서 조명변화와 배경변화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고정된 카메라에서 움직이는 다양한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수집하여 학습데이터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하는 방법이 조명변화와 배경변화 그리고 객체의 부분적 움직임에 모두 강인하게 객체를 검출하고 다른 물체나 배경에 의해 객체가 일부 가려지더라도 객체를 추적함을 보여준다.

Potable handheld gas chromatograph(PHGC)를 이용한 인삼속(Panax species) 식물들의 향기패턴 분석 (Analysis of Aroma Pattern of Panax Species by Potable Handheld Gas Chromatograph)

  • 이부용;양영민;이옥환;김경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62-866
    • /
    • 2002
  • 분말상태의 인삼속 식물들의 품종 및 원산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SAW 센서가 내장된 PHGC를 이용하여 향기 패턴을 분석하였다. 한국 백삼을 1로 기준할 때 전체적인 Rt에 대한 frequency pattern의 면적비는 화기삼 $0.248{\sim}0.871$, 전칠삼 $0.030{\sim}0.674$, 중국산 백삼 $0.005{\sim}0.212$ 범위로 나타났다.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는 몇 개의 특정 향기성분의 면적비를 보면 $Rt_{20.02}$에서 한국산 백삼 1일 때, 중국산 백삼 0.212, 화기삼 0.343, 전칠삼 0.065이었다. 또한 $Rt_{21.70}$$Rt_{24.90}$에서 검출되는 향기성분의 면적비도 품종간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한국산 백삼과 중국산 백삼에서 검출된 Rt_26.15 향기성분의 면적비는 각각 1과 0.185로 나타나 원산지간의 차이도 분명히 나타났다. $Rt_{26.15}$의 향기성분은 화기삼과 전칠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Frequency pattern, derivative pattern을 Vapor $print^{TM}$을 사용하여 도형화하여 비교한 결과 한국 백삼(Korean Panax ginseng C.A. Meyer), 화기삼(미국삼, 서양삼, Panax quinquefolium L.), 전칠삼(Panax notoginseng F.H. Chen), 중국산 백삼(Chinese Panax ginseng)은 서로 다른 패턴을 보여주어 품종간의 차이는 물론 원산지의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남녀 고등학생의 성희롱에 대한 태도 및 경험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f the Attitude and Experience for Sexual Harassment in Adolescence)

  • 정의남;박신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38-55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which 573 students from 2 high schools in Kang Nung city participated was to identify the attitude and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This information will provide useful data, and promote a more systematic sexual harassment education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8 male students and 295 female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5 to October 6. 2000.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Computer package. SPSS to manipulate the data along with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t-tes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s from this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were significant in their attitude on sexual harassment(t=-2.26. p=0.024). Fe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than male students. 2. As a cause of sexual harassment. 'A man's misjudgement regarding a women as sexual objects(n=130: 22.7%)'. 'Patriarchal system of unequal distribution of power and status between the sexes(n=105: 18.3%)'. 'The effect of sexual stimulatives. (pornography. pornovideo. TV program ect.)(n=89: 15.5%)'. 3. As a countermeasure for prevention, 'Punishment, law and regulation of the sexual harasser(n = 151; 26.4%)', 'A preventive education of sexual harassment in adolescence (n = 125: 21.8%)'. 'Reformation of gender inequality and sex discrimination in the socio-structure(n=76; 13.3%)'. 4. Out of 573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209(36.5%) students reported experiencing an incident of sexual harassment. For 278 male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88(31.7%) had experienced an incident of sexual harassment. For the 295 female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121(41.0%) had experienced an incident of sexual harassment. The type of sexual harassment is reported physical sexual harassment(n = 248: 40.5%), verbal sexual harassment(n = 226; 36.7%), and visual sexual harassment(n=139: 22.6%). 5. Their age in which they had experienced harassment was usually 'after 16 years of age(n=122: 58.4%)'. The age of harassers were mostly teenagers(n=112; 53.6%). The relationship to the with sexual harasser was a stranger (n=85; 40.7%), or a friend(n=78: 37.3%). After the incident of sexual harassment occurred, some students informed friends (n=114: 54.5%), 63(30.1%) told no one. Male students' feelings after the experienced harassment ranged from: 'be interesting', 'be pleasant'. Female students' feelings after the experienced harassment ranged from; 'be surprised', 'get a shock', 'fear', 'shame'.

  • PDF

초등과학영재학급 학생의 학습양식과 과학탐구능력 간의 상관관계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Styl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Students of the Gifted Class in Elementary School)

  • 최선영;송현정;강호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103-11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learning styl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students of the gifted class in elementary school. Subjects were forty-eight students of the gifted class who are in the fifth grade studying at the gifted class of S elementary school in Bucheon, M and Y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on learning styl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students. Learning Style Profile (LSP) was used as instrument to survey learning style of students of the gifted class which was developed by NASSP, and consists of four categories (cognitive skills, perceptual response, orientation and teaming preferences) and twenty-four sub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learning styles test, students of the gifted class have higher scores of spatial skill, sequential processing skill, persistence orientation, manipulative preference, temperature preference and afternoon preference than general class students, but they have lower scores of discrimination skill and lighting preferenc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In science process skills te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of the gifted class and general students. 3.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ing styl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of observing skill with spatial skill and manipulate skill of cognitive skill domain. For classifying skill,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visual perceptual response, but w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auditory and emotive perceptual response of perceptual response domain and with evening preference and verbal risk orientation of study preference domain. For measuring skill,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equential processing skill of cognitive skill domain. For formulating hypotheses, there was controlling variables,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equential processing skill and simultaneous processing skill of cognitive skill domain, and with verbal-spatial preference and early morning study preference of study preference domain. When planning and managing the gifted class, it will be beneficial and effective to consider the meaningful relations between the elements of loaming style and science process skills in order to improve science process ski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