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Research Method

검색결과 1,328건 처리시간 0.022초

사용자의 시각적 인지 특성에 기초한 시선추적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 -제품 디자인을 위한 분석 프레임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of Eye Tracking Analysis Based on the Properties in Visual Perception of User -With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Analysis-Framework for Product Design-)

  • 최민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197-206
    • /
    • 2003
  • 최근 디자인의 주요 관심사로서 인터페이스와 인지공학에 대한 연구들이 사용자와 제품을 분석하는 디자인 방법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언어적인 방법론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디자이너가 시각적인 구현을 목적으로 할 때 많은 어려움을 가지게 되며, 특히 언어적인 서술과 요구들이 시각적 요소로서 전환될 때 많은 오류와 왜곡이 발생한다. 결국 디자이너는 사용자와 제품의 시지각 모델에 대한 이해론 필요로 하며 시각적 방법에 분석도구를 요구한다. 본 연구는 분석의 도구로서 시선추적방법을 활용하며, 제품디자인에 적용하기 위한 분석의 프레임과 구체적인 측정/해석 방법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시지각의 특성과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분석도구의 개발을 위한 프레임을 설정하며, 구체적인 방법의 개발을 위해 고정과 탐색의 시선추적기술을 논의한다. 또한 기초적인 제품시험을 통하여 시선추적방법의 분석 프로세스와 적용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장단점을 파악한다. 본 연구는 4가지의 단계로 수행되며, 첫째 시지각의 이론과 제품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며, 둘째로 구체적인 실험 및 방법을 설정한다. 셋째로 실험을 통하여 고정과 탐색의 데이터를 측정하며, 기초 데이터의 분석 틀을 마련한다. 넷째로 분석결과를 시각적 의미로 해석하는 프레임을 제시한다.

  • PDF

시각탐색(visual scanning)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시각기억에 미치는 영향: 단일 사례연구 (Effect of Visual Scanning Program on the Visual Memory of Stroke Patients: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 황선정;김정미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7-75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시각탐색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시각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시각 기억에 결여를 보이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A는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5회기, 중재기 B에는 시각탐색 훈련프로그램을 4주 동안 7회기 매회 30분간 진행하였고, 재기초선 A'는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3회기 실시하였다. 훈련 전, 후 시각기억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산화 신경인지 기능 검사 프로그램 중 시각기억 검사(Visual Learning Test), 시각 단기 기억(Visual Span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시각 탐색 훈련프로그램 후에 MVPT processing time이 5.5초에서 4.5초로 더 빨라졌고, CNT 시각기억 검사(Visual Learning Test), 시각 단기 기억(Visual Span Test) 의 모든 항목들에서도 치료 전, 후 평균점수들의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시각탐색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시각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뇌졸중 환자들의 시지각 향상을 위해 시각탐색훈련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뿐만 아니라 시지각 훈련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PDF

A Study on the Metaphor Analysis Metrics of Visual Trope

  • Kwon, Gi-Myung;Lee, Jin-Ho;Jo, Jun;Hibino, Haruo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77-88
    • /
    • 2007
  • Visual trope is one of the important appealing methods of creativity to induce voluntary consumer participation. In many cases, it delivers a message using metaphors. To define the concepts of_metaphor, we investigated methods of expression and significance of metaphor itself and associated forms; in all: metaphor, analogy, catachresis, metonymy, and synecdoche. We also considered the structure of each form to propose a method of metricizing the metaphor Consequently, we found that the metaphor of a visual trope is a type of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codes. We suggested models for each form type and concept of metaphor through the evaluation of metaphor significance and case study. Metaphor significance forms mutually close relationships with codes of pragmatics, semantics, and syntax. We suggested a type of metrics or a guideline for an expression method and evaluation of a visual trope appropriate for a metaphor form type. Therefore and importantly, the following study presents unique, but manifold results that are also useful in the field of design.

  • PDF

실제 이미지에서 현저성과 맥락 정보의 영향을 고려한 시각 탐색 모델 (Visual Search Model based on Saliency and Scene-Context in Real-World Images)

  • 최윤형;오형석;명노해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89-395
    • /
    • 2015
  • According to much research on cognitive science, the impact of the scene-context on human visual search in real-world images could be as important as the salienc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Adaptive Control of Thought-Rational (ACT-R) modeling of visual search in real-world images, based on saliency and scene-context. The modeling method was developed by using the utility system of ACT-R to describe influences of saliency and scene-context in real-world images. Then, the validation of the model was performed, by comparing the data of the model and eye-tracking data from experiments in simple task in which subjects search some targets in indoor bedroom images. Results show that model data was quite well fit with eye-tracking data. In conclusion, the method of modeling human visual search proposed in this study should be used, in order to provide an accurate model of human performance in visual search tasks in real-world images.

Adaptive Processing for Feature Extraction: Application of Two-Dimensional Gabor Function

  • Lee, Dong-Che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9-334
    • /
    • 2001
  • Extracting primitives from imagery plays an important task in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ince the primitives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and patterns. The human visual system utilizes features without difficulty for image interpretation, scene analysis and object recognition. However, to extract and to analyze feature are difficult processing. The ultimate goal of digital image processing is to extract information and reconstruct objects automatical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obust method to achieve the goal of the image processing. In this study, an adaptive strategy was developed by implementing Gabor filters in order to extract feature information and to segment images. The Gabor filters are conceived as hypothetical structures of the retinal receptive fields in human vision system. Therefore, to develop a method which resembles the performance of human visual perception is possible using the Gabor filters. A method to compute appropriate parameters of the Gabor filters without human visual inspection is proposed. The entire framework is based on the theory of human visual perception. Digital images were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trategy.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daptive approach improves performance of the Gabor filters for feature extraction and segmentation.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능력검사모형 구안 (The Development of the Inspection Model about 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Visual Artistic Giftedness Identifi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박명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1-30
    • /
    • 2010
  • 본고는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적 능력과 관련하여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미술영재성과 인지능력과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능력검사모형을 구안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미술영재성과 인지능력의 관계를 고찰하여 미술영재성의 구성요인으로서 인지능력의 타당성을 규정한 다음, 앞선 문헌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능력검사모형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구안된 검사모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일반학급 아동집단과 미술영재 아동집단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능력의 구성요인으로서 시각적 사고력과 공간 지각력, 비판적 사고력이 논리적, 경험적으로 타당성이 있다고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이루어질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대한 다양한 모색의 가능성과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새로운 접근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외란관측기를 이용한 시각구동 방법의 구현 (Experiments on a Visual Servoing Approach using Disturbance Observer)

  • 이준수;서일홍;유범재;오상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G
    • /
    • pp.3077-3079
    • /
    • 1999
  • A visual servoing method has been proposed based on disturbance observer to eliminate the effect of the off-diagonal component of image feature Jacobian, since performance indices such as measurement sensitivity of visual features, sensitivity of the control to noise and controllability could be improved when an image feature Jacobian was given as a block diagonal matrix. In this paper, experimental results of disturbance observer-based visual servoing are discussed where Samsung FARAMAN-ASl 6-axis industrial robot manipulator is employed. Also, the feature saturator is proposed to stabilized the disturbance observer loop by saturating the differential changes of the image features.

  • PDF

Visual-MIMO 시스템에서 영상의 휘도 신호를 이용한 수신 성능 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of Visual-MIMO System Using Image Brightness Information)

  • 백정훈;윤기방;박영일;김기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12호
    • /
    • pp.699-707
    • /
    • 2014
  • 최근 LED 어레이와 카메라간의 통신 (일명, 'Visual-MIMO')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차량 및 스마트폰 등으로의 응용이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수신 영상의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Visual-MIMO 시스템의 BER(Bit Error Rate) 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특히 심벌간간섭 (ISI: Inter-Symbol-Interference)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하고자 오류정정 방법을 제안한다. 잡음과 거리의 변화에 따른 성능 분석은 시뮬레이션과 하드웨어 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한다.

주관적인 3차원 피로감 측정 방법에 대한 휴먼팩터 연구 (Human Factor Research on the Measurement of Subjective Three Dimensional Fatigue)

  • 이형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07-616
    • /
    • 2010
  • 현재까지 제안된 3차원 시각피로 측정 방법은 측정의 타당도가 결여되어 있고 시각피로의 복합적인 특성을 제대로 파악해 내지 못 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시각피로의 구성요인을 분석하고 안정적으로 타당하게 주관적인 시각피로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시각피로가 네 개의 독립적인 하위요인(시각적 스트레스, 안구 통증, 신체 통증, 상 흐림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규명하였고, 둘째, 네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3차원 시각피로를 측정할 수 있는 29개의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셋째, 시각피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시청시간과 양안시차의 조작이 개발된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시각피로에 실제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각피로 측정 방법이 3차원 시각피로를 타당하게 측정함을 시사한다.

교량의 경관설계 방법과 구조형상의 시각적 안전성 평가 (Landscape Design Method of Bridges and Visual Safety Estimation of Structural Shape)

  • 양승현;시오미 히로유키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235-244
    • /
    • 1998
  • In the design of bridges, the points of concem are the landscape design, the function, safety and economical efficiency. But most of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structural engineering. The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of bridges has not been done in korea.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design method of bridges by the judgement of structural engineering and landscape engineering has been proposed, through the process to decide the shape of bridges. Also, the research studies a problem about the visual safety of the structural shape in the landscape design of bridges. The visual experiments applied to the seven models about the shape of hunch in bridge pier. The experiment was made in moving velocity of view point, steady looking time and track of eyeball mov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