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Education

검색결과 1,291건 처리시간 0.035초

시각문화교육과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애니메이션 교육의 방향 (Animation Education as VCAE in the Digital Age)

  • 박유신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5호
    • /
    • pp.29-65
    • /
    • 2014
  • 시각문화교육은 포스트 모더니즘 이후, 미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볼 수 있다. 시각문화교육은 전통적인 미술교육에서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시각 환경으로 그 관심의 폭을 확대하였으며, 전통적인 순수예술에서 대중문화 및 영상예술 등으로 미술교육의 관심을 폭넓게 확장해 왔다. 시각문화교육은 이미지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에 주목하고, 비주얼 리터러시 능력을 강조하며 구성주의적인 학습을 강조한다는 면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이슈와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으며, 실제로 문화예술교육의 주요한 이론적 배경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와 더불어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애니메이션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시각문화교육의 이론적 배경 및 이슈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애니메이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시각문화교육은 1970년대 이후의 진보적인 문화적 배경 아래에서 탄생하였으며, 그 요지는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삶의 개선을 위해 시각적 인공물과 그 행위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문화교육은 시각문화 양상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 중이며, 현재에는 시각문화에서의 미적 체험교육이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의미 구성등으로 그 관심을 확장하는 중이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시각환경에서 애니메이션은 시각문화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으며, 애니메이션은 하나의 예술장르, 혹은 테크놀러지를 넘어 시각문화 전반에 걸쳐 이미지가 구현되는 형식이기도 하다. 그간 시각적 의사소통 및 비판적 문화 읽기 등을 강조해 온 시각문화교육 또한 미술교육의 체험에서 이해, 감상에 이르기까지 전 영역에 있어서 디지털-애니메이션 시각문화의 새로운 양상을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애니메이션 교육 영역의 확장, 범교과적 접근, 사회재건주의적 교육철학,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등을 강조하였다. 시각문화교육적 관점에 기초한 애니메이션 교육의 연구는 애니메이션 교육의 정립에 이론적 토대가 될 뿐 아니라 전통적인 비판적으로 텍스트 읽기중심의 시각문화교육을 내용적으로 풍부하고 동시대적이고 미래적인 방향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직관의 즉각성 요인과 효과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Factors and Effect of Immediacy in Intuition)

  • 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3호
    • /
    • pp.263-27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factors and the effects of immediacy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The factors of immediacy are visualization, functional fixedness and representatives. In special, students can apprehend immediately the clues and solution using the visual representation because of its properties of finiteness and concreteness. But the errors sometimes originate from visual representation which come from limitation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It suggests that students have to know conceptual meaning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when they use the visual representation. And this phenomenon is the same in functional fixedness and representatives which are the factors of immediacy The methods which overcome the errors of immediacy is that problem solvers notice the limitation of the factors of immediacy and develop the meta-cognitive ability. And it means we have to emphasize the logic and the intuition in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Clearly, we can't solve all mathematical problems using only either the logic or the intuition.

  • PDF

중증시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슴압박소생술 교육효과 (The effects of hands-onl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for undergraduate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 정화윤;최은숙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3-17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hands-only CPR education according to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5) guideline for undergraduate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anding the subject of hands-only CPR education among the visually impaired. Methods: Twenty-one students attending four universities in C Province, aged 19 years or olde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se students had severe visual impairment and no other disabilities and have never received hands-only CPR educatio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2017 to January 11, 2018. The accuracy of the participants' technique was measured using Brayden Pro CPR maniki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4.0. Results: Hands-only CPR educa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onfidence and accuracy of chest compression among undergraduate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should be given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Additionally, subsequent studies should develop equipment that helps increase accuracy by using video aids with commentary or other auditory components for the visually impaired.

서울시 소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시력저하실태 및 시력관리를 위한 건강행위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Visual Acuity Change and Caustive Factors Influencing Decreased Visual Acuity f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김은주;고승덕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8-86
    • /
    • 1994
  • In order to provide data of effective health education for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 for visual acuity care. The authors investgated the actual acuity and health behavior for visual acuity 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50 students in high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has been made through references and student's health recor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students move up to grade,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had a tendency to increase. In case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below 0.2 in one or both eye, the number of cases wa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moving up to grade, especially visual acuity of right eye was more decreased than that of left eye. 2) As to proportion of the group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among the total students, among 2250 students, student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was 35.6%(800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type, in academic school, frequency of student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in day school was higher then that in night school. In commercial school, the frequency of students who had decreased visual acuity in night school were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in day school. 3) As to variables influencing the decreased visual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groups with normal visual acuity and groups with subnormal in terms of awareness of visual acuity by themself, parent's visual acuity, unbalanced eating habit, distance from television, or books, posture in watching television, posture in reading, awareness of illumination in classroom. 4) As to practice of protectiv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for visual acuity care, In group with normal visual acuity. There was good practice such as proper eating habit, proper studying habit, and health habit in its descending order, but proper illumination and regular eye test were practiced poorly. In group with subnormal visual acuity, one of the vest practice in visual acuity care was an effort to prevent eye strain. Other good practice involve tasking regular eye test, maintaining proper studing habit, in its descending order.

  • PDF

판 구조론 학습에 사용되는 시각적 표상이 판구조론 개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응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sual Representation in Plate Tectonics Topics on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n Plate Tectonics)

  • 이미숙;정진우;김형범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4-225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about the plate tectonics through visual representation.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67 students in 11th-grade high schools in Chungbuk. In order to in-depth understand the students' conceptions about plate tectonics, so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conclusions were as in the following. After learning the plate tectonics, the students had the alternative conceptions associated with terminology, colors' meanings, plate-related melting, plate's movement, plates' boundaries, mantle's physical conditions, driving forces for plate movement, and they had the organic relations about colors' meanings, mantle's physical conditions, and driving forces of plate movement. Also, the visual representation used to teach plate tectonics influenced on the students' responses about terminology, plates' boundaries, plate-related melting and the mantle's physical features, also this study found the factors of visual representation causing the learners to create alternative conceptions. These results implicat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in identifying the students' interpretation process on visual representation, and it needed to improve the factors creating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about visual representation and to study the factors further.

구성주의 기반의 Visual Basic 웹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1)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sual Basic Web Courseware based on Constructivism)

  • 선경희;강윤희;이주홍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49-358
    • /
    • 2005
  • 프로그래밍 실습은 반드시 프로그램이 설치된 곳에서 교육을 해야하며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만으로는 충분한 학습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구성주의 교육관(자기주도적학습, 문제중심학습)에 입각하여 Visual Basic 프로그램 학습을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효율적이고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준별 학습 모형으로, 웹이 가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상호보완 하여 설계하였다. 웹 코스웨어는 튜터 시스템과 ActiveX를 이용하여 Visual Basic프로그램을 웹에서도 가능하도록 구현 하였다. 코스웨어를 적용 결과 학생 개개인의 능력 수준에 맞는 수준별 교육과정의 학습방법으로 학습자에 게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며, 성취도와 학습의욕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오류 수정 학습의 제공으로 문제해결 능력과 논리적 사고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

  • PDF

Alice 프로그래밍을 통한 객체 지향 시각 프로그래밍 교육의 평가 지표 개발 및 유용성 분석 (A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Metrics and Analysis of the Object-Oriented Visual Programming Education Using Alice Programming)

  • 정덕길;정민포;조혁규;노영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742-748
    • /
    • 2014
  • 객체 지향 시각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연구는 학생들이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는 과정 혹은 프로그래밍을 교수하는 방법론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적합성 분석 및 설계 방법론을 찾는 것과 관련된다. 학생들이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객체 지향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방법으로 이 논문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객체 지향 시각 프로그래밍 교육을 적용하고 평가하기 위한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Alice 프로그래밍을 통한 시각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론과 교과과정을 도입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된 시각 프로그래밍 교육의 평가 지표는 시각 프로그래밍 언어/도구를 사용할 때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적합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학생들의 이해력, 추상화 능력, 프로그램 구현 능력과 학생들의 수준별 적합성을 측정하고 분석한다.

유아의 채소섭취행동 강화를 위한 채소노출 및 채소놀이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Using a Direct Visual Stimulating Program on Vegetables and Nutrition Education with Vegetable Playing)

  • 박모라;김영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4호
    • /
    • pp.298-31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getable eating behavior of care givers and that of children, 2)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with vegetable playing using direct visual stimulating programs on vegetable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and 3) the times and period of nutrition education with vegetable playing for significant changes on vegetable eating behavior. A total number of 56 individuals, aged 42 to 66 month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which three kinds of vegetables (30 g)/meal were served per individual, and vegetable eating behavior was measured by the residue on the dish during 5 weeks (25 days). To the simple visual stimulating group, vegetable dish was served without education, and other groups included education 1 group (nutrition education 1 time/week), education 2 group (nutrition education 2 times/week), and education 3 group (nutrition education 3 times/week) with simple visual stimulation by the vegetable dish. The results showed 1)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P<0.001) between the vegetable eating behavior of the care giver and that of children by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2)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vegetable playing on vegetable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P<0.05), and 3) the significant changes in vegetable eating behavior by the 3rd week in the education 3 group. This study shows that food neophobia caused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regarding vegetable eating and repeated exposure was able to reduce food neophobia.

비주얼 씽킹과 SNS를 활용한 진로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eer Education through Visual Thinking and Social Network Service)

  • 송기정;마대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75-284
    • /
    • 2018
  • 본 연구는 비주얼 씽킹과 SNS를 활용한 진로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진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부모들의 자녀의 진로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며,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인 학생의 발달 단계에 맞는 진로교육을 통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알맞은 진로를 탐색하도록 하였다. 비교 연구 결과 실험반이 '진로에 대한 의견 및 태도', '정보탐색 및 합리적인 의사결정', '직업에 대한 지식' 전 영역에서 비교반에 비해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연구 결과 비주얼 씽킹과 SNS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학생들의 진로 인식을 고취하고 진로 탐색에 적극적인 태도를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비전공자를 위한 기초 코딩 교육에서 학습자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 유형이 프로그램 이해와 작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Learners' Visual Literacy and Thinking Patterns on Program Understanding and Writing in Basic Coding Education for Computer Non-majors)

  • 박찬정;현정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1
    • /
    • 2020
  • 최근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이 점차 중요하게 다루어지면서 2019년 1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까지 초·중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을 필수교육으로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초·중등학교에서는 물론, 대부분 대학교에서도 컴퓨터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컴퓨터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코딩 교육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교양 과목으로 컴퓨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코딩 교육에서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찾고자 한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로 불리는 요즘 대학생들은 시각적 정보를 선호하고 디지털 네이티브로 컴퓨터에 익숙하다. 이런 특징을 기반으로 대학생들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 유형을 조사한 후, 기초 코딩 과목에서 학생들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유형이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작성하는 코딩 기반의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코딩이 처음인 컴퓨터 비전공자 학생들을 위한 코딩 활동에 대해서 보다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