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isual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교육과목에 나타난 시각디자인 교육의 변화 (A Study of Changes on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in Major Subjects)

  • 전성복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09-118
    • /
    • 1999
  • 우리나라에 대학교육이 시작되고 지금의 발전된 대학들의 모습이 있기까지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디자인 교육도 해방직전부터 시작하여 지금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 속에 다양한 전공들이 생겨났다. '도안과'라는 전공으로 시작되어 지금은 컴퓨터 정보화 시대를 반영이라도 하듯 멀티미디어디자인 전공까지 탄생하기에 이르는 맡은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고과과정도 개정을 거듭하게 되었고 그 속의 교육과목 또한 그 시대를 반영하면서 변화 되어왔다. 시각디자인 전공도 그 예외는 아니었다. 특히 시각디자인 전공은 시각에 전달하고자 하는 모든 매체의 수용을 해야하는 전공의 특성상 컴퓨터라는 새로운 매체를 어떻게 수용하여 가르칠 것이냐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 시점이다. 기존의 교육과목과 컴퓨터그래픽디자인 교육과목을 적절히 수용하여 활용하는 대학교육이 하루 빨리 정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PDF

Design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Affordance Concept for Convergent Design Education

  • Kim, Sun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199-206
    • /
    • 2020
  • I suggested the design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affordance concept approach for supporting and improving learners' behavior and outcome for convergent design education in this study. The design learning space should be appli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especially learners' behavior, physical space condition to support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design learning space needs openness, individuality and connectivity to support the learners' behavioral to immerse, participate, cooperate, understand, think and fulfill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convergent design education support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members for independence and interaction. The spaces for design research and teaching needs high privacy while facilitating visual communications through special materials and wall structure design. Also, for connectivity to improve the learners' physical and visual contact, the environment of the classrooms requires flexibility and mobility by providing an open space integrating unit cells for realizing learning purpose. These are provided by formed of an open structure for inducing visual communication and physical contact to involve the design activities and the mutual interchange.

시각디자인 교사역량 평가 모델 연구 (Visual design teacher competency evaluation model study)

  • 손붕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2권1호
    • /
    • pp.29-41
    • /
    • 2022
  • 최근 시각디자인 전공은 많은 국가에서 생산적 가치를 창출하는 신흥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시각디자인 교사는 디자이너의 발전과 디자인 산업의 트렌드에도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시각디자인 전공 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대학의 시각디자인 전공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며 그들의 직무를 수행할 때 갖춰야 할 역량의 구성 모델을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문서 분류를 통해 지식 능력, 교학 능력, 실무능력, 관리능력, 직업윤리인 5가지 역량군을 기반으로 한다. 시각디자인 업계 전문가 10명과의 인터뷰와 2회의 델파이 방식 인터뷰를 통해 시각디자인 교사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도록 한다.

시청각 상호작용과 멀티미디어 시대의 디자인교육 (Audio-visual Interaction and Design-education in the Age of Multimedia)

  • 서계숙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49-58
    • /
    • 2001
  • 멀티미디어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이너는 색채, 형태, 시간, 움직임과 같은 시각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사운드까지도 메시지를 전달하는 표현요소로서 인식하여야 한다. 잘 알려졌다시피 시각이나 청각 어느 하나만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때보다 시청각을 조화시켜 메시지를 전달할 경우 인지도가 높기 때문이다. 시각과 청각의 만남은 공감각에 근거하는데 이것은 색채와 음, 형태와 사운드의 연상작용으로 나타난다. 기초적인 예를 들면 낮은 음은 어두운 색을 연상시키며 높은 음은 밝은 색을 연상시킨다. 또 타악기는 원을, 멜로디는 선을 연상시킨다. 멀티미디어에서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는 이전의 시청각매체에서와 달리 단순히 보이는 장면과 관련된 소리를 들려주는 동시성의 수준에서 벗어나 각각 독립적인 표현요소로 작용하여야 한다 이렇게 독립적인 표현요소로서의 시각과 청각이 만나서 상호작용을 일으킴으로써 그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새로운 감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멀티미디어 시대의 디자인 교육은 이렇게 시각과 청각의 상호작용의 원리를 이해하고 메시지를 시청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을 시청각 조형, 시청각 구성, 시청각 디자인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과제들을 예로서 제시하였다.

  • PDF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반으로서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 개념 검토 (An Examination on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as a Basis for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me)

  • 박건규;김원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97-403
    • /
    • 2016
  • 본 연구는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되는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의 개념을 검토한다. 시각적 문해력은 문자에 대한 문해력이 그러하듯이 주체에게 시각적으로 주어지는 정보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청소년층의 생활전반에서 뉴미디어를 통해 접하는 시각정보가 많고 다양한 만큼 시각적 문해력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뉴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수행에서 시각적 문해력은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한 기반이 된다. 여기에는 뉴미디어를 사용하여 시각정보를 교환하며 서로 소통하는 능력도 포함된다.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시각디자인 교육시스템 연구

  • 정봉금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341-350
    • /
    • 2003
  • 21세기의 문화라는 화두를 보면 디지털미디어의 등장이다. 이는 산업혁명에 버금가는 새로운 전환을 이루었으며 이제 우리사회는 디지털 미디어 매체가 지배하는 사회가 되었다.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는 디자인 학문으로서 시각디자인의 정체성이 디지털매체가 들어오면서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를 조사ㆍ분석하여 현재 시각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가늠하기 위한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표이다. 또한 디지털 매체는 젊은 계층이 주 타깃이 되기에 시각언어의 표현기법이 달라지는 것도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실제 디지털 매체의 등장으로 시각커뮤니케이션이 창조되고 분배되어 온 방법들이 많은 변화를 거쳐 온 것이 사실이다. 과거 대부분의 디자인 교육기관들은 서로 비슷한 교육목표와 커리큘럼, 교수법으로 학생들이 실무현장에 대비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해왔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시대에 시각디자인의 적용과 활용은 비할 수 없이 다각화되었으며 그것은 상호자강(Interaction)으로 대별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대 시각디자인 분야의 전문 인재 양성 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이를 위해 기존의 전통교육과 디지털 교육의 융합으로 현실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교육시스템을 도출하고, 사회의 요구를 앞서가는 디자인 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컴퓨터의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computer usage in design education)

  • 김진용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219-225
    • /
    • 2000
  • 많은 디자이너들이 과거의 붓, 물감 등에 의한 전통적 도구들을 대신하여 각종 디지털 도구들과 컴퓨터를 전통적인 인쇄물 및 프레젠테이션,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디자인 환경 속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제는 컴퓨터그래픽의 질적 요소가 디자인 결과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컴퓨터그래픽의 생활화에 의한 시각문화가 재창출되는 시점에 이르고 있다. 학교 교육의 현장에서도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컴퓨터 장비의 확충과 활용비율을 크게 늘려가고 있는 추세이지만 전문지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투자에 비해 그 효율성이 매우 적에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컴퓨터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학교 내 컴퓨터와 관련한 기자재의 설치 및 운용에 있어서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적정한 규모의 장비로써 최대의 능률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업능률과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와같은 기본 원칙에 의거, 본 논문은 컴퓨터를 활용하고 있는 각 대학들의 사례를 수집, 분석하여 문제점을 추출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인 디자인 교육에 일조 하고자 하였다.

  • PDF

주거 공간 계획을 위한 시각장애인의 행위에 따른 동작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ential Facilit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and Motion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 김민경;금요찬;박용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99-107
    • /
    • 2006
  •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re difficult to go to education facility by themselves, because of their limited visual ability, orientation, and usability field, so they prefer dormitories. Those dormitories playa role in living space, education, communication and culture function. Therefore those facilities planned more user centered design, since they are influenced by user actability and their values. User centered designs that match between the user and space are understood as well as their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Especially for understanding their activity, observation is conducted about their behavior in dormitor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ed to be a basic source that planning about residential facility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through interview and observation investigation by analysis that they resident in space motion and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