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cosity agent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33초

$CO_{2}$ 개스 주입에 의한 옥수수가루의 팽화: Sucrose와 Glyceryl Monostearate(GMS)의 영향 (Cornmeal Puffing with $CO_{2}$ Gas: Effect of Sucrose and Glyceryl Monostearate(GMS))

  • 류기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1-256
    • /
    • 1995
  • 팽화제품의 맛과 조직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sucrose를 첨가한다. 또한 유화제를 첨가하면 압출성형동안 아밀로스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반죽의 물성을 변화시켜 팽화제품의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 첨가제는 $CO_{2}$ 주입에 의한 압출성형공법에서도 조직감과 기공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sucrose(5%, 10%)와 GMS(0.75%, 1%)를 옥수수 가루와 혼합하여 $CO_{2}$ 개스 주입압력을 1.04에서 2.07 MPa를 변화시킬 때의 시스템 변수와 제품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CO_2$ 개스를 주입시킴에 따라 반죽온도는 증가하였고, 사출구 압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ucrose의 첨가에 의해 반죽온도, SME투입과 사출구 압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GMS첨가에 의해 SME 투입량의 변화는 없었지만, 0.75% GMS첨가에 의해 팽화제품의 밀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GMS 첨가에 의한 수용성지수와 paste 점도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O_{2}$ 주입압력에 따라서 paste 점도는 크게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GMS를 첨가할 경우 $CO_{2}$ 주입에 의한 기공형성력이 증가하여 제품의 조직감이 향상되었다. 밀도는 $CO_{2}$ 주입압력 1.38 MPa, 0.5% GMS 첨가시 최소치인 $0.22g/cm^{3}$를 보였다.

  • PDF

Polyamine계 고분자 응집제의 합성 및 상수 처리 특성 (Synthesis of Polyamine Type Flocculant and Properties in Potable Water Treatment)

  • 박이순;신준호;최상준;신명철;이석훈
    • 공업화학
    • /
    • 제9권4호
    • /
    • pp.542-547
    • /
    • 1998
  • 수질 환경의 악화에 따라 상수처리에 있어서 기존에 사용되어온 황산알루미늄 (Alum ; $Al_2(SO_4)_3$) 및 polyaluminum chloride (PAC) 등 무기계응집제만으로는 적절한 응집 효과를 얻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epichlorohydrin과 dimethylamine을 사용하여 poly(amine)계 고분자 응집제를 합성하는 조건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Polyamine의 합성에 있어서 위의 두 단량체 이외에 반응성기가 4인 1,6-hexandiamine을 분자량 중가제로 사용한 경우 dimethylamine 대비 5.5 mol % 이내의 범위에서 [${\eta}$]=0.46에 상당하는 branched polyamine 시료 (PA-c)를 얻을 수 있었으며 도입량이 5.5 mol % 이상인 경우에는 gel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polyamine계 고분자 응집제의 응집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낙동강 수계 매곡정수장의 pilot 장치에 적용하여 응집실험을 수행하였다. 응집 실험 결과 탁도 5~20 [NTU] 정도의 원수를 탁도 2.0 [NTU] 미만으로, 그리고 유기물 함량 (TOC) 제거 효율을 20~40%으로 하기 위하여 polyamine 고분자 응집제 1 mg/L를 병용함으로써 무기 응집제 PAC의 소모량을 15 mg/L, 즉 1/2 수준으로 감소 시킬 수 있었다. 무기 응집제 PAC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원수의 pH가 9.0 이상이 될 경우 탁도 제거 효율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poly(amine) 고분자 응집제를 1 mg/L의 농도로 병용함으로서 보다 더 넓은 PH 범위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소수성 실리카를 안정제로 하는 현탁중합 II.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폴리스티렌 복합체 입자의 합성 (Suspension Polymerization with Hydrophobic Silica as a Stabilizer II. Preparation of Polystyrene Composite Particles Containing Carbon Black)

  • 박문수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505-511
    • /
    • 2006
  • 물을 반응매체로 하고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폴리스티렌 복합체를 현탁중합법을 이용하여 입자형태로의 합성을 시도하였다. 안정제로는 소수성 실리카를, 개시제로는 지용성 안정제인 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선택하였다. 반응은 $75^{\circ}C$로 고정하였다. 안정제의 농도를 물에 대하여 $0.17{\sim}3.33wt%$까지 변화시킨 결과 1.67 wt%에서 최소 평균입경인 $7.96{\mu}m$의 입자가 형성되었다. 가교제인 divinylbenzene(DVB)은 단량체에 대하여 $0.1{\sim}1.0wt%$까지 변화시킨 결과 가교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간의 응집이 발생하며 평균입경이 크게 증가하였다. 카본블랙의 농도가 단량체에 대하여 1.0 wt%에서는 단량체만으로 구하여진 입자의 입경에 비하여 평균입경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혼합물이 분산에 필요한 최소점도에 미치지 못하며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못한 결과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단량체 대비 3.0 wt% 카본블랙 혼합물의 경우에는 혼합물의 점도 증가로 인한 분산의 향상으로 평균입경이 감소하였다. 이 두 농도의 경우 중합반응 이전의 혼합물의 예비입자 및 중합반응 후의 고분자복합체 입자의 입경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카본블랙의 농도가 단량체 대비 5.0 및 7.5 wt%에서는 혼합물의 점도가 큰 폭으로 상승하고 그 결과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며 예비입자의 평균입경은 감소하였으나, 중합반응 과정에서 입자응집 현상이 발생하며 고분자 복합체의 평균입경은 다시 증가하였다.

Effect of Amine Functional Group on Removal Rate Selectivity between Copper and Tantalum-nitride Film i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 Cui, Hao;Hwang, Hee-Sub;Park, Jin-Hyung;Paik, Ungyu;Park, Jea-Gun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9
    • /
    • pp.546-546
    • /
    • 2008
  • Copper (Cu)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has been an essential process for Cu wifing of DRAM and NAND flash memory beyond 45nm. Copper has been employed as ideal material for interconnect and metal line due to the low resistivity and high resistant to electro-migration. Damascene process is currently used in conjunction with CMP in the fabrication of multi-level copper interconnects for advanced logic and memory devices. Cu CMP involves removal of material by the combination of chemical and mechanical action. Chemicals in slurry aid in material removal by modifying the surface film while abrasion between the particles, pad, and the modified film facilitates mechanical removal. In our research, we emphasized on the role of chemical effect of slurry on Cu CMP, especially on the effect of amine functional group on removal rate selectivity between Cu and Tantalum-nitride (TaN) film. We investigated the two different kinds of complexing agent both with amine functional group. On the one hand, Polyacrylamide as a polymer affected the stability of abrasive, viscosity of slurry and the corrosion current of copper film especially at high concentration. At higher concentration, the aggregation of abrasive particles was suppressed by the steric effect of PAM, thus showed higher fraction of small particle distribution. It also showed a fluctuation behavior of the viscosity of slurry at high shear rate due to transformation of polymer chain. Also, because of forming thick passivation layer on the surface of Cu film, the diffusion of oxidant to the Cu surface was inhibited; therefore, the corrosion current with 0.7wt% PAM was smaller than that without PAM. the polishing rate of Cu film slightly increased up to 0.3wt%, then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PAM concentration. On the contrary, the polishing rate of TaN film was strongly suppressed and saturated with increasing of PAM concentration at 0.3wt%. We also studied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abrasive particle and Cu/TaN film with different PAM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amino-methyl-propanol (AMP) as a single molecule does not affect the stability, rheological and corrosion behavior of the slurry as the polymer PAM. The polishing behavior of TaN film and selectivity with AMP appeared the similar trend to the slurry with PAM. The polishing behavior of Cu film with AMP, however, was quite different with that of PAM. We assume this difference was originated from different compactness of surface passivation layer on the Cu film under the same concentration due to the different molecular weight of PAM and AMP.

  • PDF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자외선차단지수(SPF)와 자외선A차단등급(PA)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n Protection Factor(SPF) and Protection Factor of UV-A(PA) in Sunscreen)

  • 연제영;서정민;배준태;이청희;이상길;표형배;홍진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22-43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오일의 극성도, 에멀젼의 종류, 제품의 점도, 증점제의 종류 그리고 광안정제 등이 자외선 차단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오일의 극성도가 높으면 자외선 차단 효과는 높게 측정되었으며(Butyloctyl salicylate: SPF 44.10, PA 7.93), 반대로 오일의 극성도가 낮으면 자외선 차단 효과는 낮게 측정되었다(Dimethicone: SPF 16.40, PA 5.57). 에멀젼의 종류는 O/W 에멀젼보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외상에 존재하는 W/O 에멀젼에서 자외선 차단 효율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제품의 점도는 높아질수록 자외선 차단 효율이 비례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점제의 종류 및 유화입자 크기는 자외선 차단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 또한 광안정제의 함유 여부도 자외선 차단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외선 차단제의 추가적인 증량이 없어도 자외선 차단 효율을 더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앞으로 자외선 차단제품 개발 시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Hansen Solubility Parameter 를 통한 W/O 형 자외선차단 제형의 유화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ulsifying Stability of W/O Type Sunscreen Cream by the Hansen Solubility Parameter)

  • 김동희;이진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73-280
    • /
    • 2021
  • 자외선차단 제형은 내수성이 중요하므로 수상이 유상에 분산되는 water-in-oil (W/O) 에멀젼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오일 특유의 무겁고 끈적이는 사용감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실리콘계 오일을 사용한다. 이러한 오일은 유기 자외선차단제와의 상용성이 낮아 에멀젼의 안정성에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차단 제형의 W/O 에멀젼에서 다양한 오일들 간의 상용성을 Hansen solubility parameter(HSP)를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도출하였다. HSP는 물질의 분산, 극성 및 수소 결합을 나타내는 지표로 물질간의 상용성을 판단하는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HSP가 다른 다양한 오일을 선정하여 W/O 에멀젼을 제조하고 제형의 시간에 따른 점도 변화 및 안정성을 조사하여 HSP 수치와의 상관관계 또는 일치성을 고찰하였다. HSP를 이용하면 상용성이 높은 오일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또한, W/O 에멀젼에서 유상의 상용성이 높으면 점도의 경시변화가 작았으며 freeze-thaw cycle (-15 ℃ ~ 45 ℃) 조건에서 안정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HSP를 통해 성분 구성을 최적화한다면 사용감이 우수하면서 안정성을 확보한 W/O형 자외선차단 제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결합제가 표고버섯 과립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nding Agents on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nule Prepared by Lentinus edodes)

  • 황성희;김석중;신승렬;김남우;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72-577
    • /
    • 2005
  • 표고버섯 과립의 품질 특성에 결합제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버섯분말에 결합제로 corn starch, lactose, gelatin, gum arabic 및 dextrin(DE=23)을 각각 첨가하고 버섯열수추출액으로 반죽하여 압출과립을 제조한 다음 과립의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과립의 용해도는 gum arabic >gelatin>lactose, dextrin>corn starch 첨가구 순이었다. L값은 corn starch lactose>gelatin, gum arabic, dextrin 첨가구 순이었고, a값은 결합제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b값은 lactose, corn starch>gelatin, gum arabic>dextrin 첨가구 순이었다. 점도는 gelatia corn starch>gum arabic, dextrin, lactose 첨가구 순이었고, 흡습성은 gelatin>lactose>corn starch>dextrin>gum arabic 순이었다. pH는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총당 함량은 gum arabic>lactose, dertrin>corn starch, gelatin 순이었고, 단백질 함량은 gelatin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표고버섯 과립의 용해도 증가와 흡습성 저하를 위한 결합제로gum arabic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Co2O3 첨가가 알루미나의 액상소결 및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2O3 addition on liquid phase sintering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alumina)

  • 오복현;윤태규;공헌;김남일;이상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50-155
    • /
    • 2020
  • 구조용 세라믹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알루미나(Al2O3)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위해 치밀한 미세구조를 요구하며, 소결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업적으로 액상소결(liquid phase sintering)이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SiO2, MgO, CaO를 액상소결 조제로 사용하는 92 % 상업용 알루미나의 액상소결 시, 착색제(coloring agent)로 주로 사용되는 산화코발트(Co2O3)의 첨가량과 다양한 소결온도가 알루미나의 미세구조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약 11 w t% 산화코발트 첨가에 따라 1200℃부터 고상입자 재배열에 의한 수축이 시작되었고 1300℃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 재석출 및 합체(coalescence)에 의한 알루미나의 결정립 성장이 관찰되었다. 1400℃ 이상의 열처리 온도 혹은 과량의 Co2O3 첨가는 액상의 점도를 낮추어 소결밀도를 감소시켰고, 이와 함께 경도값도 감소하였다. 산화코발트를 11 w t% 첨가하여 1350℃에서 소결할 경우, 3.86 g/㎤의 밀도와 12.32 GPa의 경도를 갖는 치밀한 소결체 제조가 가능하였다.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연속공극 형성에 미치는 기포제의 영향 (Effect of Foaming Agent on the Continuous Voids in Lightweight Cellular Concrete)

  • 이승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742-749
    • /
    • 2002
  • 본 연구는 기포콘크리트내에 연속공극이 생성되는 과정을 밝히고, 연속공극을 갖는 기포콘크리트의 제조에 미치는 기포제의 영향을 검토한 것이다. 실험결과, 연속공극을 형성하는 기포콘크리트는 온도, 시멘트페이스트의 점성 및 유동성, 기포의 안정성 등의 영향을 받고, 기포의 응집력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포첨가량이 시멘트량 2% 이하에서 독립공극을 형성시키고, 9%를 초과할 경우 기포의 소포현상이 나타났다. 한편, 시멘트분말도 3000, 6000 및 8000$\textrm{cm}^2$/g에서 분말도가 높을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하였으며, 분말도 변화에 따른 연속공극율은 38% 52%, 22%로 나타나 분말도 6000$\textrm{cm}^2$/g에서 연속공극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더 나아가 기포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물시멘트비를 45%에서 25%로 감소시킬 경우 15 kgf/$\textrm{cm}^2$에서 20 kgf/$\textrm{cm}^2$로 높게 나타나 물시멘트비의 감소는 기포콘크리트의 비중 변화 없이 강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유기산과 증점제를 첨가한 쌀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with organic acid and thickening agents)

  • 김기선;한치원;정경희;이승기;김애정;박원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48-1156
    • /
    • 2009
  • 쌀을 주원료로 국수를 제조하기 위해 유기산과 증점제를 이용하고 단백질, 텍스트린, 정제염을 첨가하였다. 혼합 유기산과 증점제를 사용한 쌀가루 반죽의 증숙 후 물성은 최대응력(max weight)은 평균 $2040.00\;g/cm^2$ 이었고 탄성 139.12%, 응집력 66.05%, 씹음성 1,396.13 g, 깨짐성 190,456.12 g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쌀가루를 이용한 쌀국수제조에 적합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원료쌀의 수침은 $20{\sim}25^{\circ}C$에서 12시간 실시하고 $35^{\circ}C$이하 온도에서 분쇄를 2회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였고, 쌀가루의 물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혼합유기산 0.255%(무수 구연산 0.10%, 사과산 0.75%, adipic acid 0.03%, 양조식초 0.05%), 혼합 증점제 2.820%(산탄검 1.00%, 구아검 0.80%, 알긴산나트륨 0.96%, 폴리아크릴산나트륨 0.06%), 글루텐 3.00%, 덱스트린 1.00%, 카제인나트륨 1.00%, 정제염 3.88%를 혼합한 쌀가루로 국수를 제조하는 것이 적합한 조건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