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e

검색결과 827건 처리시간 0.021초

덕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What Is Virtue Epistemology?)

  • 한상기
    • 철학연구
    • /
    • 제142권
    • /
    • pp.323-347
    • /
    • 2017
  • 현대 인식론에서는 최근 약 30여 년 전부터 덕 인식론에 대한 관심이 부쩍 일어났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소수 몇몇 연구자를 제외하면 "덕 인식론"이라는 이름 자체가 생소한 경우가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일차적으로 덕 인식론이 태동한 지가 얼마 안 되었다는 것이 한 가지 이유일 것이다. 그래서 그 동안 우리 학계에는 덕 인식론이 본격적으로 소개될 기회가 별로 없었다. 게다가 "덕 인식론"이라는 이름 자체가 주는 생경함 또한 한몫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덕"이라는 개념은 주로 윤리나 도덕과 관련된 맥락에서 사용되는 개념이어서 많은 사람이 "덕 윤리학"은 들어보았을지 몰라도 "덕"과 "인식론"을 조합한 "덕 인식론"이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낯설고 생소하다고 생각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우리 사회에 덕 인식론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덕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덕 인식론은 전통적인 분석적 인식론과 어떻게 다른가? 덕 인식론에서 덕의 본성은 무엇인가? 덕 인식론의 이점은 무엇이고, 과제는 무엇이며, 전망은 어떠한가? 이런 물음들을 중심으로 필자는 덕 인식론의 등장 배경, 덕 인식론과 전통적 인식론의 차이 및 둘 사이의 관계, 덕의 본성, 현재 펼쳐지고 있는 덕 인식론의 주요 이론들을 간단히 개관함으로써 덕 인식론을 이해해보고자 한다.

본초 효능 용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virtue terms in herbal medicine)

  • 오용택;이병욱;김은하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5-50
    • /
    • 2010
  • By grouping freshly the virtue terms used in herbal medicine, we are apt to establish the position coordinates of concepts and raise the level of the herbal virtue research in future. As the terms related to the herbal virtue used in herbal medicine are used with the virtue terms mingled with the chief treatable disease terms, it's hard to use the herbal virtue data only. And though the virtues terms imply many data like medical act data or medical operation data, we can't use them fully. We sort the terms related to the herbal virtue into the virtue terms and the chief treatable disease terms and acquire many data like medical act data or medical operation data and group the data by same attribute.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we establish sort standards inductively, put relations between the attributes in order, out of this result we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virtue terms used now, and show useful data for herbal virtue research in future. We got the chief treatable disease terms from the ones related to the herbal virtue, acquired a lot of data from the virtue terms and grouped the data by the same attribute. We established a proper standard inductively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put the relations between the attributes in order, grasp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virtue terms in use at the moment out of the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and presented the applicable data for the herbal virtue research in future.

내적·외적 미덕적 행위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질적 연구를 통한 연구모형 개발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Virtuous Behaviors on Job Performance: Focusing on the creating research model for the virtuous behavior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 고성훈;문태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4호
    • /
    • pp.31-6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변수로 사용된 조직 내 구성원들이 주는 미덕적 행위, 조직 내 구성원들이 받는 미덕적 행위, 조직 외 사회구성원들에게 주는 미덕적 행위, 조직 외 사회구성원들로부터 받는 미덕적 행위의 핵심범주를 질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도출한 후 이들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계하는 것이다. 즉,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을 통해서 도출 된 핵심범주로서 조직 내 구성원들이 서로 주고받는 미덕적 행위와 조직 외 사회 구성원들과 주고받는 미덕적 행위들이 조직 동일시,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 정서적 몰입, 감정고갈, 집단적 자긍심의 변수들을 통해 업무성과와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질적 연구를 통해 밝혀내는 것이다. 본 연구 방법은 국내 5개 소방서를 대상으로 50명의 소방대원들을 인터뷰한 후 이들에 대한 개방코딩과 축 코딩, 선택코딩을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를 근거로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 후 10개의 핵심범주를 도출해 낼 수가 있었다. 질적 연구 결과 최종적으로 10개의 핵심범주, 즉 조직 내 구성원들이 주는 미덕적 행위, 조직 내 구성원들이 받는 미덕적 행위, 조직 동일시,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 정서적 몰입, 감정 고갈, 집단적 자긍심이 인과적 영향관계를 맺으며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질적 연구 방법론에 기반 하여 최종적으로 조직 내 구성원들이 서로 주고받는 미덕적 행위와 조직 외 사회 구성원들과 주고받는 미덕적 행위들의 핵심범주를 도출해 내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소방대원들이 조직 내 구성원들과 주고받는 미덕적 행위와 조직 외 사회구성원들과 주고받는 미덕적 행위에 대한 핵심범주들이 질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도출되어 최종적으로 이들이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PDF

멜로드라마, 그 근대적인 모럴의 형식 (Melodrama as a Form of the Moral)

  • 우수진
    • 한국연극학
    • /
    • 제49호
    • /
    • pp.49-71
    • /
    • 2013
  • Melodrama emerged as a form of the moral in the early modern age. As an approach 'the moral' not only means that rewarding virtue and punishing vice, but also refer to a principle of spiritual life and a way of life. -Melodrama theatricalizes a new vision of human life and society through a new type of the virtuous protagonist and sentiment/-ality. -This allows melodrama to be a dominant cultural form in this modern age, beyond the borders of the theater, mass-media, and literature. Virtue and sentiment/-ality are the core elements of melodrama, which differentiate it from tragedy and comedy especially in the structure and effect of the drama. Actually virtue and sentiment/-ality have been a main target of criticism. Virtue has been regarded as a trite quality of the stereotypical protagonist, and sentiment/-ality as a banal emotion which paralyzes an audience's recognition of reality. -However, this thesis regards both virtue and sentiment/-ality as vehicles for showing and sharing the morals of the modern age. First, the virtues of the protagonist included the general and universal ones of the bourgeois -at that times, the bourgeois represented themselves as a human being- such as the responsibility and obedience of a father, a mother, a wife, a husband, a daughter and a son. They also included the professional ethics such as courage, honesty, and justice and so on. The fall or salvation of the protagonist is largely determined by his/her private individual virtue. Second, sentiment/ality is a theatrical device that makes the audience internalize the protagonist's virtue. The protagonist expresses his/her universal virtue sentimentally, and the audience also expresses their virtue by sympathizing with the protagonist's virtue sentimentally. However, the melodramatic protagonist as an individual, is not connected with society, but remains isolated. As a result, s/he has no influence on the society, where s/he can only ends her/his play alone with a happy-ending. S/he is happy alone, or at best happy with his/her own family. On the contrary to this, tragic protagonist usually fixes social disorder through his/her fall. In that sense, we can say that melodrama presents only the half of the human life.

이제마의 도덕.성명론과 사상의학적 맥락 연구 (Study on the Concepts of Lee Jema's Way.Virtue.Nature.Imperative and the Contexts betwee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노상용;고흥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137-1141
    • /
    • 2005
  •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investigate how Lee Je-Ma changed traditional Zhu Xi's philosophical view on Way(Tao; 道) Virtue(De: 德) Nature(Xing;性) and Imperative(Ming; 命), which was general concepts of his contemporary age, to practical philosophy and created new medical theories of Sasang(4 symbols) science from it. Lee emphasized the true thing which is able to be done in one's living not the concepts of Sasang. So he induced the concepts of Way and Virtue from the easy and simple way(易簡之道) in the Classic of Changes(I'Ching) for the purpose of practice by anyone. Because Nature and Imperative are derived from Way and Virtue in the context logically, human life is virtual in itself, so the substance of Nature and Imperative became equal with Way and Virtue. Herein the names and concepts of original 'Sasang' were substituted to Business(事), Mind(心), Body(身), Thing(物) which is able to be directly related with human being in his daily life. And he explained variously about the responses of Mind and Body of individuals onto Business and Thing. So it could be applied in medical aspects like emotional, symptomatical, characteristic features. Conclusively man is virtual being, so Nature and Imperative in the level of Human being are based on Way and Virtue in the level of Heaven. For that reason the new concepts of Sasang Business. Mind. Body Thing or Heaven. Human. Nature and Imperative were proposed.

조직미덕이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몰입과 집단적 자긍심을 매개로- (The impact of virtuous behavior in organization on the employee's attitude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and Collective Self Esteem)

  • 고성훈;문태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5호
    • /
    • pp.1-34
    • /
    • 2014
  • 본 연구는 조직내부와 조직외부를 향한 조직의 미덕적 행위가 조직구성원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보고자 하였다. 연구1에서는 국내기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국내 기업의 미덕적 행위에 대해서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미덕적 행위가 결과적으로 조직 구성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1의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2에서는 국내 기업 253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1의 결과, 국내 직장인들은 조직미덕을 조직내부(조직 구성원)를 위한 미덕행위와 조직외부(사회)를 위한 미덕행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조직 내부의 미덕적 행위는 정서적 몰입을 불러 일으켰으며 조직 외부의 미덕적 행위는 집단적 자긍심을 발생시켰다. 연구2의 결과, 조직 내부의 미덕적 행위는 정서적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 내부의 미덕적 행위는 정서적 몰입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과 조직 충성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며, 감정적 소진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밝혀냈다. 한편, 조직 외부의 미덕적 행위 역시 집단적 자긍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 외부의 미덕적 행위는 집단적 자긍심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과 조직 충성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며, 감정적 소진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PDF

직무만족이 이타주의와 시민정신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종업원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Altruism and Civic Virtue: The mediating role of Chinese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 권인수;서문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436-446
    • /
    • 2015
  • 본 연구는 직무만족이 이타주의와 시민정신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국적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중국 종업원 246명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PLS 구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종업원의 직무만족은 조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직몰입 역시 이타주의와 시민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몰입은 직무만족과 이타주의 및 시민정신 사이에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중국 종업원들의 이타적 행위와 시민정신을 촉진하는 데 있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여전히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대순진리회 교리에서의 '여덕'사상과 현대적 가치 (The Meaning and Modern Value of Daesoon Jinrihoe's Doctrinal and Philosophical Notion of 'Feminine Virtue')

  • 잔스촹;위꿔칭
    • 대순사상논총
    • /
    • 제31집
    • /
    • pp.1-45
    • /
    • 2018
  • 대순진리회는 한국의 영향력 있는 종교단체 중의 하나로서, 그 교리 속에는 관념이 풍부하고 가치가 큰 '여덕'사상을 포함하고 있다. 이 글은 먼저 '여덕'의 함의를 정리한 뒤에 이것을 기초로 하여, 보편적인 '여덕'과 특수적인 '여덕' 두 가지 측면으로 대순진리회 교리 속의 '여덕'사상을 해석하였다. 그리고 그 배경에 담겨있는 이론의 취지와 뚜렷한 특색을 분석하였고, 이는 오늘날 아주 큰 본보기가 될 만한 가치가 있으며, 연구하고 보급할 만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A Moralist of Beauty in America: Emerson on the Cultivation of Public Virtue in Liberal Democracy

  • Park, Jin-gon
    • 미국학
    • /
    • 제44권2호
    • /
    • pp.159-191
    • /
    • 2021
  • "In the United States, you almost never say that virtue is beautiful," Alexis de Tocqueville reports in Democracy in America. Yet Ralph Waldo Emerson, arguably the most prominent American moralist in the nineteenth century, stands as an exception to Tocqueville's generalization. This article explores Emerson's perspective on beauty in the moral education of democratic citizens. His interest in this aesthetic category partly stemmed from his deep concern about both the moral inaction and interest politics in commercial culture. As a response to the crisis, Emerson conceived ethical beauty as a key promoter of public-minded democratic citizenship as exemplified by the American abolitionists, and his own practice as a poetic moralist further illustrates this belief. Emerson's aesthetic approach to the cultivation of public virtue in liberal democracy offers a meaningful comparison to contemporary neo-Tocquevillian emphasis on the language of interest or duty.

덕인식론에서 역량과 성품의 개념적 이해: 『논어(論語)』에서 '총명(聰明)'과 '정직함'을 중심으로 (A Conceptual Contour of Character and Capacity in Virtue Epistemology: Focusing on sagacity and honesty in the Analects)

  • 이찬
    • 철학연구
    • /
    • 제123호
    • /
    • pp.239-264
    • /
    • 2018
  • 덕인식론과 지행론의 전체적인 구도를 이해하기 위한 선행 과제로서 나는 이 글에서 덕(德)과 관련한 개념들 가운데 역량과 성품이 지적 덕성과 어떤 연관에 놓여 있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애초 이 글은 똑똑하다고 칭찬받는 사람들이 왜 나쁜 일들을 스스럼없이 저지르는가에 대한 소박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이런 의문은 윤리적인 문제일 수도, 인식론적인 주제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무엇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라는 인식론적인 질문은 결국 인식론이 규범적인영역에 속하며 인식론적인 평가에서 지적인 행위자와 그 공동체를 중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덕인식론'의 핵심적인 관점이다. 지식의정당화에 있어서 덕인식론이 '덕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은 동아시아 전통의 '지행론'과 닮았지만 그 문제의식은 다르다. 따라서 덕인식론과 지행론의같고 다른 점을 우선 살펴보고 "논어"를 중심으로 역량, 성품, 지적 덕성의 관계를 검토할 것이다. 이 작업에서 나는 역량과 성품이 규범적인 가치의 문맥으로 조율되지 않으면 올바른 행위를 산출하는 지적 덕성이 되기에 부족함을 말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