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surgery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6초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제작된 CT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용 형판의 무치악 거리에 따른 정확도 분석 (Accuracy of the CT guided implant template by using an intraoral scanner according to the edentulous distance)

  • 강병길;김희중;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8
    • /
    • 2017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제작된 임플란트 수술용 형판의 무치악 거리에 따른 정확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방사선불투과성 아크릴 레진을 이용하여 상악 좌우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 부위를 치아상실 상태로 5개의 상악 모형을 제작하고 각각의 모형을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가상 모형을 획득하였다. 모형의 술전 CT DICOM file과 가상의 모형을 중첩 후 치아 상실 부위에 임플란트 식립을 계획하였고 제작된 수술용 형판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후 술후 CT 촬영을 시행하였다. 술전 CT와 술후 CT를 software상에서 중첩 후 X, Y, Z축을 이용하여 임플란트의 platform과 apex 부위에서, 계획된 임플란트와 실제 식립된 임플란트의 거리 및 각 오차를 측정하고 Kruskal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임플란트 식립 각도 오차는 제2소구치에서 제2대구치로 갈수록 커졌으나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platform 부위와 apex부위에서의 식립 거리 오차 또한 제2소구치에서 제2대구치로 갈수록 커지나 제2대구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큰 오차를 보였다. 결론: 임플란트 식립 각도에서는 계획된 임플란트와 식립된 임플란트간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platform과 apex 부위에서의 식립 거리는 제2대구치 부위의 임플란트에서 더 큰 오차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였다.

디지털 안궁이전과 가상교합기를 이용하여 하악의 운동을 고려한 구치부 수복 증례 (Posterior rehabilitation considering mandibular movement with digital facebow transfer and virtual articulator: A case report)

  • 김민범;권호범;임영준;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31-441
    • /
    • 2022
  • 디지털 안궁이전 장치로 하악의 운동로를 기록하고 캐드 소프트웨어(CAD software) 상에 반영할 수 있는데 이를 고려한 보철 수복은 치료 결과를 향상시킨다. 본 증례는 상하악 대구치가 소실된 환자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 및 보철 수복한 증례이다. 구내 스캔 후 디지털 진단 왁스업을 토대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를 제작한 뒤 임플란트 식립했다. 6개월의 충분한 골유착 후, 맞춤형 지대주와 첫번째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였다. 2개월 후 지대주 수준에서 구강 스캔 및 디지털 안궁이전 장치로 가상 교합기 상마운팅하고 하악 운동을 기록했다. 하악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두번째 임시 보철물을 제작, 장착 후 안정된 교합 상태에서 더블 스캔 과정으로 복제하여 지르코니아 최종 보철물을 디자인하고 장착했다.

디지털 기법을 활용한 상악 전치부의 진단 및 수복 증례 (Digital technique in diagnosis and restoration of maxillary anterior implant: a case report)

  • 방혜민;장우형;박찬;윤귀덕;임현필;박상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4호
    • /
    • pp.249-256
    • /
    • 2022
  • 성공적인 상악전치부의 임플란트 식립은 많은 고려를 필요로 한다. 환자를 만족시키며 기능적이며 심미적인 보철수복을 위해서는, 치료에 앞서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구내스캔, 콘빔시티, 그리고 안면스캔을 중첩함으로 시도해 볼 수 있다. 구내스캔을 통해 얻어지는 환자의 교합양상과 콘빔시티에서 얻어지는 환자의 치조골의 양상 및 질, 그리고 안면스캔에서 얻어지는 환자의 특성과 구외평가를 어우르는 진단은 보다 성공적인 보철수복을 위한 발판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정보의 중첩을 통해, 보철적으로 이상적인 치관의 위치를 우선순위에 두지만, 환자의 생물학적 한계를 포용하는 "탑다운"형식의 임플란트 진단은, 이를 고려한 서지컬 가이드를 3D 프린팅하고, 수술에 사용함으로써 구현되었다. 환자의 치조골 소실로 인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의 한계점은, 치아의 선각과 착시효과를 이용한 보철수복을 통하여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이후, 임시수복물을 사용하고 환자가 가장 편하다고 느끼는 보철물을 장착한 뒤 디지털 교합장비(Arcus Digma II)를 이용하여 전방유도와 하악의 운동을 측정하여 이를 최종보철물에 적용하였다.

임의 형상 마스터를 이용한 스키니 스머지 블렌딩 방법 (Skinny Smudge Blending Method Using Arbitrary-shaped Master)

  • 곽노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333-338
    • /
    • 2012
  • 본 논문은 윤곽 형상에 밀착된 임의 형상 마스터를 이용한 스키니 스머지 블렌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머지 툴(smudge tool)은 Adobe Photoshop CS6에 내장된 대중적인 그래픽 툴로서 물감을 화폭 상에 문질러서 흐려지게 할 시에 이용된다. 그 효과는 지두화법과 매우 유사하다. 스머지 툴은 Adobe Photoshop CS6의 툴박스에서 스머지 아이콘을 선택한 다음에 화폭 위를 클릭한 후, 마우스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번짐 효과를 주고 싶은 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머지 툴은 마스터 반경 내의 모든 화소값을 블렌딩시켜 결과 영상을 생성함에 따라 원하지 않는 부위의 화소마저도 변형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임의 형상 마스터를 이용한 스키니 스머지 블렌딩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블렌딩 방법은 컬러 영상 분할에 통해 윤곽 형상에 밀착된 임의 형상 마스터를 추출함에 따라 배경에 관계없이 변형하고 싶은 부분에만 번짐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ntal needle foreign body in the neck: a case report

  • Mohammed, Hassen;Shallik, Nabil;Barsoum, Mina;Abdulla, Majid Al;Dogan, Zynel;Ahmed, Hassan Haidar;Moustafa, Abbas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0권2호
    • /
    • pp.83-87
    • /
    • 2020
  • Foreign body (FB) ingestion is commonly seen in the ear nose and throat (ENT) field, with different presentations and sequelae. FBs can arrest in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or continue further down into either the airway tract to the bronchus or the digestive tract to the intestines. The pathway of an FB depends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FB and how sharp its edges are. Since the 20th century, the use of disposable stainless-steel needles in the oral cavity has proven to be an effective and safe method for performing various intraoral procedures like dental infiltration or a root canal wash. Complications from their use are rare. Generally, dental needle breakages are caused by patients biting the needle, incorrect injection techniques, or inadequate preventative measures. The sudden movement of a patient during a procedure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breakage. Occasionally, needles are swallowed during dental procedures such as a root canal. Here, we report a case of a patient that swallowed a broken needle during a dental procedure. A few days later, the patient presented with neck pain, swelling, and a FB sensation. When the patient presented, she claimed that her symptoms had onset after consuming a meal containing duck meat. Initially,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having ingested a duck bone. However, intraoperatively, the FB was discovered to be an injection needle that had migrated from the throat to the neck.

스키니 스머지 툴 (Skinny Smudge Tool)

  • 우승범;곽노윤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11-115
    • /
    • 2009
  • 본 논문은 마스터 형상 분할에 기반한 스키니 스머지 툴에 관한 것이다. 스머지 툴(smudge tool)은 어도비 포토샵에 내장된 대중적인 그래픽 툴로서 물감을 화폭 상에 문질러서 흐려지게 할 시에 이용된다. 그 효과는 지두화법과 매우 유사하다. 스머지 툴은 스머지 아이콘을 클릭한 다음에 화폭 위를 클릭한 후, 마우스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번짐 효과를 주고 싶은 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머지 툴은 마스터 직경 내의 모든 화소값을 블렌딩시켜 목표 영상을 생성함에 따라 원하지 않는 부위의 화소마저도 변형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마스터 형상 분할에 기반한 스키니 스머지 툴(skinny smudge tool)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스키니 스머지 툴은 컬러 영상 분할에 통해 윤곽 형상에 밀착된 마스터 형상을 추출함에 따라 배경에 관계없이 변형하고 싶은 부분에만 번짐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개방형 근위경골절골술의 3차원 수술계획을 위한 절골해석모델 (Analytical Osteotomy Model for Three-dimensional Surgical Planning of Opening Wedge High Tibial Osteotomy)

  • 구본열;박병건;최동권;김재정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385-398
    • /
    • 2013
  • Opening wedge high tibial osteotomy (OWHTO) is widely used to treat unicompartmental osteoarthritis of the knee caused by degenerative deformations of the anatomical axes of the leg.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lan the surgical degrees of adjustment such as coronal correction angle and tibial posterior slope angle to align the axes before the actual procedure, a number of studies have proposed analytical models to solve this problem. While previous analytical models for OWHTO were limited to specific cases, this study proposes an analytical osteotomy model (AOM) and a surgical planning system (SPS) that are suitable for a wide range of tibial morphologies and tibia conditions. The validity and generality of the model were verified in a total of 60 OWHTO cases. Results of the test showed that, as predicted, surgical degrees are affected quite significantly by tibia shape and slope of the resected surface. Comparison of the required surgical degrees and the degrees estimated from virtual surgery simulations using AOM showed a very small average difference of $0.118^{\circ}$. SPS, based on AOM, allows the operating surgeon to easily calculate surgical parameters needed to treat a patient.

Polygonal Mesh로 표현된 3차원 모델의 에러복원 연구 (Data Recovery of 3D Polygonal Mesh Model)

  • 김대용;류대하;박성원;김미자;장의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23-26
    • /
    • 2003
  • 3차원 Polygonal Mesh는 그래픽스, 에니메이션, 게임에서 3차원 객체에 대한 표현에 사용되고, 이러한 3차원 모델에 대한 IndexedFaceSet 노드에 3차원 정전정보와 연결정보를 압축하는데 MPEG-4 3DMC를 사용한다. 이러한 연결정보는 다각형의 Mesh 형태로 3차원 모델을 구성하는 정보를 갖는데, 이는 Tepological Surgery 라고 하는 방법을 통해서 2차원의 스트립 단위의 데이터로 분해된다. 이러한 3D 데이터는 방송환경과 같은 재전송이 불가능한 네트워크의 환경에서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채널문제로 인해서 데이터의 손실이 있게 되면, 복호화 된 데이터는 데이터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3D 모델의 좌표의 연결정보에 손상을 주게 되고, 여기서 복호화 된 데이터는 스트립 단위로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3차원 모델의 좌표의 연결정보에 손상을 주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3차원 정보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연구에 관한 것이며, Mesh의 면을 이루는 각 꼭지점의 좌표들의 연결 정보가 손실되지 않는 스트립에서는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완벽한 복원을 하였고, 두 개 이상의 스트립이 붙어서 손상된 경우나, 좌표의 연결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조건에 따라 현저히 좋은 격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Three-dimensional morphometric analysis of facial units in virtual smiling facial images with different smile expressions

  • Hang-Nga Mai;Thaw Thaw Win;Minh Son Tong;Cheong-Hee Lee;Kyu-Bok Lee;So-Yeun Kim;Hyun-Woo Lee;Du-Hyeong Lee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5권1호
    • /
    • pp.1-10
    • /
    • 2023
  • PURPOSE. Accuracy of image matching between resting and smiling facial models is affected by the stability of the reference surfac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orphometric variations in subdivided facial units during resting, posed and spontaneous smiling. MATERIALS AND METHODS. The posed and spontaneous smiling faces of 33 adults were digitized and registered to the resting faces.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subdivided facial units at the forehead (upper and lower central, upper and lower lateral, and temple), nasal (dorsum, tip, lateral wall, and alar lobules), and chin (central and lateral) regions were assessed by measuring the 3D mesh deviations between the smiling and resting facial models.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Duncan post hoc tests, and Student's t-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α = .05). RESULTS. The smallest morphometric changes were observed at the upper and central forehead and nasal dorsum; meanwhile, the largest deviation was found at the nasal alar lobules in both the posed and spontaneous smiles (P < .001). The spontaneous smile generally resulted in larger facial unit changes than the posed smile,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t the alar lobules, central chin, and lateral chin units (P < .001). CONCLUSION. The upper and central forehead and nasal dorsum are reliable areas for image matching between resting and smiling 3D facial images. The central chin area can be considered an additional reference area for posed smiles; however, special cautions should be taken when selecting this area as references for spontaneous smiles.

Neurosurgical Management of Cerebrospinal Tumor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 A Scoping Review

  • Kuchalambal Agadi;Asimina Dominari;Sameer Saleem Tebha;Asma Mohammadi;Samina Zahid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6호
    • /
    • pp.632-641
    • /
    • 2023
  • Central nervous system tumors are identified as tumors of the brain and spinal cord. The associated morbidity and mortality of cerebrospinal tumors are disproportionately high compared to other malignancies. While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have initiated a revolution in neurosurgery,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expediting it. Our study aims to analyze AI's role in the neurosurgical management of cerebrospinal tumors. We conducted a scoping review using the Arksey and O'Malley framework. Upon screening, data extraction and analysis were focused on exploring all potential implications of AI, classification of these implications in the management of cerebrospinal tumors. AI has enhanced the precision of diagnosis of these tumors, enables surgeons to excise the tumor margins completely,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recurrence, and helps to make a more accurate prediction of the patient's prognosis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AI also offers real-time training to neurosurgeons using virtual and 3D simulation, thereby increasing their confidence and skills during procedures. In addition, robotics is integrated into neurosurgery and identified to increase patient outcomes by making surgery less invasive. AI, including machine learning, is rigorously considered for its applications in the neurosurgical management of cerebrospinal tumors. This field requires further research focused on areas clinically essential in improving the outcome that is also economically feasible for clinical use. The authors suggest that data analysts and neurosurgeons collaborate to explore the full potential of AI.